-
-
소유의 종말
제레미 리프킨 지음, 이희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이 책이 나온건 2000년이고 지금은 2008년. 제레미 리프킨은, 그러니까 이미 2000년 후반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통찰력이 있었다. 할 말이 무지 많은데 일단 제목부터 적어보자. The Age of Access. 우리 말로는 접속이라고 번역했는데 '접근성'이라고 말하는 게 더 좋을 거 같다. 네이버 영영사전 정의를 정리해 보면 이렇다.
access 1. being able or allowed to go into building ar other places
2. having the opportunity or right to see or use something such as information or
equipment
엑세스는 소유의 시대가 끝나고 도래하는 것이 아니라 소유+엑세스이다. 엑세스는 또 다른 소유의 형태로 생각된다. 이미 다른 사람들보다 월등한 소유권을 보유하고 있을 때 눈을 돌리는 게 아닌가 싶다. 물론 리프킨은 이런 의도로 개념을 전개하고 있진 않지만 그럴만한 예를 들 수 있다. 가령, 이미지를 판다는 대형 식음료 체인의 경우를 보자.
모친과 친구를 포함해서 하나 가지고 있으면 놀고 먹기에 좋을 뿐 아니라 깨끗할 것 처럼 보였던 게 도너스 체인이나 아이스크림 체인점이다. 그러나 이건 아무 것도 몰랐을 때다. 리프킨이 썼듯이 지명도 있는 브랜드의 체인점은 개인소유가 될 수 없고, 브랜드 이미지를 돈을 지불하고 사용하는 이용자에 불과하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편할 수도 있겠지만 이미지 사용료가 턱없이 비싸서 4억 정도를 투자했을 때 얻는 수익은 보잘 것 없는 것으로 계산된다. 게다가 유동인구가 많은 대박지역은 임대 사용자의 접근은 원천봉쇄되고 직영체제란다. 그러니까 이미지를 파는 모기업은 영세 임대 사용자들의 소유주가 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돌아가고 있다. 엑세스의 장점인 유동성과 자유 또한 보장되지 않는다. 모기업은 브랜드 이미지를 균질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철저하게 임대 사용자들을 감시하고 조종한다. 그렇담 사용자 쪽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은 무엇인가? 모르겠다.
극단적인 예이긴 하지만 엑세스의 속성은, 사용자가 일정한 수준을 갖추는 것을 선호한다. 21세기에 기회나 권리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진다고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렇다면 엑세스는 소유권의 변주가 아닌가. 결론에서 참여의 수준 뿐 아니라 참여 유형의 가치가 사회의 성격을 만들어갈 것이라고는 하고 있지만 썩 낙관적이지만은 않다.
엑세스가 자유로운 사람들일수록 더 많은 정보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엑세스와 서비스, 체험을 갈망할 것이다. 지난날, 대량생산의 시기를 거쳐 풍부한 물자공급이 충족된 후에 차별화가 필요했듯이 말이다. 엑세스에 취약한 사람들은 계속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고착될 수 밖에 없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