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스케치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2
도리스 레싱 지음, 서숙 옮김 / 민음사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게된 동기는 순전히 제목 때문이다. 원제도 London Observed: Stories and Sketches. 영문학계에서는 페미니즘 작가로 알려져있나본데 내 유일한 관심은 '런던'이었다. 한 친구가 겨울에 두달쯤 뉴욕을 갈까, 런던을 갈까 행복한 고민을 하는 중이다. 가만히 돌이켜보니 그 친구의 말을 듣고 런던 스케치를 산 것 같다. 표지에 실린 타워 브리지의 포스하며..

굉장히 짧은 단편 소설들로 이루어져 있다. 런던어들의 한 단면을 스케치이긴 하지만 무덥고 습한 여름에 읽기에는 너무 무겁다. 이 책의 첫 단편 <데비와 줄리>에서 십대인 줄리가 혼자서 아이를 출산하고 버리는 과정을 강렬하게 묘사한다. 범상치 않은 이 강렬함이 다음 책장을 넘기도록 자극하긴 했지만 독서의 즐거움을 주는 책은 아니다.

단편 속 인물들은 너무 외롭고 고통스러워 한다. 책을 읽으면서 내 마음은 그들의 고통을 헤아리려 하지 않는다는 것. 그들의 외로움은 우리 문화와 많이 다른 가족체계에서 출발한다고도 할 수 있다. 나아가 사회체계에 이르겠지만. 출가 전에는 공식적으로 부모의 품에 기대어 사는 걸 당연시하는 우리 사회는 좋은 사회라고 주장하고 싶다. 특히 나처럼 이기적인 캥거루족한테 서양의 가족제도는 생각하기도 싫은 끔찍한 것이다.

오늘 피부과에서 필링의 자극에 대해 미리 호들갑을 떨었다. 내 호들갑에 주춤해서 의사는 오늘 내려야 할 처방도 다음으로 미뤘다. 나는 참 신체적 고통을 무서워한다. 도리스 레싱의 관점으로 둘러본 런던은 런던어가 아닌 관광객 신분에 감사하도록 한다. 거주자의 고통을 안 겪어도 되니까. 그렇담, 서울 거주자로서의 고통은 무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