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꽃을 저녁에 줍다
루쉰 지음, 이욱연 엮고 옮김 / 예문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작년에 산 책을 올해 주워들었다. ^^

산문이라고 하기에 아주 짧은 글들 모음이지만 시류를 담고 있고, 고민한 흔적들이 날카롭게 전개된다. 마치 김훈 씨의 <밥벌이의 지겨움>에서 느꼈던 상쾌함이 있다. 구체적 배경을 다 알수 있는 건 아니지만 추천의 글에 리영희 선생의 말대로, "루쉰의 글 속에서 오늘날의 우리와 나를 본다."

20세기 초에 진보적 생각을 품은 이가 루쉰 혼자는 아니지만 글 속에 녹아있는 날카로움은 루쉰만의 색채일 것이다. 놀라운 점은 상당히 공격적이라는 점이다. 그래서 루쉰의 글을 내가 읽고 있겠지만.  지식인의 고뇌와 고민이 수동적이고 체념적 어조이기 쉬운데 루쉰은 약간 투쟁적이다.

글을 쓰고 이렇게 절규한다. " .....이상은 모두 빈말이다. 붓으로 쓴 것이 대체 무슨 소용이 있단말인가. 총에 맞아 청년의 피가 쏟아졌다. 피는 먹으로 쓴 거짓으로는 가릴 수 없으며, 먹으로 쓴 만가輓歌로도 취하게 할 수 없다. 그 어떠한 위력으로도 짓누를 수 없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정신을 개혁할 수 있는 것은 문학과 예술 뿐이며 한 사람이라고 깨어나게 할 수 있다면 글을 쓰겠다고 한다. 그래서 실제로 글을 썼다. 그는 희망에서 절망을 보지만 그의 절망 속에서 후대는, 희망을 보았다. 20세기 초반의 인물의 글이 한 세기를 넘는 21세기에도 읽혀지는 이유이다.

"인생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것은 꿈에서 깨어났으나 갈 길이 없는 것입니다. 꿈을 꾸고 있는 사람은 행복합니다. 아직 갈 길을 발견하지 못했다면, 제일 중요한 것은 그를 꿈에서 깨우지 않는 것입니다." 루쉰이 말하는 꿈이란 미래에 대한 희망이 아니라 현재에 대한 꿈이다. 미래는 잊고 현재를 위해 꽃을 피우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