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로 산다는 것 - 숨어사는 예술가들의 작업실 기행
박영택 지음, 김홍희 사진 / 마음산책 / 2001년 10월
평점 :
품절


나는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하고 의미있는 삶을 사는 사람이 누굴까 생각해 볼 때면 종종 '돈 잘 버는 예술가'란 답을 떠올리곤 했었다. 이 대답에는 두 가지 의미가 깃들어있다. 우선 첫 구문인 '돈 잘 버는'이라는 건 말 그대로 '극히 현실적이고 속물적인 차원에서 돈과 명예, 권력을 누리는'이란 뜻이다. 다음의 '예술가'란 말은, 그렇다 해도 돈만 잘 버는 건 싫다, 진정한 예술혼을 지니고 자아와 인간성을 고양해야 되지 않겠느냐란 뜻이다.

물론 이 대답은 현세적인 이익에 탐을 낸 후 뭔가 멋있어 보이고 고상한 직업을 찾자니 예술가가 떠올라서 나온 생각은 결코 아니다. 답을 '예술가'라고 하려니 그들의 가난과 고통, 불행이 내심 마음에 걸리기에 이러한 수식어를 붙이면 좀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였다.

하지만 이 책은 그러한 내 생각의 괴리를 깊숙히 파고 들며 '과연 그럴까'라고 아프게 되묻는다. '돈 잘 버는 예술가'가 얼마나 허무맹랑하고 속물적인 꿈인지에 대해, 과연 예술가들이 그것을 꿈꿀지에 대해.

예술가는 꼭 가난해야 하고 부자로 살면 안 된다는 건 물론 아니다. 하지만 진정한 예술을 꿈꾸는 많은 이들은 가난하다. 그건 단지 자본주의화, 권력화됐다고 지적받는 우리 화단의 현실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그러한 화단의 풍토가 개선돼야 한다는 주장을 묵살하거나 감추려는 의도는 물론 아니다) 운이 좋은 몇몇 이들을 제외하고 동서양을, 시대를 불문하고 대부분 예술가들은 항상 비운했다는 사실은 불행 역시 그들의 길에서 감내해야 하는 고통이 아닌가 하고 생각하게끔 되는 것이다.

예술이란 결국, 현실에 매몰되어 마냥 흘러가는 대로, 그냥 좋은 대로 살아가지 않으려는 반항의 몸짓이고 이를 철저하게 실현하려는 예술가들은 현실이 주는 달콤함을 맛보지 못한 채 처절하게 살아야 하는 것은 아닐까. 이 책은 숨어사는 예술가들의 삶과 예술세계를 엿볼 수 있는 은근한 재미와 함께 과연 '예술가로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다시 한 번 고민해보게 한다.

미술에 대해, 한국 화단에 대해 전혀 무지하다고 할 정도여서, 처음 그 이름을 들어보는 박영택씨의 글솜씨와 시각은 감동스러울 정도였다. 훌륭한 것은 필자만이 아니어서 또 역시 처음 알게 된 사진작가 김홍희씨의 사진세계 또한 계속 관심을 갖고 따라가보고 싶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