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소설 읽는 노인
루이스 세풀베다 지음, 정창 옮김 / 열린책들 / 2001년 3월
평점 :
절판


마지막 책 장을 덮으면서 나는 과연 소설을 왜 읽는 걸까, 하는 근본적 물음을 다시 던진다. 나는 서사구조가 탄탄한 소설보다는 심리나 사회적 분위기가 잘 드러난 소설을 즐기는 것 같다. 인과관계 없이 감정에만 기대는 서사 중심의 이야기에 나는 전혀 감동하거나 느낌을 받을 수 없다. 이 소설이 마술적이지 않다고 했지만 난 마술적 느낌을 받았다. 꽉 찬 인물들과 배경 묘사는 장황하고 무거워서 더운 나라의 예술적 정서를 느끼기에 충분했다.

안토니오 호세 볼리바르란 노인은 연애 소설을 읽는다. 그에게 연애 소설이란, 야만성과 거리가 먼 순수한 자연의 상태를 의미한다. 노인은 자연과 인간계, 비문명과 문명의 매개자이다. 그는 글자를 쓸 수는 없지만 글을 읽을 수 있고, 아마존의 인디오가 아니지만 인디오말을 하고 인디오처럼 살아간다. 또 동물들과 교감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읍장을 비롯한 인간 무리가 벌이는 사냥의 길잡이 역할을 하기도 한다. 노인은 인간의 횡포에 죽음으로 맞서는 삵쾡이와 대적을 한다.

나는 이런 줄거리와 메시지에서 아무 것도 느낄 수 없다. 노인이 읽는 연애 소설 글 귀에 이런 말이 있다.

"폴은 모험에 다라 나선 친구이자 공모자인 사공이 다른 곳을 보는 척하는 도안 그녀에게 뜨겁게 키스했다. 그사이에 부드러운 방석이 깔린 곤돌라는 베네치아의 수로를 따라 유유히 미끄러지고 있었다."

노인은 이 문장에서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뜨겁게 키스 하는 것이 어떤 건지 모르고, 또 베네치아의 곤돌라가 왜 수로를 따라 미끄러지는 지 모르기 때문이었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바로 노인의 심정을 가졌다. 삵쾡이와 아마존 밀림의 나무들과 동물들이 낯설고 단어 하나하나를 음미하는 노인에게 애정을 줄 수 없기 때문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