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아, 춘아, 옥단춘아, 네 아버지 어디 갔니?
이윤기 외 대담 / 민음사 / 2001년 6월
평점 :
품절


페르세우스의 방패도, 화려한 말잔치나 지성의 향연도 아니었다. 세계의 문학과 민음사의 정치적 성향은 차치하고라도 어떠한 지성적, 감성적 울림도 주지 못했다.

많은 독자들의 평가와 리뷰기사 때문에 책에 대한 기대가 컸었다. 우리 시대 최고의 지성인이자 막강한 문화권력이라 할만한 이들을 대담자로 선정하고 두 인물을 적절한 주제 아래 대화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지 않았는가. 더군다나 우리 시대의 사유와 글이 우리 삶을 화석화시키는 현실을 개선해보고자 한다는 취지 아래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이 어떤 울림도 주지 못했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우선은 대담이라는 형식에 있다. 이 책이 각광받았던 중요한 까닭이고, 무엇보다 신선했던 책의 탄생 이유에 바로 그 치명적인 결함이 있다. 기획자들도 '성공적인 대담을 찾아보기 어려운 우리 현실에 너무 만용을 부린 것이 아닐까 하는 우려를 했다'고 밝힌 바 있듯 기획력은 돋보였지만 이를 찬찬히 엮어나가는 실무역량에 있어 어려운 점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정작 대담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주제는 첨예하게 드러나지 않았고 개개인의 단편적인 견해-누구나 그 정도쯤은 잘 알고 있는, 더이상 새로울 것도 깊이있을 것도 없는-의 나열에 그치고 말았다. 대부분의 대담이 독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기 위한 목적으로 대담자의 과거에 대해 지나치게 많은 부분을 할애했고 그러는 과정에서 주제의식과 기획의도는 사라졌다. 함인희씨와 이숙경씨의 대담이 가장 혹평을 받은 부분은 이러한 이유가 너무 단편적으로 드러났다는데 있을 뿐 다른 대담 역시 대동소이하기는 마찬가지다.

대담 역시 편집과정이 필요했고 글에 드러내지는 않더라도 사회자의 냉철한 진행이 있었어야 했다. 대담자들에게 대담의 목적을 명확히 상기시키고 기획자의 의도대로 맞추어줄 것을 보다 대담하게 요구했어야 했다. 두세시간 정도 만나서 두 사람 얘기시키고 녹음하고 그대로 정리한 것으로 기획의도와 주제의식을 드러내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했을까.

아쉬움에서 우러나는 질책이다. 좀더 잘 했으면... 기획의도는 신선했고 사람들 반응도 좋은 편인 듯 하다. 단 하나, 책의 가치가 과대포장된 것이 불만이고 그러했던 시스템이 착잡할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