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엘리아의 제야
고종석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3년 8월
평점 :
품절
얇은 책이라 금방 읽었고 다 읽은지 일주일쯤 돼간다. 감상을 풀어놓기 전에 기자 출신이 쓴 책들, 즉 기사문들을 쓰던 이들이 쓴 책들에 대한 몇 가지 개인적 취향을 정리해 보면,
첫째, 간결하고 생동감이 있어서 술술 읽힌다. 둘째, 날렵한 문장과 달리 내용은 깊숙한 곳까지 들어가지 않고 주변을 서성인다. 그래서 마지막 장을 덮고 나면 헛헛하다. 책 분야가 사회과학이든 소설이든 수필이든 간에 동일한 것 같다.
고종석 씨도 예외는 아닌 것 같다. 제망매와 더불어 이 소설집은 같은 선 위에 놓여져 있다. 단편 속 인물들은 시간이 지나도 비슷했다. 그가 후기에서 이런 말을 썼다. "글의 그릇이 삶의 그릇보다 클 수는 없는 노릇이라면, 내 글은 앞으로도 결코 대동세상을 구가하지 못하리라. 그것은 애달픈 일이지만, 어찌하랴, 내몫이 그 만큼인 것을."
그가 단지 겸손을 표현하기 위해 의례적으로 쓴 말이 아니라면 그는 소설가로서의 자신의 한계를 정말 잘 알고 있는 것 같다. 여러 단편들의 주인공들이 모두 한 인물처럼 보인다. 한 인물이 어떤 때는 혼잣말을 하고 있고 또 어떤 때는 일기를 쓰고 있고 혹은 편지를 쓰고 있는 것이다. 사건 역시 아마도 그가 경험했던 일들이 상당부분 일거라는 추측을 가능케 한다. 그리고 놀라운 건 상당히 시니컬한 시선이다. 칼럼들에서 느꼈던 세계관과는 분명히 거리가 있다.
당연한 말이지만 서사보다는 묘사적이고-이 점은 내 취향이다-언어를 적확하게 사용하는 편집증이 소설 전반에 나타난다. 흥미로운 건 편집증을 언어 뿐만이 아니라 기억, 사건 또는 성격을 정의할 때도 두드러지게 볼 수 있는 것이다.(이런 대목을 아주 흥미롭게 읽었다)
나는 고종석 씨의 글을 그닥 즐기는 편은 아니다. 그의 사고체계가 정서적 교집합을 이루기 보다는 뒤로 물러나서 바라보게 만드는 편이기 때문이다. 신문에서 보는 칼럼 분량의 짧은 글이 나는 제일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