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카소의 달콤한 복수 - 현대예술에 대한 거침없는 풍자
에프라임 키숀 지음, 반성완 옮김 / 마음산책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읽으면서 재미있었지만 읽고 나서는 책 값이 아까운 책이다. 부제에 쓰여있듯이 "현대예술에 대한 거침없는 풍자" 이외에는 내 시각을 기르는 데 크게 도움이 되진 않는다. 솔직히 말하면 현대미술의 의도들은 알겠지만 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없다. 그렇다고해서 저자가 말했듯이, 현대예술은 유머에 있다는 데 나는 현대미술을 보고는 웃을 수도 없다. 그러므로 자연스럽게 현대미술에 무관심하게 되고 오히려 고전미술로 무게중심을 두게된다.

키숀의 말 중 가장 마음에 든 말은 바로 요것.

"자신의 작품이나 자신의 예술을 감상하는 관객에 대한 사랑 없이 진정한 예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남을 위하는 배려나 애정이 빠지게 되면 이기주의나 오만, 허영심, 아니면 효과만을 노리는 마음만이 중요하게 된다. 예술은 관객이 작품에 접근할 수 있고, 인간의 영혼과 정신에 호소할 수 있어야만 비로소 가능할 수 있다. 예술은 그림을 보는 관객에 의해 비로소 생겨나는 것이다.

현대예술이 저지르고 있는 최대의 죄악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관객을 무시하거나 심지어 경멸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됨으로써 아름다움은 예술로부터 추방다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예술에 대한 사랑 역시 사라져 버릴 운명에 처해 있다. "

그러니까 키숀의 말에 따르면, 현대미술에 대한 내 무관심은 무죄인 것이다.^-^ 그렇다고해서 전적으로 보는 사람의 비위를 맞추라는 말은 아니다. 작가가 느끼는 것을 관객이 함께 느끼도록 하는 것, 이것은 미술 뿐아니라 문학을 비롯한 모른 예술 범주에 해당하는 불변의 원칙이라고 할 수 있겠다.

키숀은 비평가를 백해무익하다고는 생각지 않는듯한데 나는 생각이 조금 다르다. 키숀도 예로 들고있듯이 미디어를 통한 비평가의 힘은 세다. 대중은 미디어를 믿고 비평가의 명성을 믿기 때문이다. 묻혀진 작가를 재조명해서 작품과 작가에게 생명력을 불어넣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도 비평가일 수 있다. 문제는 작가가 지닌 예술적 지능이나 작품의 완성도에 관계없이 선동해서 대중을 부화뇌동시키는 데 있다. 그리고 이런 대중심리를 이용한 상업 환경이 왜곡된 방향으로 나아가는 도미노 현상이다. 예술이 상업적 성공을 거두는 것이 나쁜 것이 아니라 예술의 이름으로 상업적 성공만 추구하는 거짓 예술은 장기적으로 보면 예술의 토대를 척박하게 만들 것이다.

어쨌거나 양적으로 풍부한 예술활동이 선행되어야 질적으로도 발전이 있다. 우리나라의 현재 상황, 양적 풍요로움이 이끌 결과는 조금 있으면 윤곽이 잡힐 것이다. 나야 취미삼아 이것저것 기웃거리는 정도니 내 바람은 딱 한가지다. 질적으로 풍요로와져서 전시다운 전시를 볼 수 있었으면 하는 것 뿐이다. 

요즘 경향대로라면 초등학생들이 숙제든 엄마의 교육열에 이끌려서든 각종 전시회 주고객이다. 이들이 대학을 들어갈 때쯤이면  비록 강제적으로 학습되었지만 안목이 높아져 있지 않을까 싶다. 그러면 지금같은 졸렬한 전시기획은 없어지지 않을까나. 더불어 미술전문 서적의 풍요로움도 기대해본다. 우리나라의 미술서적은 참으로 민망하다. 수필같은 책이 많아서 작가에 대해 구체적 정보를 얻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대중의 눈높이를 맞추려는 의도는 알겠지만 미술학자의 책이 없다는 것도 참 아쉬운 점이다. (아님 내가 못찾았나) 일단 한국작가가 쓴 책보다는 번역서를 먼저 택하게 된다. 적어도 미술서에서만은. 이건 번역세계의 문제일수도 있겠고나.

얘기가 삼천포로 빠지니 고만 적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