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의 눈 - 3단계 문지아이들 11
다니엘 페낙 지음, 최윤정 옮김, 자크 페랑데즈 그림 / 문학과지성사 / 200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니엘 페나크. 어떤 작가일까. 이 단 한편의 작품을 통해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그의 작가적 역량에 대해 새삼 놀랄 뿐이다. 앞으로 곧 번역된 작품 전부를 읽게 되겠지.

외국 아동문학 작품을 읽을 때마다 거의 충격적으로 느끼는 점은 그들의 아동문학이 한국 아동문학이 지닌 뻔한 한계를 뛰어넘는다는 점이다. 우리가 흔히 '아동문학'이라 할 때 언뜻 머리에 떠오르는 이미지들, 작품들, 그것이 아동문학의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외국 작품들이 웅변해준다. 물론 이 책 역시 '프랑스 아동문학의 대표작'이라 이름붙여져 있는 것처럼 우리에게까지 번역되어 읽힐 경우 일단은 그 작품성이나 대중성이 대단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말이다.

늑대와 소년, 즉 동물과 인간이 서로 교감하며 자신의 상처를 치유한다. 그런데 이들의 상처는 모두 인간의 '인간성'이 지닌 그림자에서 발생한 것이다. 늑대와 소년은 '하나의 눈'으로 상상처받은 영혼들의 만남을 시작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하나의 눈을 뜨게 된다. 이렇듯 뛰어난 주제의식을 충분히 뒷받침해주는것은 톡톡 튀는 문장, 약간의 냉소속에 진실을 포함하는 유머, 상대의 눈동자를 바라보며 그것을 읽어내는 것으로 전개되는 탄탄탄하고 상상력 넘치는 구성 등이다.

모든 뛰어난 예술작품은 작품 창작에 있어 한 차원 높은 작품을 창작할 수 있고 창작해야 한다는 용기를 준다. 특히 구성, 소재, 문체 모두 한정되고 마는 것으로 생각되는 아동문학에 있어 훌륭한 모범이 될만한 아동문학 작품은 예술과 문학과 마찬가지로 아동문학에 있어서도 끝은 없다는 단순한 진리를 되새기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