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 42 | 4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인생의 가장 아름다운 때...

장만옥, 양조위 주연 <화양연화>

문득 대학시절 보았던 <첨밀밀>이
보고싶어졌다.
어렴풋한 기억의 틈에서
장만옥과 여명의 애틋한 사랑이 아물거린다.
절제된 언어와 묘한 매력의 눈빛.

중독이라도 된듯 난 <화양연화>를
연이어 보고 말았다.
어둡고 붉은 빛이 맴돈다.
그리 밉지 않은 비가 종종 내린다.
어느 순간 난 그들의 사랑을
인정하기에 이른다.

사랑은 또 그 희망은
가엽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icaru 2004-04-29 14: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화양연화네요....... 장만옥이 찍은 영화 중에...장만옥의 우아한 슬픔이 젤로 돋보였던 영화...

2004-04-29 14: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김여흔 2004-04-30 12: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장만옥, 제가 좋아하는 여배우 중 한 명이죠. 그리 예쁘다거나 아름답다는 느낌은 없지만 왠지 모를 매력이 넘치는 ... ^^
 

홀씨님께서 2003-09-04일에 작성하신 "마을에 왔습니다."이라는 제목의 글입니다.

마을에 왔습니다.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능금리 능길마을 (
http://www,nungil.org ) 이지요.

하루종일, 사무실(아마도, 옛 능길초등학교 교무실 자리..) 대청소, 자리배치, 

방 배치, 각자 짐 정리를 하고,

막, 인터넷세팅까지 마쳤습니다.


밥도 2끼째 해먹었습니다.

이번주 밥 당번은 하지혜, 이민종입니다.


나는, 그새 별명도,

'백설공주를 사랑한 난장이'에서,

어이, '난장이'로,

이제는, 그냥 '난장'으로 진화했습니다.


늘, 자리와 술잔을 비워두겠습니다.

언제든, 마을에 와서,

자리와 술잔을 채워주기 바랍니다.


* 늘, 생필품(=주류, 담배, 그리고 쌀과 각종 반찬류 등)이 부족합니다.

이것만 있으면 우리 9명은, 잘 살아갈 수 있습니다.

꼭, 올때 챙겨오라는 얘기는 아닙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가 바뀌었습니다.
2003년은 참 이상한 해였습니다.


<STRONG></STRONG>   


전쟁이라는 게 일어났습니다.
정말로 전쟁으로 사람들을 죽이는 이들이 있었고,
그 전쟁 때문에 죽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또 한 쪽 편에서는 그 전쟁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간절한 마음으로 모였습니다.
누구는 전쟁이 벌어지는 그 땅으로 떠났고,
꼭 그 땅이 아니더라도 이곳에서
우리는 모두 그 전쟁을 치루어내었습니다.
너무 아픈 봄이었습니다.


<




여름


전쟁을 겪은 그 나라는 잿더미가 되었습니다.
전쟁을 벌인 그 나라는 잿더미가 된 나라에 가서
주인 행세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전쟁을 반대하는 마음으로 기도하던 우리들은
그 땅 사람들의 아픔을 조금이라도 함께 나누고자
저금통을 모았고, 모금함을 돌렸습니다.
옷을 만들어 팔아 그 값을 모았습니다.
그리고 이웃 나라 그곳 사람들에게 전했습니다.

"일어설 수 있을 거예요,
누구의 도움이나 누구의 계획이 아니라
당신들 스스로의 힘으로, 스스로의 손으로
꼭 일어서야만 해요!!"







가을   


아무 것도 아닌 사람들의 간절한 바람.
우리는 이름을 이어 썼습니다.
힘 없고, 약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많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렇게라도 세상에 대고 이야기하자고,
나라의 윗자리에서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분들에게 이야기하자고
이름을 이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할 수 있는 한 힘모아
이야기했습니다.
우리는 침략군을 보낸 나라의 백성이고 싶지 않다고,
우리 군인 아저씨들을 침략전쟁터로 보내지 말라고.....


<




겨울   


끝내 대통령과 정부는 우리 같은 사람들,
힘없고 약한 아무 것도 아닌 사람들의 간절한 마음은
외면했습니다.
파병을 하겠다고 했지요.

막아야 한다, 그 한 마음 뿐이었습니다.
누군가 음식을 끊고 길로 나섰고,
그 곁에 소망의 나무를 심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길거리 천막을 찾았고,
꿈을 적은 잎사귀를 나무에 한 가득 걸었습니다.

보름 동안의 단식, 그리고 잇달아 이어진 백인이어굶기.











이제 혜화역 4번 들머리에 쳤던 소망의 나무 천막은 걷었습니다. 하지만 파병을 막는 시민단식 모임 - 소망의 나무 모임 일이 끝난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소망의 나무 천막을 거둘 때 내다보이던 것은 바로 그 다음 주 국회에서 표결이 있을 거라 했기 때문이었지요. 그 때 우리는 국회 앞으로 모이자고, 파병 안에 찬성표를 던지러 국회로 들어가는 의원들 앞에서 마지막까지 간절하게 이야기해보자는 것을 계획한 것이었습니다. 바짓가랑이라도 잡고 매달리며 파병은 안 된다고 이야기하자고, 그것으로 안 된다면 그 앞을 가로 막아 우리를 짓밟고 들어가라고 끝까지 막아보기라도 하자며 말이지요. 그리고 똑똑히 보자는 것이었습니다. 파병, 그것은 끝내 우리 국민 모두를 살인자로 만드는 일인데 그 엄청난 결정을 내리는 그 순간, 그 사람들을 똑똑히 보자고 말입니다.


그런데 당시 예측하던 것과 국회 일정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파병 안에 대한 국회 표결이 미루어진 것이지요. 해를 넘길 판입니다. 파병에 대해서야 4당 모두 보내는 것으로 합의를 한 상태, 언제 표결을 해도 통과를 시킬테니 그네들 가운데에는 서두르는 이가 없습니다. 오로지 자신들 밥그릇에 직결된 정치개혁관련법안을 가지고나 싸우고 있는 모습입니다.


여기에서 소망의 나무에서 준비한 것이 바로 "아주 특별한 음식점"입니다. 이것을 왜 하느냐고요? 그럴싸한 명분을 들어 에두르지 않고 솔직히 말씀드릴게요. 첫번 째는 소망의 나무가 천막단식농성을 하면서 든 돈, 더 정확하게 말하면 그 가운데에서도 신문 광고를 내느라 쓴 돈이 모자라서 그 값을 마련하기 위해서입니다. 우리끼리 전쟁에 대해, 파병에 대해, 평화에 대해 마음을 모으고 나누는 것도 중요할 수 있겠지만 당장 눈에 보이는 여론으로 결정권자들을 압박해가는 흐름이 필요하다 싶었거든요. 그래서 잇달아 신문 광고를 커다랗게 내곤 했습니다. 우리의 간절함을 더 하기 위해 이어쓴 이름들을 가득 채워 광고를 내었습니다. 바끼통 이름이어쓰기 때부터 하면 모두 일곱 차례.  


물론 돈을 마련하기 위한 음식점이기는 하지만 이것을 단순 돈벌이 하는 행사로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나름으로 한 해 동안 길게 이어져온 전쟁반대, 평화활동을 정리하는 자리가 될 수 있게끔 준비하려고 해요. 또한 앞으로 있을 "국회 앞 모이기" 때까지 파병반대의 뜻을 놓지 않고 힘을 모아가는 징검다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준비했습니다.






특별한 음식점, 표를 팔려고 지난 이틀 참 많은 분들을 만나고 다녔습니다. 솔직히 호응이나 관심이 이렇게 좋을 줄은 몰랐어요. 실은 '왜 자꾸 무슨 일을 벌이냐'고 눈쌀 찌푸리는 분 더 많지 않을까 싶기도 했거든요. 그런데 그게 아니던 걸요. 첫날은 들고 나간 표가 모자라 못 팔 정도였어요. 그래서 급하게 마스터 인쇄를 해서 표를 새로 찍어 팔아야 했습니다.

게다가 아이들을 사랑하고 시를 사랑하는 분들에게 사랑을 많이 받는 우리 백창우 아저씨, 아저씨를 찾아갔어요. 표 몇 장이라도 팔아야지 하는 마음으로 찾아간 거예요. 우와, 그런데 아저씨가 그 날 공연을 해 주실 수 있다고 그래요. 아저씨 뿐 아니라 시노래 모임 나팔꽃의 김원중 님, 홍순관 님, 이지상 님, 이수진 님까지.

너무 좋아 큰일 났어요. 이 아저씨들이 공연한다 하면 일부러 예매를 해서 보러 오는 사람들만 해도 꽤 많을 텐데, 우리 음식점 완전 불이 날 것 같거든요. 이거 어떻게 하지? 먼저 빌려 놓은 음식점 터는 암만 보아도 너무 좁은 거예요. 그래서 어제 새로 더 크고, 멋진 곳을 빌렸습니다. 잘 보세요, 장소 바뀌었어요. 여기요, 이 아래 그림, 여기!








해가 바뀌었습니다.
2004년이 되었습니다.
새해에도 여전히 이상한 일들만 가득 이어질지 모릅니다.

첫 주말, 특별한 음식점에서 만나요. 새해 이야기 그 곳에서 나누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방을 나선다.
도시의 불빛들.
번잡한 시장통을 지나 사거리 신호등에서 머뭇거린다.
여기가 어디지...
이곳이 어디라는 표식조차 찾아볼 수 없다.
어디로 가야하지...
어린아이처럼 울고 싶지만 사람들의 시선이 따갑다.
다시 나의 방으로 향해보려하지만
이미 길을 잃었다.
보이는 곳, 가는 곳 모두가 낯설다.

이건 꿈이야.
꿈이라서 그런거야.

Write 김여흔

Photo 시간 / 관장 / 정진우    2003-10-29 17: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진영 1집 / First
/ 유니버셜(Universal) / 2001년 4월

수록곡
1. Prologue / 2. For You / 3. Love Letter / 4. 첫느낌 / 5. 처음이예요 / 6. 놔 / 7. 거울아 거울아 / 8. Interlude / 9. You / 10. 웃음속에 가려진 눈물 / 11. 가지마 /12. To My Best Friend / 13. 비켜!! / 14. Instrument (Love Lette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 42 | 4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