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나온 기돈 크레머의 '모차르트 바이올린협주곡' 전집이다. (모차르트는 모두 5개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남겼다.) 

매장에 갔다가 들었다 놨다 하다가 다른 음반만 사고 말았다. 

오늘 보니 알라딘 음반소개 배너에 이 음반이 소개되고 있다.  

"파가니니의 환생'우리 시대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기돈 크레머가 마침내 선보이는
첫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전곡집" 

'파가니니의 환생' 이라는 말은 기돈 크레머의 애칭으로 오래전 부터 쓰였기 때문에 그닥 이상할 것도 없다.  (아래 요간지다)

우리 시대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라는 말은....'최고'의 의미를 두고 취향의 차이가 존재하겠지만 이 시대의 대표적인 바이올린 연주가 중 하나임에는 틀림 없다. 

문제는...알라딘의 대문 배너에도 나오는 '첫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전곡집' 이라는 거다. 

그럼 "이건 뭐냐구요?" 가 지난 번에도 말했던 내 의문이다. 

80년대중반에 DG에서 녹음한 음반말이다. 아르농쿠르가 지휘한 빈 필하모닉과 연주했다. 내가 이 음반을 기억하는 것은 내가 처음으로 들은 모차르트 협주곡집이 이 음반이기 때문이다. 

 내가 들었던 음반은 이렇게 2FOR1 세트로 나오기 전에 눈 튀어나온 아르농쿠르와 반짝이는 크레머가 어색하게 어깨동무를 한다든지, 서로 바라본다든지 하는 그런 라이센스 음반이었다.(아래 있는 간지다.신포니아 콘체르단테 음반이다. 비올라의 여인네가 킴 카자카쉬안이다.) 

 같은 음원이 2003년에 왼쪽에 있는 시리즈로 나온것이다.  

 

 

그러니까 이건 크레머의 2번째 모차르트 바이올린협주곡 전곡 녹음인 셈이고 '첫'을 강조하려면 크레머가 조직하여 스스로 지휘자 역할까지 맡은 '크레메타 발티카'와의 '첫번째' 시도가 정확할 듯 하다. 

 

...아무래도 '첫경험'과 '원조집'에는 일종의 마케팅적 강박이 있는가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