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atcher in the Rye (Mass Market Paperback, 미국판) - 『호밀밭의 파수꾼』원서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지음 / Little Brown & Company / 199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기자가 쓴 리뷰에서 이런 말을 읽은 기억이 난다. 성인이 되어서 이 책을 처.음. 읽는다면 샐린저에게 만정이 떨어질 수 있다고. 다행도 열 일곱살에 처음 읽고 나이들어 다시 읽어서 만정까지는 아니지만 정이 조금 떨어진건 사실이다. 하드보일드한 문체는 사실 조금 거슬린다. 십대의 말투라고 그대로 받아들일 수도 있지만 모든 문장에 and all을 붙이고, ..kills you라는 말이 빈번하게 등장하는데 편집증처럼 여겨진다.

또 거슬리는 부분은 여동생 피비에 관한 홀든의 시선이다. 마음 둘 곳 없는 세상에서 피비는 유일한 돌파구인데 심리적이면서도 육체적이다. 소아 성욕에 대한 희미한 그림자를 발견하게 되는 이유는, 홀든이 피비를 소통의 대상으로 삼지만 쌍방향이 아니라 일방적이기 때문이다. 물론 홀든은 단지 마음 속에 떠오르는 말을 무조건 뱉을 필요가 있었다. 상대의 조언이나 대화가 필요하기보다는 자신이 하는 말에 귀 기울여줄 상대가 필요했다. 어른도 종종 그렇듯이 말이다. 이때, 피비가 어떤 옷을 입었고, 어떤 몸짓을 하는지에 열광하는 훌든은 뭔가 꿍꿍이가 있다고 밖에 생각되지 않는다.

이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홀든의 삼 일간의 방황기는 여전히 매력적이다. 순수했던 열일곱 살의 기억 속에는 없던 것들이다. 학교에서 집에 돌아오는 길에 홀든의 심리상태에 대해 친구와 얼마나 많이 얘기했었던가! 홀든과 같은 또래의 친구와 나 역시 세상에 이해하지 못할 것, 혐오스러운 것들로 가득했었다. 여드름 짜는 행위, 거울만 보는 멍청한 미끈이, 여자아이들이 데이트 상대를 고르는 기준 등등 우리가 나름 진지하게 주고받은 대화 속에서 홀든은 꽤 근사한 녀석이었다. 근사한 구석이 아직 있기도하다. 생각대로 행동하지 못하는 소심한 성격을 잘 알고 자조하는 모습, 딴에는 어른인 척해보지만 누가 봐도 십대인줄 알아챌 수 있는 말과 행동...

젊음의 특징은 손쉬운 행복을 누릴 수 있는 그 천부의 자질일지도 모르지만 거의 낭비에 가까울 정도로 성급한 삶에 대한 충동이라고 까뮈가 말했다. 홀든의 삼일 간의 긴긴 방황은 젊음만이 누릴 수 있는 삶에 대한 격렬한 충동에 뿌리를 두고 있나니 어찌 아름답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