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성석제 지음 / 창비 / 200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대나 희망은 실망과 절망을 낳기 마련이다. 기대나 희망이 긍정적인 가치로 자리잡은 것은 절망을 이겨보려는 인간의 처절한 몸부림일지도 모른다.  판도라의 상자에 유일하게 남아 있었던 것이 희망이었듯이 말이다. 성석제의 이름으로 적잖은 기대를 했고, 기대했던 만큼 실망스럽다. 그렇담 내 판도라 상자에는 무얼 넣어야할까?

단편들 자체는 유려하고 재밌다. 무엇보다도 우리말을 구사하는 유연성은 마치 스릴있는 곡예를 보는 것처럼 아찔한 체험이었다. 그러나 이기호, 김영하, 박민규, 김경욱의 단편들이 주는 강렬함을 이미 알고 있는 사람에게 성석제의 소설집은 힘이 딸린다. 그이들의 소설이 산악지대를 힘있게 올라가는 4륜 구동 차라면, 성석제의 소설은 좁고 한적한 국도를 안정감있게 달리는 중형차 같다. 4륜 구동에 앉아서 산악의 높낮이를 가늠할 수 있어 역동적이지만 성석제의 소설은 소음도 별로 만들지 않으면서 주변 경치를 감상하게 선사하는 관찰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게 만든다.  

성석제보다 조금 연배가 어린 일련의 작가의 소설들이 환상적이지만 현실의 단면을 볼 수 있다. 그것이 내가 그이들과 이루고 있는 시대적 감수성 때문인지도 모르겠지만. 그러나 성석제의 소설은 환상성만이 느껴져 말 그대로 소설에나 나올 법하다. 황만근, 남가이 등 비주류적 인물들의 분위기에서 아무런 메시지를 읽을 수 없다. 토속적이지만 입체감이 없다. 그들은 필연이 만들어낸 인물이 아니라 이야기를 위해 만들어진 철저한 허구적 인물이기 때문인 것도 같다.

다른 이들은 어떻게 생각하나 궁금해서 다른 이들이 쓴 리뷰 몇 편을 읽어보았다. 그들 역시 썩 흡족하지는 않은 듯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집의 판매지수는 이기호나 김경욱 소설집의 지수와 비교가 되지 않는다. 나는 그 이유를 <꽃의 피, 피의 꽃>에 이런 글귀에서 찾아본다.

"노름은 믿음이다. 자신에 대한 믿음, 자신의 운에 대한 믿음, 노름의 일회성에 대한 믿음, 인생의 일회성,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이 노름을 하게 한다. 누구의 믿음이 큰가, 철저한가에 따라 이기고 진다. "

이기호나 김경욱의 소설집이 내 편애적 취향일 수있겠지만 다른 독자들에게는 성석제라는 패에 대한 믿음이 큰 때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