찔레꽃 기념관 외 - 2003년 제4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윤대녕 외 지음 / 해토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90년대 중반이었다.TV문학관이라는 프로그램이 다시 제작되어 미디어비평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었다.우연히 채널을 돌리다 신문에 난 우호적 반응이 기억나 시선을 고정했다.검은 상복을 입은 김상중,심은하가 역인지 버스터미널인지 붐비는 곳에서 스쳐지나 갔다.윤대녕의 <천지간>이었다. 그때까지 난 그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 더우기 작품은 본적이 없었다.화면으로 표현된 그의 작품,그의 정서는 날 TV에 딱달라 붙게했다. 다음날, 서점의 첫 손님으로 그의 소설집(동인문학상 수상집)을 사서 한 숨에 읽고 또 긴 한 숨을 쉬었다.

당시 나에게 <천지간>이란 작품이 뿜는 향기가 너무 강렬했던터라 아직도 그 때의 기억이 생생하다. 우연한 인연과 그 인연이 갖는 삶과 죽음의 뫼비우스,범피중류의 처연함,경계가 모호해지는 이승과 저승. 그 이후로 한동안 윤대녕의 팬이 되었다.그는 내가 작가중에 서슴없이 팬이란 이름을 붙일수 있었던 최초의 작가였던 셈이다. 그 이후 몇편의 단편과 장편을 보았다.물론 괜찮은 작품들이었다.하지만 시간의 더께 속에 그에 대한 관심도 점차 멀어졌다. 그러다 최근에 다시 그의 글을 만나게 되었다.이효석 문학상 수상작으로서....

윤대녕의 <찔레꽃 기념관>은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의 현대적 복원같다. 하얀 메밀꽃이 찬연한 봉평장 대신 붉은 네온싸인과 찔레꽃이 살짝핀 대도시로 배경이 바뀐다.<메밀꽃>에서 자연인의 삶을 준 아버지와 아들의 인연이 소재라면 <찔레꽃>에선 문학적 삶의 대부가 된 이발소 아저씨와 주인공의 인연이 전개된다. <메밀꽃>에서 허생원과 동이의 인연이 서로 왼손잡이라는 복선만을 남긴 채 소설이 끝나듯 <찔레꽃>에서도 이발소에 걸려있던 밀레의 <만종>과 푸슈킨의 시로 인연의 얇은 개연성 한 가닥만 남겨 놓고 끝난다. 윤대녕이 몇몇 단편에서 보여준 소설의 구조,즉 한 사람의 과거를 타자의 입을 통해 플레시백하고 그것이 또 어느 사람과의 미묘한 인연의 한 줄기였음을 전하는 방식.이것은 언제나 내게 마음 한 구석의 묘한 아쉬움과 허함을 남긴다.

이 느낌을 뭐라 한마디로 잘라 말 할 수는 없다.굳이 말하자면 우리가 하는 작은 행동 또 어떤 선택들이 절대자의 명령에 의한 운명과는 다른, 이미 예정된 그러나 아쉬운듯 가녀린 관계의 인연속에 생겨나는 부족함같은 것이다.그 인연의 부족함과 그로 인한 떠남,또는 미완의 무엇은 마음 속에 먼 길이의 끝을 바라보는 자의 아쉬움,그래야만 했는데도 그러지 못했던 자들의 -그리고 지금은 어찌할 수 없는-서글픈 시선을 담고 있다. 이번 작품에서도 윤대녕의 그런 정서를 느낄 수 있어서 과거의 팬으로서 반가왔다.단 예전보다는 몽환적 느낌이 많이 줄어 들고 현실의 척박함에 시선을 고정하고 있다는 생각이다.이것이 작가의 발전일지 어떨지는 이 한편으로는 알 수 없을 듯 하다.

수상작외에도 이 작품집에는 김영하,김훈,한강등 활발한 창작활동을 하는 작가들의 근작이 실려있다.전체적으로 좀 아쉬운 점은 대개 작품들의 소재가 시한부,죽음,병원등과 관계가 있다.이와 같은 소재들이 인간의 실존을 또 삶의 이면을 다시 보게 하는 시점을 제시하는 것은 사실이다.그러나 한 작품집에 5할 이상이 이런 소재들과 관련있다는 것은 선정위원들의 취향때문일지 아님 요즘 한국소설의 전반적 경향때문인지는 알 수 없는 노릇이다.개인적으로는 이삿날의 일상적 갈등과 천년의 시간을 버텨온 가야토기를 오버랩하는 김영하의<이사>,잊었던 자신의 슬픈 근원을 더듬어 나가는 기수상자 이순원의 <아비의 잠>,동인문학상 수상작에도 포함되어있던 성석제의 <쾌활한 냇가의 명랑한 곗날>등에 애정이 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