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10년전쯤 부산에 내려와서 처음으로 '뻘짓'이란 말을 들었다. 서울에 사는 동안 나를 비롯해 내 주변 어느 누구도 '뻘짓'이란 단어를 쓴 적이 없었다. 나는 이 '뻘짓'이란 단어를 알게되고 이 단어의 묘한 매력에 빠져서 요즘도 가끔 허튼짓을 하는- 나를 비롯한- 내 주변을 보고  

"나 원 뻘짓하고 있네." 라고 통렬하고도 적확하게 이 단어를 날린다. 마치 표적을 향해 직선운동하는 탄환처럼.  

나는 그동안 '뻘짓'의 의미는 '허튼짓' 정도로 비교적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었지만, 그외 부정확한 몇가지 사실을 몸 안의 결석처럼 이 단어 속에 포함시켜 이해하고 있었다. 

다음이 최근에 알게된 나의 잘못된 이해이다. 

1. '뻘짓'은 경상도 사투리다. ( '전라도 사투리'다. 내가 그 말을 들었던 것이 경상도 사람들 사이였고, 또 경상도에도 전라도 사람들은 많다. 그렇지 않더라도 언어는 돌고 돈다.) 

2. '뻘짓'은 '갯벌에서 하는 짓'에서 유래되었다.( 갯벌은 흔히들 줄여서 '뻘'이라고 발음한다. 여기서 연상 작용의 오해가 일어난 것이다. '뻘에서 하는 짓' 즉 '갯벌에서 덤벙덤벙하는 헛짓'이 '뻘짓' 이라는 식으로 말이다.) 

국립국어원의 '뻘짓'에 대한 답변은 이렇다. 

.. 현재(2006)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지만 <전라남도편, 이기갑외, 전남방언사전 314쪽>을 검토한 결과 '허튼짓, 헛짓'의 전남 방언입니다. '뻘짓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최소한 1)은 완전히 잘못된 이해였고, 2) 어원으로 찾다보면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할 수는 없으나 현재로서 관련성을 찾아 내기는 나로서는 힘들어보인다.  

그렇다면 본론.

'뻘짓'에 대해 이런 사전적 의미와 수용과정의 오류에 대해 쓴 것은 단 한마디를 하고 싶어서이다. 

...."진짜 뻘짓들 하고 있다." 

여기에 응용도 가능하다. 강조를 표현하는 접두사를 첨가하는 방법이다.. 

.... "진짜 개뻘짓들 하고 있네."  

텍스트의 안팎을 해체하면 이 페이퍼야 말로 '뻘짓'들을 질타하기 위한 '뻘짓'이 된다.  

그냥 '뻘짓하지마라'고 하면 될 것을...뻘짓하는 것들에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