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현대사 산책 1970년대편 1 - 평화시장에서 궁정동까지 ㅣ 한국 현대사 산책 9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2년 11월
평점 :
70년대는 박통의 시대다. 기억을 더듬어보면 학교에서 근/현대사 부분은 늘 뒷부분에 배치되어 있었다. 2월이면 수업이 거의 이루어 지지 않았고, 근/현대사 부분은 늘 깨끗하게, 밑줄 하나 치지 않은 채 역사시간이 공식적으로 끝나곤했다. 그리고 새 학기가 시자되면 다시 고조선부터 배우는, 아니 암기하는 죽은 역사 교육이 반복되곤했다. 근/현대사는 그렇게 역사책에서 부록으로 남아있는 것으로 기억된다. 어린 마음에 지루한 고조선이 나오는 앞부분만 맨날 반복하지말고 거꾸로 수업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었다.
70년대는 내가 숨을 쉬고 있었던 시대이지만 사물의 이치를 판단할 수 없는 아기 때이다. 박통 시기를 살았지만 박통 시기를 들여다볼 수 있는 능력을 지닌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당시의 사건들, 비화들이 80년대 후반 민주화란 이름하에 90년대에 걸쳐 에피소드들이 파편처럼 흩어져 나왔었다. 90년대에는 그동안 말하지 못했던 것을 말할 수 있는 기쁨에 성찰보다는 센세이셔널한 효과가 더 컸었던 것 같다.
2000년대 들어서 경제는 침체기고, 우리 사회와 개인의 삶 속에 깊숙하게 스며있는 파시즘의 근원을 추척하면서 박통 시기가 성찰되고 있다. 사실, 이 정도로 심각한 줄 몰랐다. 박통은 대통령이라기 보다는 절대 권력을 행사하는 봉건시대의 군주와 같은 모습이다. 오늘날의 사회, 정치, 경제 문제는 최근의 일이 아니라 수십년 동안 계속되온 구조적 문제점 때문이다. 이 구조적 문제점을 인식하고 같은 실수를 되풀이 하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역사를 반추하는 이유다.
이런 책을 읽고 숙지해야할 사람은 사실 정치권이나 지배층이다. 그러나 그들은 과거에 관심이 없을 것이고 현재 얻을 수 있는 것에만 관심이 있을 것이다. 국가는 개인이 만든다. 의식있는 개인이 없는 한 박통의 변종은 끊임없이 나올 것이다. 그러면서 나란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이란, 역시 내 앞의 이익을 챙기기에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을 본다. 부르주아적 삶을 영위하면서, 또는 꿈꾸면서 의식의 한 귀퉁이에는 미미한 저항이 있다. 이 미미한 저항을 볼때마다 나는 이중인격자고 비겁하다는 생각을 떨칠 수 없다. 까뮈의 자살, 벤야민의 자살, 전태일의 분신자살을 감히 이해한다고 말하고 싶다. 이해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은 별개다. 나는 행동하는 인간이 아니라 이해하는 인간으로 남아 하늘이 내게 준 생을 다 할 것이다. 이해하는 인간의 고통, 그것이 내 운명이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