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루벤스의 그림과 생애
야콥 부르크하르트 지음, 최승규 옮김 / 한명출판사 / 1999년 12월
평점 :
루벤스에 관해 내가 알고 있는 것은 마리아 데 메디치의 연작 뿐이다. 루브르에서 따로 홀을 갖고 있지만 대작들로 지루한 연작이라고 생각했다. 들라크르와 책을 읽으면서 루벤스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이 지루한 연작은 극히 일부일 뿐이라는 걸 새삼 알게되었다. 더불어 내 기억 속에 있는 루벤스의 그림은 모두 루브르에 전시된 것들인데 이 책 도판을 보면 뮌헨의 알테 피나코텍에 흥미로운 그림들이 많이 있다. 루벤스의 특징인 근육질로 이루어진 인물들과는 달리 풍경과 인물이 조화를 이루는 작품들이 있나보다.
그는 다작을 한 작가였다. 앤트워프에서 작업을 한 그림이 유럽 전역으로 실려나가는, 요즘식으로 표현하자면 베스트 셀러 작가였던 셈이다. 그리고 그림의 규모가 큰 것에 대한 궁금증이 풀렸다. 지금은 주로 미술관에 걸려 있어 공간과 그림의 크기가 불균형해서 사실 아름다움을 알아보기가 쉽지 않다. 이 책의 저자는 루벤스의 안정된 구도를 칭찬하는데 실제로 그림이 너무 커서 구도를 한 눈에 보기가 쉽지않다. 그림 속에서 금방이라도 살아서 움직일듯한 근육들이 시야를 압도해서 약간 숨이 막히기도 한다. 이렇게 그림이 커다란 이유는 주로 제단화로 주문되었기 때문이란다. 그러니까 주로 천장이 높은 고딕성당에 걸기 위한 그림들이었고 당연히 커야만 사람들이 볼 수 있었던 실용적 이유를 이제야 알았다.
루벤스의 그림을 보면 무중력 상태의 우주같다. 화폭 전체가 사람들로 그득하다. 허공에서 떠다니는 근육질의 건장한 인물들, 그 아래는 땅이라는 것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인물들의 포즈는 위에 있는 인물들과 마찬가지로 발이 땅을 딛고 있다기 보다는 허공을 통해 땅이 살짝 보이는 느낌이다. 여백의 미라는 것과는 반대로 가득함의 미학이라고나 할까. 인물들의 리듬감 있는 역동성이야 잘 알려진 루벤스의 엠블렘이고.
이 책의 미덕은 도판이 생생하게 실려있다는 점이다. 알라딘에서는 품절이어서 예스24에서 구입했는데 도판만 쭉 다시 봐도 흐뭇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