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인의 눈으로 본 십자군 전쟁
아민 말루프 지음, 김미선 옮김 / 아침이슬 / 200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슬람 문화권에 대해 전무한 상태에서 아랍인의 눈으로 본 십자군 전쟁은 아주 매력적이었다. 유럽인의 시각이 아닌 다른 시각으로 똑같은 역사를 읽어보는 일 자체만으로 흥미있다.

이 책을 통해 먼저 알게 된걸 정리해 보면,

1. 아랍 역사에서 십자군 전쟁이란 말은 없다는 것. 대신 그들은 프랑크인들les Francs의 전쟁 또는 침략이라고 부른다는 것. 프랑크인들의 전쟁이란 말은 의미심장하다. 사실 책을 읽으면서 중세 아랍인들에게 조금 실망했다. 프랑크인들이 계속해서 전쟁을 할 수 있었던 동인 중 하나가 당시 아랍 지도권의 무능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종파와 계파의 분열로 안정보다는 내분이 더 심했다고 저자는 쓰고 있다. 즉 외세의 침략에 대해 수적 우세에도 불구하고 단결이나 연대보다는 자신의 이익에 눈이 먼 결과이다. 반면에 유럽인들은 결단력, 우수한 전사들과 강한 연대감으로 오랫동안 전쟁을 할 수 있었다.

2. 유럽인의 시각에서 쓴 십자군사는 주로 통사론적 관점을 취한다. 따라서 당시의 정세에 집중하는 면이 있지만 이 책은 통사론 형태를 취하고 있긴 하지만 미시사적 관점이 두드러진다. 물론 이 점은 저자의 서술방식이긴 하지만 아무튼 주변 정세보다는 전쟁의 참혹과 잔인함을 강조한다. 유럽인들이 중세사를 종교와 신심에서 비롯된 연대감으로 받아들인다면 이들은 침략당한 입장에서 그들이 남긴 만행을 깊이 느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전쟁의 역사라는 것이 주체와 비주체의 태생적 관점이 이렇게 다르다.

3. 아랍권의 성군으로는 알려진 누르 알 딘과 살라딘이 있다. 살라딘이야 영국왕인 사자심왕 리처드마저도 그 인품을 칭찬했다고 했었고 서양에도 잘 알려져 있는 것 같다. 이책에서 살라딘에 관해 흥미로운 건 살라딘의 오류를 지적하는 부분이다. 살라딘은 피보다는 관용과 용서를 프랑크인들에게 베풀었고, 그 결과 그들이 다시 침략할 수 있는 여지를 결국에는 제공한 것이 돼버린다. 원래의 의도는 아니었지만 유럽인들의 호전성을 간과했던 것처럼 보인다. 살라딘에 관해서는 책 두 권이 나와 있으니 따로 읽을 계획이다.

4. 결론

역사책을 읽으면서 늘 느끼게 되는 것이지만 역사는 참 닮은 꼴이라는 걸 새삼 확인한다. 더불어 아시아의 기질적 특성이 분열인가,하는 의구심이 든다. 나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취약한 점이 '연대'라고 생각한다. 어쩌면 민주주의라는 역사가 짦은 우리가 다수결의 원칙의 변주인 연대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은 당연할지도 모르지만 문제는 그로 인해 파생되는 악순환의 고리가 끊임없이 회전되고 있다.

가령, 미국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대선 선거운동이 한창 진행중인 현재, 그들의 주요 선거정책 중 하나가 이라크전에 관한 해법이다. 많은 사람들이 부시의 정책에 반대했지만 부시는 전쟁을 일으켰고 끝낼 의지가 없어보인다.(내가 얻은 정보로는) 미국 사회 내에서 부시 지지도는 전쟁을 일으킨 후에도,  많은 매체들이 부시의 선택이 사기극일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다루었는데도 불구하고 정작 미국 국민들은 단결한다. 전쟁에 찬성해서가 아니라 미국이 선택한 길이라면 어쩔 수 없고 그들이 해야할 일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는 셈이다.

우리는 정책이 결정되기 전에도 분열이 심하지만 결정된 후에도 단결은 이루어지질 않으면 각종 스캔들에 정책은 언제든지 바뀔 수 있는 풍토다. 물론 지도층에 대한 신뢰와 믿음도 중요한 작용을 하겠지만 진정한 의미의-어쩌면 내가 믿고 있는 민주주의적 원칙-연대를 본적이 없다. 연대란 늘 자신과 자신을 지지하는 소그룹의 무리를 위해 결성되었다가 해체되기를 반복한다. 이런 얄팍한 연대는 나라 문제뿐 아니라 개인이 속한 회사나 단체에서도 중요한 특징이다. 어려우면 뭉친다기보다는 자신에게 이익이 되면 뭉치고 그렇지않으면 언제든지 해체할 수 있다. 인간은 혼자 살아갈 수 없고 고로 분위기를 무시할 수 없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나 역시 연대감을 가벼이 여기고 타인의 연대를 우습게 보거나 또는 의혹의 눈길로 본다.

서양인에게는 십자군 전쟁, 아랍인들에게는 프랑크인들의 침략 전쟁은 연대감에 대한 생각을 내게 깊이 던져주었다. 십자군 전쟁에서 보았듯이, 종교의 역할이 큰 걸까? 꼭 그렇지만은 않다고 본다. '성전 기사단', '구호 기사단', '튜튼 기사단' 등에서 알 수 있들이 그들 역시 분열했다. 무엇이 그들을 단단한 연대로 이끄는 걸까. 그리고 무엇이 우리의 연대를 막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