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년 ㅣ 한림신서 일본현대문학대표작선 1
다자이 오사무 지음, 유숙자 옮김 / 소화 / 1997년 10월
평점 :
품절
다자이 오사무의 책을 또 읽었다. 이 책은 단편소설집이라고 하지만 소설이라고 하기에는 작가의 목소리가 너무 선명하다. 이야기를 전개하다 불쑥 작가가 등장해서 소설이 형편없다는 둥, 어떻게 끝낼지 모르겠다는 둥, 자신이 쓰고있는 이야기의 완성도에 대한 불안과 좌절을 특유의 어조로 늘어놓는다. 소설이 주는 형식미, 소설이란 서사구조에 대한 감동이나 아름다움을 기대하는 사람은 다자이의 책을 읽다 분명히 던져버릴 것이고 그를 영원히 형편없는 작가라고 기억할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왜 늘 다자이 오사무에게 관대한가? 내 인생이란, 영화를 보고, 책을 읽으면서 어쩌면 남의 삶을 기웃거리도록 운명지워졌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요즘은 강하게 든다. 자신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 많은 이들의 인터뷰며 급조된 책이나 넘쳐나는 정보들을 읽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 또한 나의 운명이니 말이다. 한때는 그런 인터뷰에서 감동을 받은 적도 있긴하다.
그러나 인터뷰란 것이, 그리고 대중매체라는 것이 그들의 고뇌나 단점보다는 장점과 일반인과 다른 점을 부각시키기 마련이다. 어느 순간에 그들은 모두 태어날 때부터 작은 습관 하나조차도 유별나게 다른 사람들이 되버리고 만다.즉 떡잎이 다른 것처럼 묘사한다. 이런 천편 일률적 접근 방법은 금방 싫증나기 마련이고 내 습관은 몹쓸 것이라고 자학하고 있기도 한다. 우리 사회가 어떤 식으로 영웅을 만드는지 알면 이런 접근방법은 더더욱 염증이 날 수 밖에 없다. 영웅, 그들이 하찮아서가 아니라 그들의 실체를 알지못한 채 만들어진 이미지, 즉 매체가 조작한 이미지만을 믿게 된다. 물론 책은 대중매체와는 조금 다르긴하지만 평전이나 전기가 대체로 이런 범주에 든다.
다자이 오사무는 이런 일반적 영웅의 이미지와 정반대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글을 쓰면서도 확신이 없고, 젠체하지 않으며 불안으로 가득차있다. 그렇다고 자신감이 없진 않다. 어조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은 그 누구보다도 교만하다. 그 교만을 지탱하는 것이 불안과 조울증이라는 걸 아는 것이 아니라 느낄 때 그의 작품과 그는 일치한다.(뭐, 많은 작가들이 자신과 작품을 별개로 생각하길 바랬지만 난 아직도 일치점을 찾고 있다) 겉과 속이 같은 사람을 어떻게 비난할 수 있겠는가. 그의 작품들이 소설이란 범주에서 벗어나있지만 한 사람을 이해하는데 형식에서 벗어난 것이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의 글들을 읽으면서, 난생 처음으로, 일본어를 배우고 싶었다. 그의 문체가 어떠한 것인지, 그는 불안을 어떤 단어와 문장조합으로 구성했는지, 궁금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