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가족 이야기를 주로 가족의 부재와 상실을 통해 다룬다. <어느 가족> 역시 가족 이야기인데 가족 바깥에서 휴식을 얻는 유사 가족 이야기다. 전반부에서는 각 구성원들이 낮에 뭘 하다가 저녁에 집에 들어와 모이는지를 보여준다. 학교에 있어야할 어린 아이는 아빠로 보이는 어른과 마트에서 물건을 훔치는 기술을 연마하고, 어린 남자 아이의 동생으로 보이는 더 어린 여자 아이는 별 일 없으면 도둑질에 동참할 미래를 가질 것처럼 보인다. 성년인 언니는 핍쇼를 하는 곳에서 일하고, 엄마는 동네 사람들의 수근거림으로 보아서 전직 성매매를 했던 사람이다. 할머니는 남편을 다른 여자에게 빼앗겼고, 그 여자의 자식에게 돈을 받곤했다. 이들이 낮에 시간을 보내는 방법을 제외하면 특별히 다른 게 없는 저녁 시간을 보낸다. 함께 밥을 먹고, 이따금씩 서로 하는 일에 대한 기분을 묻기도 하고 답하기도 한다. 이들은 혈육을 두고 어쩌다가 한 집에서 모여 살게 되었나.

영화 후반부에 가족 구성원들이 모이게 된 배경이 드러나는데 처참하다. 아이는 친부모한테 학대를 당해 새옷에 대한 트라우마를 통해 드러낸다. 새옷을 훔치러 가서 아이에게 새옷을 입히자 아이는 묻는다. 이제 맞는 건가요? 아이의 팔뚝에 뜨거운 다리미로 데인 자국을 보면서 엄마인 여자는 자신의 팔을 내민다. 자신도 다리미로 데인 자국이 똑같이 있다면서. 이들은 피가 아니라 과거 고통과 아픔으로 하나가 된다. 삶을 이어가는데는 무지막지한 에너지가 필요하다. 밥을 먹기 위해 일을 하고, 일을 하기 위해 밥을 먹고. 단순해 보이는 일상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개인의 에너지를 집중하는 일이 있어야 가능하다. 이들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고통을 껴안고, 하루하루를 최선을 다해 산다. 물론 이들은 법 아래서 범죄자가 된다. 학대하는 남편을 죽이고, 생필품을 훔쳐서 살고, 학대받는 아이를 엄마한테서 유괴한 사람이 되고.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는 대신 도둑질을 가르치고. 할머니의 죽음을 알리지 않고 연금을 받고. 배경을 떼어난 행위 자체만으로는 뉴스룸의 특종감이다. 하지만 그 배경을 담담하게 드러내는 영화는 이들의 범죄행위를 비난하는 걸 멈칫하게 만든다.

가족이란 무엇인지...일본은 자연재해가 많아서 그런가, 아주 절망적인 상황도 차분하게 보는데 이 차분한 태도가 그렇게 절망적일 수 없다. 동정 없는 세상에서도 삶은 계속 되고, 계절은 바뀌고, 아이들은 커가고 어른들은 늙어간다. 몹시 슬픈 영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