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 나오자 눈의 고향이었다. 밤의 밑바닥이 하애졌다.  

                                                                                가와바타 야스나리, <설국>

 

 

 

반복되는 계절의 순환에 무감해지는 순간이 있다. 기억에 남는 것은 결국 잘 찍은 사진처럼 찰나에 지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이내 그런 마음도 반쯤은 떠밀려 포기한 처연함 속으로 잦아든다. 기억이란 것도 결국 탈색되어 가는 사진처럼 덩그러니 공허만을 남기게 될 것이다. 모든 것은 눈 아래 덮혀질 것이다.

 

던져 놓은 양말처럼 느긋하게 연말을 보내고 싶었다. 바람은 바람따라 날아가는 것이 세상의 이치. 한 때 육신의 무게를 도도한 저항감으로 안아주던 소파도 이제 그 팽팽한 긴장을 놓았다. 그 자리는 제각각의 모서리를 뽑내는 책들에게 내어준지 오래다. 넘어갈 듯 아슬아슬 버텨주는 책들의 절묘함에 감탄 섞인 한숨이 흘러 나온다.   

 

이미 몇 몇은 가지고 있는 것들도 있다.

택배 기사의 손에 건네 진 것들도 있을 것이다.

 

 

  "난 하고 싶은 말을 잊었다./ 눈먼 제비는 그림자들의 궁으로 돌아가리라./ 찟긴 날개로 투명한 것들과 놀기 위해./ 인사 불명 속에서 밤의 노래가 불린다./ (중략) "

 

오시프 만델스탐의 <아무것도 말할 필요가 없다>에 나오는 시. 출판사 '문학의 숲'에서 나오는 '세계 숨은 시인선' 은  눈여겨 봐도 좋을 기획이다.

시의 번역이란 것이 원론적으로 늘상 아쉬울 수 밖에 없겠지만, 우리가 세계의 모든 언어를 배울 수는 없지 않겠는가?

 

 

 <타르코프스키의 영화>. 투박하지만 솔직한 제목이다. 80년대 후반부터 한국 사회에 영화운동이 불면서 가장 주목받았던 감독 중 하나가 타르코프스키이다. 지금은 오히려 잊혀진 감독처럼 느껴진다. 지난 주 알렉산더 소콜로프의 <파우스트>를 보고 왔는데, 그 여운 때문에 타르코프스키 생각이 더욱 간절하다. 소콜로프가 과연 타르코프스키의 뒤를 잇는 러시아 거장이 될 수 있을까? 

 

 

 

 지그프리트 크라카우어의 <역사:끝에서 두번째 세계>. 영화 이론에 대해 살피다보면 크라카우어라는 이름을 만나게 된다.  일종의 가려진 실재의 세계를 연상시키기도 하는 이 두번째 세계에 대한 그의 접근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그의 첫번째 번역서이기에 더욱 관심이 간다.

 

 

음반. 재즈피아니스트 존 루이스. 바흐 <평균율 클라이비어곡집> 클래식을 좋아하든, 재즈를 좋아하든 이 음반은 사랑하지 않을 수 없다.

존 루이스의 피아노는 매우 겸손하며, 심각하지 않으며, 그렇다고 경박하지도 않다. 자유로운 생기를 잃지 않으며 절제의 선을 놓치지 않는....좋은 음반이다.

 

 

 

 

 

 

이 음반은 지난해 한 번 언급한 적이 있었다. 명불허전이란 말로 말이다.

나탄 밀스타인과 모니카 에리니가 함께 하는 바흐의 <두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LP로만 나와 있어서 CD 라이센스로 나왔다고 하니 여간 반가운게 아니다.

한동안 유투브에서 볼 수 있었는데 지금은 막아 놓은 듯 하다.

 

 

심각하게 유혹하는  바그너. 블루레이 플레이어가 없어서 더욱 고민이다. 1080의 블루레이를 보고나면 DVD는 아름답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