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트웨인 여행기 - 상 범우비평판세계문학선 24
마크 트웨인 지음, 박미선 옮김 / 범우사 / 2000년 7월
평점 :
품절


8월 독서가 저조하고 중대한 결정을 내렸고 휴가를 떠나지 않고 일상을 지켜냈다. 여러가지 악재 속에서 8월 주문한 책들은 몸은 이곳에 있어도 마음은 다른 곳에 데려다줄 여행기에 쏠렸다. 요즘 여행기의 종류가 많다. 긍정적 측면으로 보자면 자신만의 주관을 갖고 여행지에서 느낀 속삭임을 들으며 시야가 넓어지고 있는 사람이 많다. 반면에 부정적 측면으로 보자면 한없이 가벼운 여행기들은 단지 소비욕망을 부추기는 일종의 광고와 같은 자극제일 뿐이다.

고로 여행기는 누가 썼는가, 어떤 취향의 사람인가가 구매를 좌우한다고 할 수 있겠다. 마크 트웨인은 우리에게 <톰 소여의 모험>이란 동화작가로 축소되어 알려진 작가가 아닌가 싶다. 그의  글은 일단 젠체하지 않으며 솔직하고 위트가 넘친다. 1896년에 쓰여졌으니까 한 세기도 훌쩍 넘긴 이 책을 선택한 데는 마크 트웨인의 기질이 무엇보다도 마음에 들었기 때문이다.

두 권으로 구성된 이 책은 19세기에 유럽일주를 하면서 주관적 감정을 서술하고 있다. 서문에 썼듯이 마크 트웨인은 "흥미로운 대상들을 어떻게 봐야하는지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보였는지" 쓰고 있다. 사람을 가르치려고 하는 여행기만큼 재미없는 게 또 있을까. 그런 점에서 트웨인의 "소풍"에 관한 기록은 일단 안심이다.

상권은 프랑스와 이탈리아에 할애되어 있다. 후반부는 이탈리아에 할애되어 있는데 지금 읽어도 공감할 수 있을만큼 보편적 시각이 눈에 띈다. 르네상스기에 회화에 대한 반응은 귀엽고 <최후의 만찬>에 대한 그의 견해에는 박수를 보낸다.

"<최후의 만찬> 앞에 서서 사람들이 자기들이 태어나기 100여년 전에 이미 그림에서 없어져 버린 경이와 아름다움, 완벽함에 감탄하는 걸 듣고 있자니 바로 이런 생각이 든다. 우리는 이미 나이든 얼굴에 있었던 예전의 아름다움을 상상할 수 있을 뿐이다. 말라빠진 그루터기를 보면서 숲을 상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이 거기에 있지 않을 떄는 절대 볼 수 없는 것이다. 능란한 예술가가 <최후의 만찬>에 쏠려서 암시로만 남아 있는 광채를 되살려서 이젠 없어져 버린 색조를 새로이 부여하여 사라져버린 표정을 복구할 수 있다고 믿으련다. 또 그들은 마침내 그림 속의 인물들이 생명력과 신선함, 정말이지 처음 거장들의 손에서 나온 그 고아한 아름다움을 지닌 채로 번쩍이며 화가 앞에 드러날 때까지 개칠할 것이다. 하지만 나는 이러한 기적을 행할 수가 없다. 아무런 영감이 없는 다른 방문자들은 할 수 있을가 혹은 할 수 있다고 행복하게 상상만 하는 것일까?"

솔직함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이 대목말고도 이런 구절들이 도처에서 즐거움을 준다. 알랭 드 보통이 말했듯이, 여행이란 안내서에 나온 설명에서 희열을 얻는 게 아니다. 예측하지 못하게 만났던 사소한 풍경, 사물과 에피소드에서 여행은 개인의 역사 속에 각인된다. 비오는 날에 한적한 공원을 걷다 만난 개의 표정이라든지 새벽에 잠에서 깨어나기 전 청소 중인 거리라든지..어떤 도시나 공간을 떠올릴 때 기억 속에 자리잡고 있는 것은 바로 평소에는 무심코 흘려보내는 하찮은 것들이다. 마크 트웨인 덕분에 앉아서, 게다가 크루즈 여행!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