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버라이어티를 보면 '허세'라는 말이 종종 등장한다.
'허세'라는 단어가 그리 어려운 단어가 아님에도 의외로 잘 쓰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익숙한 TV프로그램에서 이 단어가 자연스럽게 등장하니 오히려 단어의 의미가 새롭게 다가온다. (졸라 멋지게끔 '개시한다'라고 해주까...)
하여간 '허세'라는 단어는 음악처럼 직접적이어서 자막에 "아...이 형 허세는..." 할 때 마다 자막이 딱딱한 막대기가 되어 가슴을 쿵쿵 건드린다. 그러니까 '허세'라는 버라이어티 자막을 보면서 자기윤리적으로 되는 것이다.
그러다가...
사람이란게 졸라 약삭 빨라서, 웃자고 만든 버라이어티의 자막이 던진 윤리의 몹쓸 덫에 걸려 나만 죽을 수 없다는 생각에, 내 주변 인근 10리에서 그 단어의 저인망에 걸리는 사람들이나 과거 행동들을 스캔한다. 그러니까 '내가 하면 사랑이요 남이 하면 불륜'의 무기로 내 드라이브는 빠른 검사로, 타인은 정밀검사로 시행하는 거다.
그 뭐시냐...
별로 어렵지 않은 이야기 어렵게 만드는 것도 인문병신학의 특징이다. 물론 어려운게 모두 병신학은 아니다. 어떤 건 어렵지만 파다보면 피가 되고 살이 된다. 그 점을 노린다. 어려운 것 처럼 보이면 있는 것 처럼 보인다는 허세. 결국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깊은 인문학의 범선에 무임승차. 인문병신학의 승차권 확보. (아-으 동동다리...)
누가 뭐라 할 지면 "유 노 왓 아 민" 하면 그냥 남들은 대충 묻어갈 수 있다. 그러다가 태클 걸리면 "왓 더 퍽..." 하면 그만.
아...따뜻한 봄 날.
벚 꽃이 진다.
못 놀아 지랄병이 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