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중산층 ‘잔인한 10월’ [중앙일보]


금융위기 직격탄 장영학씨 3가지 고민
“분위기 휩쓸려 손댄 것들이 모두 상투 … 전문가도 기다려라 말뿐 … 속수무책”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여겨온 중견업체 임원 장영학씨. 미국발 금융위기가 주택 마련, 재테크, 자녀교육 기반을 온통 헝클어뜨려 놓았다. 딱히 시원한 해결책도 보이지 않아 답답한 마음에 그는 요즘 밤잠을 이루지 못한다. [김태성 기자]


관련핫이슈


 

중견 유통업체 임원 장영학(45)씨는 자신이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중산층이라고 생각한다. 미국발 금융위기가 지구촌으로 확산하면서 그는 요즘 세 가지 고민에 밤잠을 설치기 일쑤라고 털어놨다.

“무엇보다 대출을 끼고 산 아파트 값이 속절없이 떨어지고 반대로 대출이자는 치솟는 바람에 손해 보고라도 지금 팔아야 할지 잠이 안 옵니다. 이미 반토막 난 주식형 펀드는 또 어떻게 해야 합니까. 여기에다 자고 나면 뛰는 환율에 미국에 연수 보낸 딸을 불러들여야 할지….”

만날 걱정이지만 어느 하나도 시원한 해결책이 안 보여 답답함만 쌓여가고 있다고 했다. 장씨는 “되돌아보니 주변 사람들의 분위기에 휩쓸려 재테크 한답시고 잘 모르고 손댄 것들이 모두 상투를 잡은 것 같다”며 “찾아보면 나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부동산 가격이 거의 정점에 이른 2006년 말 경기도 용인 수지에 아파트를 샀다. 강북 집을 판 돈 2억7000만원에 대출 3억원을 보태 무리하게 51평짜리를 5억7000만원에 샀다. 그는 “당시에는 그렇게라도 집을 사지 않으면 나만 ‘부동산 잔치’에 끼지 못할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며 “교육 여건도 강남 쪽이 좋아 그렇게 결정했다”고 말했다. 집을 산 뒤 1년 동안 1억원 이상 올라 장부상으로는 이자를 치르고도 남는 장사였다.

하지만 올 초부터 집값이 슬금슬금 내려가기 시작해 지금 시세는 구입가보다 더 떨어졌다고 한다. 국민은행 조사에 따르면 이 아파트 시세는 약 6억원. 하지만 인근 공인중개사가 “급매물은 5억원 이하짜리도 많다”고 하는 말에 화병이 생길 지경이다. 그간 대출 이자로 나간 돈만 4000여만원. 그의 연봉은 7200만원 정도. 담보대출 금리가 최근 10%까지 올라 이자 부담도 견디기 힘들 정도가 됐다.

“유일한 바람으로 아파트를 팔아 그간 들어간 부대비용만이라도 건질 수 있으면 좋으련만 주변 사람들 말을 들어보면 앞으로 1억원 이상은 더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해 난감합니다.”

주식형 펀드는 2007년 말에 가입했다. 코스피지수가 2000포인트가 넘어 펀드에 들지 않으면 바보라는 말을 듣고 뒤늦게 뛰어든 것이 화근이었다. 결혼하고 얼마 있다가 들어놓은 10년짜리 저축성 보험을 때마침 타 4500만원이 생겼다. 그 돈을 들고 증권사를 찾아가자 창구 직원이 자원 부국인 브라질이 유망하다며 ‘브릭스 펀드’를 권유했다. 그게 지금은 반토막 났다.

두 아이를 둔 그는 중학교 1학년인 큰딸을 지난해 8월 미국으로 어학연수를 보냈다. 친구들이 미국·캐나다·호주로 다들 유학 갔다며 하도 졸라 마지못해 허락했다. 기독교단체에서 운영하는 학교라 학비도 싸다는 말에 어려운 결정을 내렸다. 당시 환율은 달러당 920원대였으나 지금은 1400원을 넘나들고 있다. 매달 보내는 홈스테이 비용 800달러도 큰 짐이 돼 버렸다. 한 달에 70만원 정도 하던 송금액이 요즘은 100만원을 넘었기 때문이다. 용돈·책값 등 생활비까지 다 따진다면 1년 새 송금액이 거의 2배나 늘어났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며칠 전 전화로 딸에게 돌아오는 게 어떻겠느냐고 묻고는 둘 다 울어버리고 말았다. 그는 신문에 나오는 금융전문가들의 조언이 도움이 될까 해서 열심히 읽어보지만 한결같이 “지금은 일단 기다릴 때”라는 말뿐이라며 허한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김시래 기자

.....................................

이 기사의 인물이 실재인물인지 현 금융위기의 한 전형으로 예를 든 것인지 잘 모르겠다. 금융위기가 사실 남의 일이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결코 그렇지 않다.'라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서라면 이런 쉬운 예도 괜찮을 듯 하다. 이번 위기는 모든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세상의 많은 일들이 그렇지만....가장 영향을 안받는 사람은 지리산에서 토굴 파놓고 사는 사람들 밖에 없다. 그 외에는 누구나 다 여러 형태로 영향을 받는다. 이 참에 경제에 관심이 없었던 사람들도 좀 관심을 가져보면 어떨까 싶기도 하다.

하지만 그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니다. 위의 기사를 보니까..도대체 중산층이 어딘가 싶다. 물론 본인이 그렇게 생각한다고 하지만 사실 이건 이 신문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범위이자, MB정권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개념과 유사해 보인다. 부동산으로 돈을 벌겠다고 50% 이상의 돈을 대출받는 투기심리, 강남의 집값 상승을 염두해 두고 담보대출을 해주는-즉 부동산 거품을 불려온-은행권의 행태 등등....이 기사에는 너무 당연시 하지만 개별 행동 하나 하나의 욕망과 동기를 살펴보는 시각이 완전히 결여되어 있다. 그냥 모든 것은 주어진 당연한 것이고 그 결과의 실패가 '눈물'이 날 뿐이다. 그렇게 이 신문이 숭상하는 '시장자유주의'에 기대면 '일말의 동정'도 필요없는 것 아닌가?  모든 '투자'는 '수익'과 '손실' 사이를 왔다 갔다하는 게 원칙이니까. 그리고 '투자'만 하고 늘 '이익'만 보는 '자본주의'는 유아적인 욕심꾼들의 자본주의 아닌가?

미국 간 딸에게 돈을 보내주지 못해서 통화하다가 눈물이 난 대목에서는 나도 눈물이 살짝 났다. 그래서 어제인가 20대 주부가 생활고를 이기지 못하고 자살하면서 두 아이에게 유서처럼 남긴 글에 흘렸던 눈물은 싹 닦아주게 만든다. 그 27살의 어린 엄마는 ' 신발이 작아 발이 아프다는데도 신발을 사주지 못해서 미안하다' 라는 마지막 말을 남겼다.

'달러 올라서 가만있어도 20만원씩 더 나간다.짜친다.(부산말이다)  미국에서 들어와라.'

'신발을 사주지 못해 정말 미안하다. 신발이 작아서 발이 아프다는데도...발이 아프다는데도'

눈물 나는 가을이구나.

힘차게 투쟁하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링 2008-10-11 06: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조선일보 기자 연봉으로 어디 저 분이 고소득층으로 보였겠어요?

드팀전 2008-10-11 06:12   좋아요 0 | URL
중앙일보이에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