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타 거윅이 주연한 <프란시스 하>를 아주 재미있게 봤었다. <프란시스 하>는 어떻게 살아야할지 우왕좌왕하는 비혼으로 살 것만 같은 여자의 이야기이다. 사랑도 중요하고 우정도 중요하지만 프란시스 하는 사랑보다는 우정에 더 무게를 두는 삶을 살아가고 있었다. 정신적으로 불안정하고 배우가 되고 싶지만 막연한 미래를 두고 하루하루를 치열하게 살아가는 이야기인데 그레타 거윅의 아우라가 영화에서 돋보인다. 그 그레타 거윅이 감독을 한 영화 <레이디 버드>.

17살의 소녀가 부모가 지어준 '크리스틴'이라는 이름을 거부하고 직접 '레이디 버드'라고 이름을 짓고 레이디 버드라고 불리기를 원한다. 개성도 강하고 자신의 생각과 다르면 여과없이 생각을 바로 입으로 쏟아내는 열일곱. 무서울 거 없는 십대고, 이런 십대 소녀를 둘러싼 관계에 관한 이야기다. 학교에서 우정, 그리고 막 피어나기 시작한 이성에 대한 관심과 이성의 육체, 그리고 애증의 관계에 있는 가족. 레이디 버드는 크리스틴이라는 이름을 버리고 자신의 의지와 선택으로 관계를 만들어가려고 노력한다. 무슨 이야기든 할 수 있는 절친과 소원해지고 마음 속 깊이 사랑하지만 늘 미움으로 대화를 시작하고 끝내는 엄마, 칭찬을 하면 입 안에 가시가 돋는지 서로 헐뜯기만 하는 오빠.

레이디 버드의 일상은 아마도 평범하게 펼쳐지지만 사건을 만드는 건 레이디 버드 자신. 강한 성격으로 모든 사람과 부딪치고 자신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공격적으로 대응하고...사실 이런 일은 몹시 현실적이다. 레이디 버드의 꿈은 고향, 새크라멘토를 떠나 동부로 가는 것. 우여곡절 끝에 꿈대로 뉴욕에 있는 대학에 진학을 하면서 레이디 버드의 꿈은 실현된다.

낮선 도시에서 아마도 신입생 환영회(?) 쯤 되는 모임에서 혼수상태에 빠질 정도로 술을 마신다. 응급실에 실려가는 소동이 있고, 다음 날 레이디 버드는 다시 태어난다. 크리스틴이란 부모님이 준 이름으로. 카톨릭 고등학교를 나와 카톨릭에는 얼씬도 안 하겠다는 다짐과는 반대로 일요일 생경한 도시에서 성당에 찾아가 미사를 보며 자신의 뿌리를 강하게 느낀다. 무의식은 이렇게 의식을 지배한다. 벗어나려고 했던 그 모든 애증의 대상은 어느새 성인이 된 소녀의 의식을 지배하고 있고, 소녀는 어떤 삶을 살게 될 지 모르지만 아마도 가족, 우정, 사랑이 분리되고 선명한 것이 아니라 서로 혼재된 설명할 수 없는 것이라는 걸 깨닫게 될 것이다.

어젯밤 엄마랑 커다란 말다툼을 했고, 엄마는 내게 자신은 말로 상처를 잘 받는 사람이라는 걸 명심하라고 했다. 안타깝게도 나와 엄마는 직설적으로 말하는 점이 서로 닮았다. 나는 말의 폭력성에 대해 누구보다 예민하게 굴면서 정작 나는 다른 이들에게 자꾸 폭력적인 말을 해서 기분이 몹시 안 좋은 요즘이다. 마음 속에 화의 불길이 치솟을 때, 한 템포만 입을 다물어야지 다짐하는데 쉽지 않다. 요즘 내 최대 고민이다. 내 마음에 안 들면 안 든다고 직접적으로 말하는 이 공격성을 좀 누르고 완곡하게 말해야할텐데. 열입곱도 아니거늘 뭐 때문에 이렇게 참을성이 없어졌을까. 레이디 버드를 보면서 어제 엄마와 싸운 찝찝함이 내내 함께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