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투르 그뤼미오(1921-1986) 

 

20세기를 대표하는 바이올린 연주자다. 흔히들 '프랑코-벨기에 악파'의 적통이라고 말한다. 20세기 바이올린 연주자들을 계보로 나누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다. 사람마다 차이가 있고 실제적으로 나눈다는 일 자체에 약간의 무리수도 있다. 먼저 하이페츠,오이스트라흐 등으로 대표되는 강철 바이올린족들 인 '러시아악파', 굴렌캄프,슈나이더한 등으로 대표되는 '독일-오스트리아악파', 줄리어드 갈마리언의 제자들인 이착펄만,정경화 등과 카네기의 대부 아이작스턴의 '줄리어드-유태인파' 그리고 자크 티보 계열의 '프랑코-벨기에악파' 등이다. 그 외에도 이탈리아악파니 동유럽 악파니 분류하는 방식은 더 많다.  20세기 전반부처럼 지리적 한계등으로 연주가 국지화되어 있는 경우는 이런 지리적/학파적 구분 방식이 제법 영향력을 발휘했을 것이다. 그러나 산업의 발달로 인해 물리적,정서적 공간의 축소가 이루어진 20세기 중후반 이후는 이런 영토적 구분은 사실 좀 의미가 없다. 또한 같은 스승 밑에서 배웠어도 이착 펄만과 정경화의 음악에 대한 접근 방식은 상이한 경우가 많다. 사람의 목소리가 제각각 다른 소리를 만들 듯 제각각의 소리를 가진 바이올린도 각기 개성있는 연주자들을 만나 천만가지의 소리를 만든다. 

내가 처음 클래식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기 시작했을 무렵( 대개 그렇듯이 음반 뒷면의 연주자들의 이름을 눈여겨 보고 외우려고 할 때다.) 그는 이름이 입에 잘 달라 붙지 않는 대표적인 연주자 중에 하나였다. "아루트르...아...뭐였더라...방금 전에 봤는데도" 물론 그 외에도 수많은 러시아 이름들은 한번에 잘 외워지지 않았다. 스비아토슬라브 리히터, 므스티슬라브 로스트로포비치 등등 . 수 십번을 입으로 발음해보고 또 몇 번을 잊어버리고 나서야 입에 붙었다. (비결은 억지로 생각하지 말고, 그냥 다음에 또 보고, 그 다음에 기회될 때 또 보고 하는것이다. 자연스럽게 익숙해진다.)  

 

 

 

 

 

 

(가장 유명한 아르투르 그뤼미오의 음반들이다. 바흐의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와 파르티타>,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전집>, 클라라 하스킬과 함께 한  모차르트 <바이올린 소나타>

아르투르 그뤼미오라는 이름을 알게 되고 나서 과거 가지고 있던 성음 LP음반에서- 파가니니의 협주곡이었다. 그러니까 이 음반은 클래식을 본격적으로 듣기 이전 음반 가게가서 누구의 연주인지도 모르고 그냥 둘러보다 사온 것이다- 그뤼미오의 이름을 발견했다.  "아...내가 예전에 들었던게 아르투르 그뤼미오의 연주였군."  그러니까 그뤼미오와 나의 인연은 내가 그의 이름을 알기 이전 부터 시작되었던 셈이다. 

아르투르 그뤼미오의 연주는 매우 유연하고 다정하며 우아하다. 하이페츠나 코간의 바이올린은 불과 얼음이 서로 쟁투하지만 그뤼미오의 바이올린에는 훈기를 머금은 서풍이 분다. 통기타라도 만져본 사람들은 이런 예를 들면 쉽게 이해할 것이다. 기타를 튜닝할 때 줄의 좀 푼다. 장력을 떨어뜨리는 것인데, 이렇게 하면 날카롭고 팽팽하던 소리가 좀 둥글둥글해지고 부드러워지는 느낌이든다. 그뤼미오의 바이올린 소리를 듣다보면 가끔 쇠로 만든 현을 건드리고 있지 않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그 정도로 유려하고 우아한 소리를 낸다는 것이다.  

영화같은데서 보곤하는 낭만적인 프랑스 귀족의 저택 속에 울리고 있을 것 같은 소리. 그뤼미오의 별명을 '궁정악사'라고 하는 것도 틀린 비유는 아닐 성 싶다. 그러나 결코 아름답게만 울리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결을 섬세하게 다듬는 능력은 어찌 보면 화장술로도 충분히 가능한 것이다. 반면 그뤼미오의 바이올린에는 드러내지 않는 귀족적인 관능의 격조가 숨겨져 있다. 좀 통속적으로 말하자면, '태생적인 양반 격조' 다. 그뤼미오의 연주를 듣고 있으면 '부르주아의 미덕' 이라는 말이 자꾸 떠오른다. (여기서 '부르주아'는 정치 경제적인 의미가 아니다.) 그래서 그의 연주에서는 어떤 '결기'같은 것이 잘 느껴지지 않는다. 그 결과인지-사실 무림에는 다른 뛰어난 고수들이 즐비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러시아나 독일음악에서 그뤼미오의 손을 들어주기는 쉽지 않다. 그의 대표적인 명반인 바흐의 <무반주바이올린 소나타와 파르티타>의 경우도 헨릭 쉐링이나 나탄 밀스타인등의 연주와 비교해 들어 보면 곡의 원래 양식인 '춤곡'(?)에 매우 충실하다. (이 곡이 춤곡의 형식을 차용하고 있지만 춤곡으로 작곡된 것은 아니라고 보는게 정설인 듯 하다. ) 비슷한 예로 바흐의 <무반주 첼로모음곡 >연주에서 첼리스트 요요마의 연주가 이와 비슷한 양식을 따른다.  

대신 모차르트나 포레, 생상스 같이 좀 더 나긋하게 접근할 수 있는 연주에서는 엄청난 매력을 발휘한다. 커피에 비유하자면, '원조 프렌치 카푸치노는 이거다.' 라고 말하는 듯 하다. 달콤 쌉싸름하면서, 오래도록 깊은 향을 남긴다.  

필립스 레이블이 건재하던 시절, 그뤼미오의 연주는 거의 라이센스화 되었다. 덕분에 라이센스로 가지고 있는 음반들이 꽤 있다. 또는 라이센스로 언제든 구할 수 있다는 생각에 놓쳐버린 음반들도 꽤 있다. 필립스가 병합되고 더이상 자주빛 레이블을 찾아보기 힘든 시절인지라  잊혀진 그뤼미오의 음반들도 점점 늘어가고 있는 추세다. 그런데 최근에 호주 엘로퀸스 시리즈가 수입되었고 덕분에 그뤼미오를 다시 뒤적인다.   

 엘로퀸스 수입 1차분에 포함된 <생상스3번,비외탕 4,5번 바이올린협주곡>, <베토벤,비오티 바이올린협주곡>

 

   

 

 

 

 

<바로크바이올린곡집>, <텔레마, 무반주바이올린환상곡집><베토벤,바이올린 소나타><프랑스벨기에 바이올린소나타(포레,프렝크 외).. 

아래 4장은 1차 수입분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곧 수입되지 않을까 싶다. 특히 2번째 음반은 텔레만의 곡을 2장의 CD로 엮은 것인데 1번 CD는 그뤼미오가 연주하는 텔레만의 12개의 무반주바이올린 환상곡이,2번 CD에는 아이오나 브라운이 연주하는 협주곡이 들어있다. 그 중 무반주 환상곡은 <아르튀르 그뤼미오의 예술>이라는 이름의 2장짜리 국내 라이센스 음반에 포함된 적 있다. 당시 23년 만에 음반으로 발매되는 곡이라고 해서 세간의 화제를 모았다. 연주는 매우 뛰어나다. 한동안 잊고 있었는데 엘로퀸스 발매덕에 생각이 났다. 현재 국내 라이센스 음반의 수급 상태가 어떤지는 모르겠다. 만약 어려웠다면 반가운 소식일게 분명하다. 3번째 있는 클라우디오 아라우와의 베토벤 연주는  아라우의 박스반 외에는 구하기 힘든 아이템이다. 4번째 있는 프랑스,벨기에 소나타음반도 개인적으로는 포레,프랭크의 소나타 3곡이 들어 있는 필립스 음반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 2장 짜리 소나타 음반에는 그외에 다른 곡들도 여러 곡 들어 있어 살짝 구미가 당긴다. 

2차 수입분을 기다리기 힘든 사람들은 호주 엘로퀸스 사이트로 가면 그리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다. buywell.com 이다. 들어가면 한국의 원화로 환전하여 비용을 표시해준다. 대략 호주 내수용 가격은 1CD 기준으로 1만 1천원대 미만이다. 국내 수입가격은 1만 3천원대. 그런데 호주에서 배송 비용을 포함하면 가격은 대략 비슷해진다.  데카나 필립스, DG의 오래된 음원들 중 반가운 것들을 만날 수 있다는 면에서 매우 매력적이다. 데카에서 나온 앙세르메와 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는 거의 모든 레퍼토리가 있는 듯 보였다.  

나처럼 요즘 신예들의 연주보다 옛날 사람들 연주를 더 좋아하는 경우에 건질 음반들이 꽤 있다.  

 간혹 미풍도 불어오는 6월에 듣기 좋은 연주가 아닌가 싶다. 텔레만의 무반주바이올린 환상곡1번 

 

 

  국내 라이센스음반.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