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녜스 바르다 감독이 제이알을 만났다. 제이알은 보통 사람의 사진을 찍어서 크게 인화해서 그 사진을 어디든 붙이는 아티스트이다. 그의 작업 과정을 바르다 감독 특유의 발랄한 시선으로 카메라에 담은 다큐멘터리인데 묘하게 극영화같기도 하다. 올해 한국 나이로 89세인 바르다 감독과 삼십대 후반인 제이알의 케미를 보면서 흐뭇한 미소를 짓게 된다. 바르다의 불만은 이렇다. 늘 선글라스를 쓰고 있는 제이알에게 눈을 볼 수가 없어 둘 사이에 거리감이 있는거 같다고. 하지만 제이알은 바르다의 지적과 불평에도 자신의 습관을 버릴 의지가 전혀 없다. 두 사람이 사소한 걸로 티격태겨하는 걸 지켜보는 게, 스크린 밖에 앉아있는 내게 묘하게 따뜻함을 전해주었다. 무엇보다 내가 바르다 감독을 애정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2.
요즘은 영화를 많이 보지도 않지만 전만큼 재미없게 받아들이고 있다. 사실은 이걸 기록해두려고 열흘 전에 본 영화 이야기를 한다. 이유는? 마음에 와 닿은 이웃의 글을 하나 읽고 이 이웃님을 어찌 알게 되었지 추적(?)하다가 첫번째 포스팅을 보았다. 내 청춘기를 함께 보냈던 왕가위 감독의 <중경삼림>의 OST 영상이었다. 영상을 보면서 청킹 익스프레스가 떠올랐다. 지난 달 홍콩에 갔을 때, 청킹 맨션 주변을 10번은 족히 지나쳤다. 예전 같으면 영화 속 장소에 대한 흥분과 감흥이 가득했을텐데...청킹 맨션은 그저 한국인들에게 위험하다는 소문이 난 건물로 인식되었다. 이런 인식의 변화는 영화는, 지금 이 순간, 더 이상 내게 하나의 인생 텍스트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책보다도 어쩌면 더 영화를 내 인생의 텍스트로 삼았었는데.(그리고 지금은 아닐지라도 앞으로 다시 내 인생의 거대한 텍스트가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면 현재 내 인생의 텍스트는 뭘까. 사람이다. 사람은 의지할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해왔는데 작년부터 사람만이 의지할 대상같은 강한 끌림이 있다. 올해는 그 생각이 더 심해서 괴롭고. 사람의 마음은 내 마음대로 받아들이고, 내가 느끼는대로 해석하는 게 힘들다. 영화나 책은 일방적 수용과 비판이 가능한데 사람이란 텍스트는 상호작용이란 중요한 요소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빨리 예전의 나로 돌아왔으면 좋겠지만 그게 가능한지 잘 모르겠다.
3.
<바르다가 사랑한 얼굴들>에서 바르다 감독과 제이알이 만나는 사람들은 평범한 사람들이다. 누군가의 엄마고, 노동자이고, 농부이기도 하고. 헛간에, 마을 입구 건물 벽에, 자신이 일하는 공장의 큰 물탱크에 크게 붙은 자신의 사진을 보는 일은 익숙한 나에서 조금 거리를 두고 객관적 시선으로 자신을 바라볼 수 있는 기회이다. 출연자 모두 낯설어하면서도 자신이 주인공이 되는 경험에 모두 미소를 짓는다. 외벽에 걸린 사진은 비바람에 씻겨 곧 사라지겠지만 사라질 때까지 그들은 자신을 주인공으로 하는 시간을 선사받는다. 개인의 인생은 개인이 주인공인데 우리는 이 사실을 종종 망각한다. 사진 속 주인공들이 낯선 경험에 대한 감정을 말할 때, 어색해하면서 낯선 기분이 좋은 걸 바라보면서 일상에서 소소한 이벤트는 꼭 필요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2-1.
내 관심이 영화, 즉 허구에서 빠져나와 진짜 내 삶에 있는 건, 훗날 돌이켜볼 때, 긍정적일 수 있다. 나는 지금 내 주변을 텍스트로 그동안 지켜봐왔던 허구와 현실의 간극을 체험하고 그 간극을 메꾸려는 중인 것도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