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팡질팡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지
이기호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기호! 좀 이른 감이 없지 않지만 올해의 발견이다. 독특한 스타일로 짜여진 찌질한 주인공들의 일상을 풍자적으로 그리고 있다. 키득거리면서 이 소설집을 읽고 있노라면, 알것 같아, 그 마음..하는 말이 입가에 맴돈다. 웃음 속에서 발견하게 되는 처연하고 씁쓸한 뒷맛이 음주 후에 찾아오는 두통처럼 묵직하다. 주인공들은 상식을 벗어난 행위를 하고 있고, 그 속에서 깊은 고독이 전해져 온다. 그들을 고독하고 두렵게 만드는 건 뭘까. 작가 후기에서 밝혔듯이, 작가가 처해 있는 상황, 즉 직업적 소설가로서 겪게되는 정체성과 혼란의 문제다. 이런 글을 읽는 건 반갑다. 벌써 마감했어야할 질풍노도의 시기를 나는 지금도 겪고 있다. 그렇지만 괜찮아. 질풍노도기를 겪는 건 너뿐만이 아니야, 하고 이 소설집은 속삭이는 것 같다.

내 청춘을 갉아먹고 세상을 보는 눈을 어둡게하는 직장 생활 속에서 하나의 돌파구가 있었다. 바로 학교. 학교란 공간은 이중적이다. 제 나이에 다닐 때는 숨막히는 곳이지만 더 이상 다닐 수 없게 될 무렵이면, 무릉도원까지는 아니어도 그 어느 곳에도 없는 귀한 보물이 숨겨져있는 것처럼 여겨진다. 피곤한 몸과 달리 마음만은 쌩쌩해져서 오리엔테이션에 참석했다. (이것도 벌써 몇 년 전이구나) 지인들에게 이제 직업을 바꿀 것이라고 헛소리를 해댔다. 이렇게 초롱초롱한 마음으로 앉아있는 신입생들에게, 그러나 대학원장님 왈,  글써서 밥 먹고 살 수 없다. 영화 만들어서 밥먹고 살 수 없다, 하셨다. 즉 내 꿈과 달리 직업을 바꿀 수 없단 말씀을 첫 시간에 하셨다. 그래도 나는 믿지 않았다. 세상에 많은 사람들이 있고, 그 중 제 뜻대로 사는 사람은 적지만 그래도 있다. 난 그래도 있는 쪽에 속할 수 있다고 믿.었.다..믿고 싶었다. 그때나 지.금.이.나.

하지만 세상은 마음 먹은대로 되지 않을 뿐더러 호락호락하지도 않다. 부지런한 사람에게도 그럴진대, 게으른 내게는 더 미지수다. 현재의 상황으로 보면 대학원장님이나 까칠한 한 선배의 말이 증명되고 있는 것 처럼 보여 이따금씩 두렵기도 하다. 글을 써서 밥을 먹겠다는 생각은 처음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지않을까, 싶다. 밥벌이로서의 글쓰기보다는 글쓰는 행위 자체를 열망한다고 해야할 것이다. 그러면서 밥벌이를 놓을 수 없고, 일은 좀 줄였지만 어쨌든 계속 하고 있고, 앞으로도 해야한다.

이런 현재의 상황은 뭐랄까, 한편으로는 아늑하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걷잡을 수 없는 갈등 요인이다. 다들 가정을 이루어 심리적 경제적 안정을 이룬 친구들을 보면서 내 성장이 이십대에서 멈춘 것처럼 느낄 때도 있다. 물론 내가 선택한 삶이고 후회하거나 그들의 삶을 부러워하는 건 아니지만 동요가 없다는 건 거짓말이다. 나도, 다들 그러는 것처럼, 안정되고 내가 잘하는 것만 하면서 취미생활이나 하며 시간을 보내고 싶은 생각도 든다. 도대체 어떻게 생겨먹었길래, 갈지자로 왔다갔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알면 이렇게 갈팡질팡하지 않겠지만. 낙천적 성격이 내 삶의 원동력이기도 하지만 내적으로는 폭풍 속에 혼자 놓여있는 것 같다.

작가가 후기에 적어 놓은 말이 있다.

소설이 잘 써지지 않을 때마다
내가 중얼거리는 말이 있습니다.

겁 많은 두 눈아, 겁내지 마라.
부지런한 네 두 손이 다 알아서 해줄 테니.

나에게 위로가 되었던 이 말이,
당신에게는 미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나는 미소지을 수 없다.  게으른 내 두 손은 다 알아서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