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르바에 대해 열광한 적이 없다. 그건 황우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내가 처음으로 미네르바의 글을 본 것도 미네르바 구속으로 허위논란이 있는 <신동아>의  기사를 읽고 나서이다. 오히려 내 관심을 불러일으킨 것은 미네르바가 아니라 <미네르바 신드롬>이었다. 사실 나는 미네르바가 얼마나 경제통이며 예측의 정확성이 있었는지 잘 모른다. 어떤 투로 글을 쓰는 지 조차 잘 모른다고 하는 편이 맞다. 시사주간지를 통해 본 평가는 '쉽게 명쾌하게'라는 것으로 기억된다. 하지만 이런 '쉽게 명쾌하게'는 늘 헛점을 만든다. 결국 내가 보기에 <미네르바 신드롬>은  미네르바를 불편해 하는 측의 압박과 미네르바에 열광하는 이들이 동시 합작품이었다. 책임은 전자가 훨씬 크다. 반짝 인기를 모은 한 개인이 국가신인도를 떨어뜨릴 만큼 강력했다면 그 국가가 얼마나 내파되어 있는지 징후적으로 보여준다. 마치 구멍이 숭숭 뚫려 한 조직만 무너져도 와르르 무너질 것 같은 말기 골다공증환자의 골밀도 조직같은 국가. 이것을 스스로 인정한 셈이다. 결국 그렇게 자랑스러워 하던-자학사관을 벗어나자던- '대한민국'의 위상을 그 정도 밖에 안된다고 스스로 자임한 꼴이다. 사이버 논객 하나에 국가 신인도가 빵구가 날 정도라면 더이상 무슨 말이 필요하겠는가. 이런 국가기밀을 국가가 나서서 인정했으니 이것이야 말로 '국가 내란을 목적으로 한 대외기밀 누설죄'에 해당하지 않겠는가? 그렇게 경계하는 북한이나 호시탐탐 독도를 노리는 일본이 이 사실을 안다면 어떻게 하려고 그러는가?   

내가 사실 미네르바에 관심이 가게 된 것은 최근 구속사태 때문이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면 '정신병적인 강박증이 아니라면 일어나서는 안돼는 일이다.' 다분히 정치적인 반대파를 겨냥한 목소리겠지만, 전직 대법관을 지냈던 수구 우파인 이회창 총재마저 헌법질서를 운운하며 비판한다.(그가 대통령이었다면 똑같은 짓을 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회창의 TV 인터뷰는 '정치인'보다 '법률가'로서 날릴 때의 그와 잠시 오버랩되었다. 이회창이 김영삼과 대립날을 세웠을 때 '대쪽판사의 사법정신'으로 포장된 그의 인기는 하늘을 찔렀다.  

나는 지난 대선부터 지금까지 이명박을 '쥐박이'나 '명바기새끼'라고 불러 본 적이 거의 없다. 이유는 그가 그렇지 않기 때문이 아니다. 그에 대한 '분노작열'로 또는 그를 '악'으로 몰아붙이면서 작동시키고 있는 '내 안의 정치'는 어떤 것인가를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론 투쟁의 국면에서 우리는 상대를 '적'으로 또는 '악'으로 구현하고 목표의 지향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 외 지점에서. 일상화된,또는 습관화된 '쥐박이' 의 사용은 내게는 반갑다기 보다는 조심스러웠다.  

아주 쉽게 말해서 나는 그 '쥐박이'가 총체적인 분할 구도 속에 차이는 물론이고 자신의 비루함마저 묻는 기제로 이용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일종의 자기를 위한 미끼같은 것. 결국 싸워야하는 또다른 큰 종류의 실체는 그 미끼를 무는 것정도에서 머물고 그 실체를 알았다고 자임하며 은폐된다는 것이다. 물론 근본주의적 성찰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미끼를 무는 행위 자체가 어리석은 짓만도 아니다. 강조하는 점은 우리가 이런  미끼를 스스로에게 던지고, 그런 미끼를 물고, 그런 미끼로 부터 풀려나는 과정 속에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진실은 선을 긋는 것에서 생기지도 않고 선 바깥에서 생기지도 않는다.

<경향신문>에서 미네르바 구속에 따른 자발적 검열이 시작되었다는 기사를 읽었다.    

------------------------------------------------------------------------------------ 

   ◇네티즌 자기 검열=정부 정책에 대한 토론이 활발한 다른 사이트에서도 위축된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다음 블로거 뉴스의 ‘낮은 표현’은 “미네르바 구속으로 아내가 더 이상 (정부를 비판하는) 글을 쓰지 말라고 한다”고 적었다. 이어 “자기 검열뿐만 아니라 가족간 검열로 이어질 판”이라고 했다.

서울대 홈페이지의 ‘메추라기’는 댓글에서 “판사도 승진은 해야 하니까”라고 적은 뒤 “이 리플도 검찰에서 보려나?”라고 썼다.

경희대 인류사회재건연구원 송경재 교수는 “의사 표현은 민주주의 국가의 기본권인데 이런 부분들이 사법기관·행정부 등 권위체에 의해 견제당했을 때 위축되는 현상이 일어난다”며 “이를 ‘겁주기 효과’라고 하는데 미네르바 체포 이후 인터넷에 글쓰기를 할 때 재차 자기 검열을 한다든지, 용어 선택에 주의를 기울이는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대통령을 비하하는 은어 사용도 줄었다. 디지털카메라 동호회인 ‘SLR클럽’의 게시판에서는 지난 1일부터 8일까지 ‘쥐박’이라는 표현이 들어간 게시글이 842건당 1회씩 있었는데 9~11일에는 1969건당 1회로 57%가량 줄었다. ‘이메가’라는 표현도 같은 기간 2197건당 1회에서 3150건당 1회로 30% 정도 줄었다. 
------------------------------------------------------------------------------------- 

최근에 나온 <뉴라이트 비판>에 대한 알라딘의 광고문구에는 "이 모든게 뉴라이트 때문이야"라는 문구가 있었다. jade님이 이 문구를 보고 경악했다는데 어느 정도 이해가 된다. 그것이 내가 말하고 있는 어떤 지점과 접합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모든 것을 뉴라이트때문' 으로, 또는 '모든 것을 이명박때문' 이라고 말할 때 그 사이로 빠져나가는 것들. 

나는 '우리 안에 있는 이명박'이 '적' 이라는 근본주의적 태도에도 동의하지는 않는다. 자칫하면 현실적 조건과 차이들. 그리고 그 안에서 벌어지는 생사를 건 모든 싸움들을  모두 '허무'의 깃발 아래 담아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으로 인해 궁극적으로 포스트모던한 중세가 되어 버릴 수 도 있기 때문이다. (내가 '생태주의'에 대해 견지하고 있는 입장도 이와 유사하다.)  

한 때 알라딘을 충천케 했던 '쥐'의 포화상태도 '소띠'해에 조금은 줄어들 듯 하다. 경향신문의 기사는 통계의 해석이라는 측면에서 완전치 못하다. 그것이 미네르바 구속때문에 생긴 일인지 다른 이유때문인지 명확치 않다. 약간의 유의미한 사실을 가지고 작성되는 것들이 기사를 만드는 사람들의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검열 때문일 수도 있고, 외치고 조롱해봐야 별반 반응이 없으니 지친 걸 수도 있고,황당한 사건에 이성적으로 대응하다 보니 줄어든 것일 수도 있고, 검찰을 욕하다 보니 이명박이란 단어가 줄어든 걸 수도 있다. 해석은 여러가지로 가능하고 각 해석 하나 하나가지고 기사를 만들 수도 있다. 

어쨋거나 알라딘에서는 '분기탱천' 페이퍼가 상당히 줄어든 것은 사실이다. 다시 '촛불'이 타오를 때까지.... 그런데 사건적인 희생이 나오기 전까지는 '촛불'이 타오르기 쉽지 않을 것 같다. '촛불'의 학습효과는 민중들에게만 있는 것도 아니고 집권층에도 생긴 것이다. 분열시키고 개별화 시켜서 서서히 지치게 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이자 내 옆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아...졸라...쥐색이들 약먹었으면 조용히 집 구석에 가서 죽을 일이지..발악을 해버리네. 쥐구멍에에다가 기름칠하고 불을 질러,이것들을!! (ㅋㅋ 할 만큼 다했네. 아싸.. 나는 생각있는 사람으로서 할 일 다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