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국영이 죽었다고?
김경욱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5월
평점 :
품절


읽은지 여러 날이 지났지만 무슨 말을 쓸지 모르겠다. 내가 읽은 첫 소설집, 즉 이 소설집 전 소설집, <누가 커트 코베인을 죽였는가>를 읽고 당시에는 그닥 마음에 들지 않는 작가였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비슷한 연배 작가들보다 내가 좋아하고 있는 것을 깨달았다. 현대 작가들의 소설을 다시 읽기 시작한 건 얼마되지 않았다. 아무런 글도 읽을 수 없을 때, 현대 소설은 유용하다. 활자 중독은 아니지만 며칠이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삶을 낭비하고 있다는, 정말이지 쓸데 없는 두려움에 사로잡힌다. (사실은 이 두려움 때문에 내 인생을 허비하고 있는지도 모르는데 말이다.) 소설이라도 읽으면 두려움을 조금은 진정시킬 수 있다.

김경욱 작가의 소설집 제목은 모두 대중문화와 관련이 있다. 바그다드 카페, 베티, 커트 코베인, 장국영. 그리고 부재나 상실과 관련이 있다. 커피가 없다, 누가 죽였나, 죽었다고에서 보는 것처럼 말이다. 지난 번 소설집보다 문장이 매끄러워지고 거슬리지 않는다. 그러나 충격은 덜하다. 작가가 말하는 방식에 이미 익숙해졌다고 할 수도 있겠다. 작가와 같은 시기를 살아왔고, 같은 문화를 체험고 있지만 인터넷 문화 속으로 나는 작가만큼 깊숙히 들어와 있는 것 같진 않다. 인터넷이 만들어주는 우연에 기반한 서사는 흥미로우면서도 낯설다.

김경욱의 단편들에서는 차가운 냉소가 돋보인다. 차가운 대리석 위에 맨살이 닫는 느낌이 좋으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절망적이어서 싫기도 하다. 대리석에 닿은 살은 처음에는 차갑지만 시간이 흐르면 살은 체온을 빼앗기고, 대리석은 체온을 얻어서 차가움을 느끼지 못하는 순간이 온다. 이 때, 따뜻해졌다고 착각할 수 있고, 실제로 대리석의 차가움은 더 이상 고통스럽지 않다. 그러나 이 소설집은 내 체온만 계속 빼앗가는 것 같아 점점 한기만을 준다. 읽으면서 따뜻한 온기가 간절하다. 책에서 이렇게 온기를 갈구하는 걸 본다면, 실제 내 삶에 온기가 부족한건 아닐까, 또 두려운 생각이..-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