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엘리베이터에 낀 그 남자는 어떻게 되었나 ㅣ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넷에서 마실을 다니다보면 심심찮게 거론되는 이름이 바로 김영하다. 현작가들 소설을 사는 것이 어는 순간부터 아깝게 느껴지기 시작해 인터넷 헌책방에 들렀더니 고전에 비해 두 배 정도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 김영하. 새 책과 별반 차이가 없고(한 2천원 정도) 결정적으로 귀찮아서 새 책을 사긴했다. 이 단편집 한 권만 읽고는 뭐라 말할 수 없는 찝찝함에 장편도 한 권쯤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결국 검은 꽃을 다음 번에 주문하게 될 것이다.
각설하고, 한마디로 이 소설집을 요약한다면 맥시멀리즘maximalism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단편의 플롯과 묘사는 과잉으로 넘쳐난다. 난 맥시멀리즘을 그닥 좋아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단편들은 책장이 술술 넘어간다. 현작가들에게 가장 고마워하는 점이 바로 이 점이기도 하지만 이 소설집의 책장 넘김은 다른 작가들의 것과는 조금 다르다.
그의 소설에서 인물들의 감정은 중요하지 않다. 심리묘사보다는 행동묘사, 특히 사건묘사 중심이다. 사건을 따라가려고 나는 서둘러 문장을 읽어내려간다. 그리고 마지막에 마주하게 되는 도시의 비정함 내지는 허무. 장황하지만 그의 바람대로 '중독성 있는' 서사는 그의 장기며 단점이다. 자칫 아무 것도 말하지 못하기 쉬울 수 있는 것이 과잉 플롯인데 마지막에서 던져주는 허무가 빈곤하게만 보이는 사실성을 회복해준다.
<바람이 분다>에서 인상적인 장면은 게임을 하는 장면. 간결하고 속도감 있는 문체는 피가 낭자해 흐르는 스크린과 현실의 경계를 허물게 이끈다.
<비상구> 역시 피가 흐르는 장르 영화 한 편을 본 것 같다. 박찬욱식 영화를.
<흡혈귀> 뿐 아니라 이 소설집 전반에 걸쳐 그렇지만, 순수란 존재하지 않는다. 삶에서 아름다움이 있다면 그건 버티기에서 오는 것이라고 작가는 말하는 것 같다. 너무 절망적이지 않은가. 그의 말대로 '유독하고 매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