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너리그
은희경 지음 / 창비 / 200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은희경의 책을 다 읽었다고 생각했는데 집에 찾아보니 <마이너리그>는 없었다. 고로 안 읽었을 가능성이 높고, 마침 새 소설집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를 사면 덤으로 주었다.  <마이너리그>를 읽었던 1박2일, 너무 행복했다. 어제 미장원에서 머리말고 있으면서 혼자 낄낄거리고 밤에 졸음으로 내려오는 눈꺼풀을 홉뜨면서 키득거렸다. 오늘 사무실에 나와 노트북만 켜 둔 채 어젯밤 남긴 부분을 마저 읽으며 또 키득거렸다. 남아있는 책장이 줄어들수록 웃을 수 있는 시간도 소멸해가는 것에 안타까워하면서도 계속 키득거렸다.

줄거리인 즉, 고등학생이었던 그 유명한 58년 개띠 만수산 4인방이 마흔이 되기까지의 여정이다.  몸으로 사는 인물형(다리를 떤다!)이지만 어딘지 신비한 두환, 대표적인 떠벌이형이면서 대한민국 남자들의 대표격인 조국, 여자를 제외하곤 마음 쓰지 않는 어설픈 바람둥이 승주, 이 세 친구와 만수산 4인방이라는 것에 늘 거부감을 갖고, 나름 자의식이 강한 본인은 수재라고 생각하지만 일종의 잔머리형이라고 할 수 있는 형준의 이야기이다.  이 네 사람 중 사랑스럽지 않은 인물이 없다.

근 이십여년에 걸친 이야기를 풀어가는 데 아주 친근한 이야기들이다. 십대 때 자신의 삶이 어떻게 전개될지 아무도 짐작할 수 없다. 그렇다고 이십세, 삼십세가 되면 알 수 있는가 하면 전혀 그렇지 않다. 이십대 때의 나는 서른 이후의 사람에게서 어떤 비장미를 넘어 슬픔을 느끼기 조차했다. 서른이 넘어서 자기 인생에 한 획을 긋지도 못하고 가늘게 살아가는 인생을 버릇없이 가엽게 느꼈었다. 내가 막상 서른이 넘어보니 이 얼마나 무례한 발상이었는지 깨달았다.  사십, 오십이 넘은 삶에는 연민이 없다. 나도 사십이 되고 오십이 될 것이므로  연민이 있다면 내 삶 자체에 연민이 있다고 할까. 그렇다고 두 손 놓고 목 놓아 슬퍼하는 일 따위는 하지 않는다. 단지 그렇단 말이고 사십, 오십이 되어서도 생각지 못한 곳에 내가 있을 수 있고, 이제 그런게 인생이지 하는 배짱이 생겼다. 형준이 생각했듯이 말이다.

"사람들은 자기에게 보이는 것을 중심으로 그저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그러다 어느 한순간 멈추고 돌아보니 그렇게 의식없이 보내버린 시간이 쌓여서 바로 자기 인생이 되었다는 걸 깨닫는다. 그때 그는 이렇게 말할지도 모른다. 뭐라고? 나는 좋은 인생이 오기를 바라고 이렇게 살아가고 있는데, 아직 인생다운 인생을 살아보지도 못했는데, 그런데 내가 무턱대도 살아왔던 그것이 바로 내 인생이었다고?"

이 소설 속의 4인방은 나와 같은 보통사람이다. 자기 멋에 살아가고 가끔 고뇌하지만 대체로 헤벌쭉대는 보통사람말이다. 마지막 부분에 있는 두 페이지에 걸친 승주와 조국의 맥락없는, 그러나 모든 우주적 주제에 관한 대화를 읽으면서  박장대소했다. 나와 내 친구들이 나누는 맥락없는 대화같기 때문이다. 통념상 마이너와 메이저란 단어를 사용한다면, 대부분은 마이너에 속하고 마이너들이 세상을 이루고 있다. 지배는 메이저가 하지만. -.- 산을 우거지게 보이게 하는 건 나무가 아니라 이끼나 칡같은 "착생 식물"이라고 말했듯이.

 또한 개인사를 통해 드러나는 군부독재를 관통하는 여러가지 사회배경에 대한 유머와 조롱은 은희경만의 색채이다. 이래서 은희경의 소설은 내게 특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