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탄 살라딘
타리크 알리 지음, 정영목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05년 1월
평점 :
절판


올해 십자군에 관한 마지막 독서로 기록될 것이다. 처음에는 흥미롭게 책장을 넘겼지만 중반을 넘기면서 언제 결말을 보게 되나 남아있는 책장의 두께를 계속 가늠했다. 책장이 줄어드는 아쉬움보다는 여전히 읽어야할 두께를 버거워하면서. 이야기체인데도 이갸기 구조의 밀도는 떨어져서 각 챕터가 한 편의 독립된 이야기로 읽을 수 있기 때문인데, 장점인 동시에 소설로서는 단점일 수 있다.

제목 그대로 살라딘의 일대기가 중심이지만 살라딘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나는 좀 구체적인 역사소설을 기대했던 것 같다. 그런데 이 소설은 역사적 인물을 소재로 했지만 역사소설보다는 이야기 소설에 가깝다. 아니 아랍의 역사를 잘 모르니까 단정은 할 수 없지만 그런 것 같다. 서술방식이 유태인 서기인 이븐 야쿠브가 술탄과 그의 주변을 이야기하는 방식이다. 이슬람교도의 왕의 신임을 받는 사람으로 유태인을 내세운 것은 역사적 사실일 수도 있고, 또는 작가가 후기에서 썼듯이 이슬람 왕국에서 유태인이 호의적 대접을 받았다는 걸 암묵적으로 드러내는 것 같기도 하다. 물론 이븐 야쿠브는 술탄과 술타나(술탄의 조강지처를 이렇게 부른다)에 대한 존경을 여러 번 표현한다. 난 참 의도적이라고 생각되었다. 이븐 야쿠브가 술탄에게 바치는 맹목적 열정과 존경이 평면적이다. (난 호전적인 걸 좋아하는 걸까?)

내가 살라딘의 이야기에서 지식적으로 더 얻은 것 아쉽게도 거의 없다. 아마도 작가의 태도 때문일 것이다. 어떤 문제점을 던져주기보다는 그들의 인간적 면모에 이야기를 이끌어가고 초점을 맞춘다. 그가 후기에서 브레히트의 말, "영웅을 필요로 하는 나라를 가엾이 여겨라"를 인용했듯이 영웅 살라딘의 모습도다는 인간 살라딘을 그리고 싶어했는지 모르겠다. 여러 전투에 임하면서 흔들리는 모습과 어린 시절 성에 대한 호기심, 자신에게 술탄의 자리를 넘겨준 숙부와의 애잔한 관계가 잔잔한 물결처럼 펼쳐진다.

며칠 전, 텔리비전에서 방영된 한 다큐에서 타리크 알리 작가의 모습을 보았다. 마음씨 좋은 할아버지 같은 인상이었다. 푸근한 그의 외모처럼 이 소설을 통해 느낄 수 있는 세상에 대한 작가의 시선도 외모와 일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종교 이슬람에 대한 비판적 발언이 몇 번 등장한다.

"여러분의 종교는 지상의 쾌락에 너무 가까이 다가가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여러분은 경전에만 의지해서는 살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에 여러분이 얻은 제국들을 다스리는 데 도움을 줄 하디스를 만들어내도록 권장했습니다. 하지만 이 하디스는 많은 부분이 서로 모순되지 않습니까? 그 가운데 어느 쪽을 믿을지는 누가 결정합니까?"(192)

"우리 종교의 추진력은 성교가 아니라 신과 믿는 자 사이의 관계요. ...알라는 최고의 상인이고 이 세상의 모든 것은 그가 셈하는 것의 일부라고 할수도 있소. 모든 것을 셈하지. 모든 것을 재고. 결국 인생이란 이익도 보고 손해도 보는 장사요. 신자는 알라께 대출을 해준다고 할 수 있지, 다시 말하면 우리가 이슬람의 낙원에서 차지할 자리에 대해 미리 돈을 치른다는 거요. 알라는 마지막 셈을 할 때 장부책을 꺼내놓고 사람들이 한 행동을 읽어보고 세심하게 평가를 하오. 모든 사람에게 제 몫을 주려는 것이지. 이것이 우리 종교요. 우리 세계의 영향력을 나타내지." (195-196)

종교는 사람이 필요해서 만들었고 결국은 자신의 이익을 위한 것이다. 어떤 대의명분도 자신의 피부로 체감하지 못한다면 하찮다. "사람들이 자신의 이익보다 더 큰 대의를 위해 싸우려면 그 싸움이 자신에게 이익이 된다고 진정으로 확신해야 한다는 거요."(516)라고 했듯이, 서구에서는 십자군 전쟁, 아랍인의 입장에서는 프랑크 족의 침입은 모두 인간의 이익을 위해서 이루어졌던 것이다. 비록 그 명분이 다른 얼굴을 하고 있다할지라도 본질은 같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