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 마그리트 시공아트 18
수지 개블릭 지음, 천수원 옮김 / 시공아트 / 200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르네 마그리트전을 하고 있다. 전시회에 갈때마다 인물중심의 회화나 사진, 소품에 한정된 작품들 때문에 차라리 책을 사 볼 걸 하면서 후회를 하고 온다. 결정적으로 지난 번 만 레이 사진전에 갔었을 때다. 많은 작품 수에 다시 한번 속아 설레는 마음으로 예술의 전당으로 향했다. 그러나 역시나 였다. 전시 작품들은 전성기 때를 벗어난 작품들이 대부분이었다.

마그리트 전 역시나 그럴 것을 확신하고 전시회 대신 책을 읽었다. 그런데 책 역시 만족스럽지 못하다. 마그리트 해설서에 가깝기 때문이다. 나는 마그리트의 그림에서 깨달음을 얻을 수는 있지만 감동을 받을 수는 없다. 사물을 관념화하는 그의 노트나 습작들을 보니 더더욱 그의 그림들로부터는 보는 즐거움을 찾을 수 없다. 가령, <헤겔의 휴일>이란 그림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그가 적어 놓은 글을 보자.

"...나는 헤겔(또 다른 천재)이 두 개의 대비되는 기능을 지닌 이 오브제에 대하여 매우 예민하게 반응하였을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두 가지 기능이란 어떠한 물도 인정하지 않는(물을 거부하는) 동시에 물을 인정하기도(물을 담는) 하는 것입니다. ..."

마그리트의 이러한 사유체계를 존경하지만 그림을 보고는 아무런 감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림을 보는 내 기준이란 그야말로 시각적 아름다움, 더 그럴듯하게 말하자면 시적 아름다움에 머무르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마그리트는 철학적(특히 비트겐슈타인) 사유를 했던 사람이다.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 그리고 사물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려는 그의 노력을 닮고 싶지만..그림은..흠.

회화 자체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보다는 현상과 사물의 정반합에 대한 연구가 우선시되는 마그리트 그림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어떤 부분에 끌리는걸까.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