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젝의 <삐딱하게 보기>를 읽고 있다. 그동안 지젝의 글을 몇 편 읽고, 그의 강의도 좀 보고, 좀 익숙해져서인지 낯익은 풍경을 보듯 읽힌다. 그렇다고 '케익크 한 조각'은 아니다.단지 훨씬 마음 가볍다는 뜻이다.  

로버트 하인리히의 <조나단 호그의 불쾌한 직업>이 거론된다. 외계인에 끌려갔다 생환하는 사람의 이이기이다.존재하지 않는 13층을 찾으러 보내졌던. 우주를 만든 우주인들은 주인공을 돌려보내 줄 때 가는 길 동안 절대 차창을 열지 말라고 말한다. 우주에 약간의 결함이 있어서 수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금지와 관련된 상징은 아주 태곳적 이야기부터 나온다. 성경도 창조 이후 나온 이야기가 금지의 이야기 아니던가, 오르페우스의 신화도 그렇고, 천년묵은 이무기 이야기도 그렇다. 꼭 하지 말라면 해야 되는게 인간인지라-그리고 그게 있어야 신화가 이루어진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도 뉴욕으로 돌아가는 길에 창문을 연다. 문 틈 사이로 무엇이 보일까? 

안개? ....아니다. 아무것도 없는 텅빈 상태. 어떤 움직임도 없는 '무' 이다.  주인공은 아주 조금만 문을 열고 창으로 보이는 일상적 풍경과 창이 열린 틈으로 보이는 '무'를 동시에 경험한다. 

지젝은 이 이야기에서 나오는 '무'를 라캉적 의미의 실재계라고 말한다. 그리고 '내부'와 '외부'사이의 불연속성의 문제로 넘어간다. 이 불연속성은 불편함으로 다가오는데 일종의 보호 스크린 구실을 하던 창문이 안전거리를 확보해주다가 그것이 너무 가까이 근접했을 때 느껴지는 경험이라는 것이다. 이 내부와 외부의 경계는 스필버그의 <태양의 제국>을 인용하면서 다시 언급된다. 영화의 첫 장면 아이가 비참한 중국인들의 거리를 바라보면서 지나가는 자동차씬 말이다.  

지젝은 이 경계선이 무너졌을 때, 즉 그 때까지 자신이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외설적이고 잔인한 세게로 던져졌다고 깨달았을 때 생존의 문제가 시작된다고 말한다. 

나는 늘상은 아니지만 아주 가끔씩 알라딘식 소통에 냉소가 느껴질 때가 있다. 빌게이츠의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윈도우'운영체계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지젝도 그런다. '실재'에 접근하면 모두 미치광이가 된다고... 

** 나는 여기서 '상징계,실재계'를 정의대로 활용하지 않았고 중의적으로 콜라주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