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덕 성령충만기
이기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순덕 성령충만기>라니까 근방에 있는 환자(?)들이 무슨 신앙 간증서인지 안다. 나 원 참..행복하신 분들...이런 착각을 하는 분들께 표지의 담배 꼬나문 친구가 답을 한다.'메롱' 이라고. (특정 종교에 누가 되는 말을 하면 이주의 마이리뷰 당선되긴 힘들다.^^; 그래도 ^^)

젊은 작가 이기호는 소설 읽는 사람들에게 처음부터 '메롱'을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작가는 기존의 소설이 가진 서사나 영혼의 울림을 위한 모종의 심각함,인위적으로 영롱한 표현을 위한 작가의 뼈빠지는 노력에 고개를 돌린다.마치 역사의 광풍 중 고갱이만을 겪으며 살아왔다는 듯 술자리에서 후배세대들에게 자기 과시와 자기위안을 동시에 부풀려대는 투쟁가 세대의 '침튀김'도 이 작가에겐 없다.물론 과거로 부터 유산을 많이 수혜받지 않았다고 늘 신선한 것은 아니다.단절은 새로운 건축이 바탕되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도 가지지 못하는 법이다.작가는 각 단편마다 새로운 문체나 전달형식을 통해서 새로운 작가의 도래를 알린다.

우선 <최순덕 성령충만기>의 장점은 읽는 재미가 있다는 것이다.이 책은 1년가야 책 한두권 안 읽는 책 알레르기 환자들에게도 그냥 툭 건네주기에 부담없을 정도다.책 보는데 습관을 들이지 못한 사람들은 읽는 행위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진다.그러므로 장편보다는 단편,복잡하고 관념적인 서사보다는 사건이나 에피소드중심,우울한 정서보다는 밝고 딱 떨어지는 경쾌함을 선호한다.물론 이건 내 개인적으로 책 안보는 사람에게 책선물할 때 기준이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시비를 걸면 할 말은 없다. 이 책의 문학성을 폄훼하는 의미에서가 아니라 긍정적인 의미에서 <최순덕 성령충만기>라는 단편은 위의 요소들을 두루 갖추고 있다.

흔히 이야기를 재미있게 풀어내는 사람을 '이야기꾼'이라고 한다.우리 소설가중에서 가장 대표적 이야기꾼이라 하면 성석제를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최순덕 성령충만기>로 작가 이기호 역시 이야기꾼의 그룹에 명함을 하나 파게 되었다.그러니 당연히 기존의 맹주들과 비교되는 것은 수순일 지도 모른다. 가장 많은 비교는 역시 성석제와의 비교일 것이다.내가 문학을 전공하는 사람도 아니니 딱 잡아 어떤 부분이 같고 다르다라고 말할 수는 없다.개인적인 느낌 정도를 언급할 수 있을 성 싶다.

우선 둘 다 소재를 잡고 해학적으로 상황과 인물을 연출하는데는 탁월하다고 생각한다.이 두 작가 모두 소설의 소재를 사회에서 소외된 인물들 낮은 곳에서 엉뚱함을 발휘하는 사람들로 선정한다.그리고 이 들의 행위와 주변 관계를 통해 인간들이 가진 가식과 욕망의 추리함,세태의 허무맹랑함을 해학적으로 풀이한다. 차이가 있다면 성석제의 인물들이 조금더 현실성을 갖는 다는 것이다.이기호의 인물들 역시 현실에 바탕을 둔 듯하다.하지만 그의 글이 갖는 비현실적 상황 설정(<머리칼전언><백미러사나이>)과 허구임을,즉 소설임을-드러내는 문체(<버니><최순덕성령충만기><햄릿포에버>로 인해 주인공이 갖는 현실과의 붙박이성이 조금 떨어져보이는 것이 사실이다.소설의 형식면에서는 많은 작품집을 낸 성석제와 이기호를 비교한다는 것은 좀 무리가 있을 성 싶다.하지만 보편적 시각으로 봤을 때 성석제가 보수적인 형태를 띤다고 보인다.이기호의 경우 특히 이 첫작품집에서 여러가지 시도를 한다. 첫 작품<버니>는 랩 체라고 해야 할 것 같다.랩의 라임을 구사하 듯이 보도방 삼촌이 된 주인공과 보도방 출신 가수 순희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한 장이 넘어 갈 때마다 랩의 후렴구 처럼 동일한 대사가 반복된다. 랩의 라임을 만드는 방법은 가장 중요한 것이 단어의 운율이다.대개 동일 음운의 반복을 기본으로 친다.그렇다 보니 <버니>를 읽는 사람들은 랩을 하듯이 리듬감을 가지고 읽게 된다.<버니>의 경우는 음악만 붙인다면 장편의 노래 가사가 될 수도 있겠다 싶을 정도로 랩의 정서와 랩에서 사용되는 단어와 라임의 구성이 훌륭하다.<최순덕 성령충만기>는 과거 영한판 성경책처럼 이단 구분 형식과 각절명 넘버링을 하고 있다.이런 형식은 클라스 후이징의 <책벌레>라는 소설에서 한번 본 적이 있는 듯 하다.거기에 문체 역시 성경에서 쓰는 의고체를 쓰고 있어서 복음서의 패러디 인상을 강하게 한다.

내용적으로 살펴보면 이 책은 총8편의 소설이 실려 있는 단편집이다.단편들은 성격상 크게 둘로 나뉜다.문체적 실험과 해학성을 높인 글과 마치 박상우의 소설과 같은 느낌을 주는 환상/그로테스크가 살아 있는 소설들이다.(<햄릭><머리칼전언><발밑으로...>) 둘 다 매력이 넘치긴 하지만 아무래도 전자의 이미지가 선명하여 후자쪽이 눌리는 듯 하다.허나 긍정적인 측면을 보자면 작가가 다룰 수 있는 소설의 영역과 주제의 범위가 한정적이지 않을 것이라는 가능성으로 비춰진다.

개인적으로 재미있게 본 단편은<버니><햄릿포에버><백미러사나이>등이다.요즘 시의성으로 본다면 박정희 대통령과 연계성이 있는 <백미러사나이>가 인상적이다.박대통령 장례기간에 생긴 상처가 박대통령의 눈이된다.주인공은 박대통령의 힘으로 평탄한 인생을 누려간다.하지만 결국 자신의 눈을 침범하려는 과거의 눈과 대결하게 된다.이 소설은 작가 스스로도 밝힌 그의 편벽을 보여주는 것일 수도 있다.작가는 주인공의 얼치기 운동권 참여를 통해 당시 운동권 내부의 얕음에 대해 비웃음고 있다.하지만 중심적인 풍자는 결국 아직도 자신의 눈이 아니라 박대통령의 눈으로 세상을 보는 수많은 사람들을 향하고 있다.뒤통수에 달린눈에 의지해 역사를 과거로 돌리려는 사람들에게 작가로써 통렬한 풍자의 칼날을 날리고 있는 것이다.그리고 그 박대통령에게 자신의 눈을 맡겨버린 뒤로 뛰는 주인공 이시봉을 공원이나 약수터에서 뒤로 뛰는 노인들에 빗댓건은 중의적으로 의미심장하다.

결론적으로 사족하나 덧붙이자.오랜만에 즐거운 소설,한 번에 쭈욱 읽어버릴 수 있는 소설을 만났다.한가지 바람이 있다면 신인으로서의 신선함 감각과 풍자정신에 조금 더 깊은 내공을 만들 수 있길 바란다.뛰어난 감각만으로도 물론 성공적인 작가가 될 수는 있을 것이다.하지만 이런 멋진 해학과 풍자정신이 더 깊은 인간에 대한 이해와 삶의 부조리함을 흩고 올라온다면 오래도록 기억되는 작가군에 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kleinsusun 2005-02-12 17:47   좋아요 0 | URL
드팀전님, 오랫만이예요.
리뷰 제목이 넘 재미있어요."담배 꼬나문 표지 폼하고는..."
정말 "메롱"하고 있는 것 같네요.ㅋㅋ
Thanks to 하고 갈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