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서양미술 순례 창비교양문고 20
서경식 지음, 박이엽 옮김 / 창비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첫 장을 읽었을 때는 약간 뜨아한 느낌만 일었다. 알라딘에서 진중한 추천을 받은 책이라 무척 기대하면서 펼쳐들었는데 저자가 바라본 그림들은 인류의 혼을 담고 있다는 소위 '명화'들도 아니었고 깊이있는 미술사 지식을 찾아보기도 어려웠기 때문이다.

게다가 '캄비세스왕의 재판'이라는, 내가 보기에도 끔찍한 그림 때문에 다음날 아침에는 악몽을 떨치며 일어나야 했으니... 하긴 잠자리에서 후루룩 넘겨본 그림 모두는 고매한 인류 정신이 담긴 것들이기보다는 그 어떤 사실적인 영화의 한 장면보다 훨씬 잔혹한 피와 폭력, 고통을 그린 것들이었으니 악몽은 당연한 결과였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책을 전부 읽고나니 악몽보다 더 끔찍하게 느껴지는 것은 내가 그러한 악몽을 단 한 번도 꾸지 않았다는 사실에 있었다. 인류의, 그리고 인간의, 그리고 이 사회의 처절한 폭력과 고통의 실상을 내가 경험한 적이 없었다는 사실이 그 악몽보다 몇 배 괴로웠다. 내 피가 아닌 단지 내 머리 속에 악과 부조리가 정형화된 정식으로 들어차 있었던 것에 자괴감이 들었다.

예술이 고통받는 민중과 어떻게 교유할 수 있을 것인가, 아니 예술이란게 그들에게 과연 가당키나 한 것일까 하는 내 고민의 흔적은 혼자 누리기에 조금 미안한 심정의 다른 표현일 뿐 허위에 다름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나는 감히 고통에 대해, 고통받는 사람에 대해 말할 자격조차 없는 사람이었음을, 그들에 대한 위무란 그래서 결국 허위였음을 뼈저리게 자각하게 된 것이다.

나는 그림들과 어떻게 마주했는가. 나는 늘 미술관 해설서를 들고 유명작품만을 찾아 해설을 읽고, 공부하고, 해설서가 말하는 대로 느끼고 싶어했고 느낄 수 없으면 안달했다. 그리고 왜 위대하고 아름다운 작가의 혼과 인류의 정신을 찾을 수 없을까 낙담하기만 했다. 그런데 여기 한 사람은 그림에서 전혀 다른 것을 보고 느꼈고 아파했다니 나 자신이 이렇듯 천박하게 느껴진 적도 없다.

이제서야 피카소의 '게르니카' 앞에서 왜 그토록 생경하게 떨리기만 했는지, 그 작품을 오래도록 뚫어지게 쳐다보며 분석할 수 없었는지 알 듯 하다. 고야의 '쁘린씨뻬 삐오 언덕의 총살'에서 새하얀 상의를 입고 무방비로 두 손을 치켜든 청년의 가슴에 금새 총알이라도 박힐 것 같아 가슴 한 구석이 불안했던 기분의 정체를 이제서야 알겠다.

이제 폭력에 대해, 악에 대해, 그리고 고통에 대해 함부로 말하지 못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