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ed, one interesting upshot of the emergence of virtue ethics is that some deontologists and utilitarians have reached to it by recognizing its importance and seeking to address it within the terms of their own theories. Hence, for example, the revived interest in Kant’s Doctrine of Virtue, the elaboration of character-based versions of Kantianism and utilitarianism, and the utilitarian Peter Singer’s latest book on ‘How are we to live?'[3] This is currently resulting in some very exciting work, particularly in the area of Aristotelian and Kantian scholarship. A recent collection has McDowell bringing Aristotle closer to Kant, and Herman and Korsgaard bringing Kant closer to Aristotole[4] I have not yet come across to interpret Mill in Aristotelian ways but I suspect it will happen any day[5]

 

 

This has meant that the lines of demarcation between the three approaches have become blurred. Describing virtue ethics loosely as an approach which ‘emphasizing the virtues’ will no longer serve to distinguish it. By the same token, of course,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are no longer perspicuously identified by describing them as emphasizing rules or consequences in contrast to character[6]. No one, as far as I know, is bothered by the fact that there are no longer satisfactory short answers to the questions ‘What is deontology?’ and ‘What is utilitarianism?’, but currently, at least some philosophers seem bothered by the fact that we virtue ethicists cannot come up with one to answer ‘What is virtue ethics?’. The demand that virtue ethics, unlike the other two approaches, should ba able to state its position succinctly, in terms both sufficiently broad (or disjunctive?) to get all virtue ethicists in and sufficiently tight to keep all deontologists and utilitarians out, seems a bit excessive. Why should anyone expect us, uniquely, to be able to do it? 


 


[3] O.O’Neil, ‘Kant After Virtue’(1984); R.B. Louden, ‘Kant’s Virtue Ethics’ (1986); R. Crisp, ‘Utilitarianism and the Life of Virtue’(1992); J. Driver, ‘The Virtues and Human nature’ (1996); B.Herman, The Practice of Moral Judgement (1993); M. Baron, Kantian Ethics Almost Without Apology (1995); Peter Singer, How Are we to Live? (1996)

 

[4] J.McDowell, ‘Deliberation and Moral Development in Aristotle’s Ethics’; B. Herman, ‘Making Room for Character’; Christine Korsgaard, ‘From Duty and for the Skae of the Noble: Kant and Aristotle on Morally Good Action’, all in S. Engstrom and J. Whiting (eds.), Aristotle, Kant and the Stoics (1996). See also Stephen Hudson, ‘What is Morality all About?’ (1990)

 

[5] See the notes to ch. 2 of R. Crisp (ed.), Utilitarianism (1998) 

 

[6]Three excellent recent survey articles on modern virtue ethics all constantly qualify the usual slogans, pointing out ways in which new developments in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have subverted them. See G.V. Trianosky, ‘What is Virtue Ethics all About?’ (1990), Justin Oakley, ‘Varieties of Virtue Ethics’ (1996); and Daniel Statman, ‘Introduction to Virtue Ethics’ (19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번역하고 후기 쓰면서 들었던 노래 중에서 한 곡 (아래 주소를 누르면 나옴)

 

http://www.aladin.co.kr/blog/mypaper/767036 

 

--------

 

 



처음부터 얕잡아 본 적도 없지만 단 두 문단에 이렇게 시간이 걸리니 고약스럽다. 글 전체가 옮기기 힘이 드는 것은 아닌데, 꼭 하나나 두 문장씩 애를 태우고 이번에도 예외가 아니었다. 다른 대안도 없고, 갈 길도 머니, 조금씩 나의 고유한 번역 방식을 느끼고 익혀가는 과정이라고 다독이며 넘어가는 수밖에 없겠다.  

 

1.       moral 혹은 morality 도덕의(도덕)’ ‘윤리적인, 윤리의(윤리)’ 의 사전적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다. 그러나 내가 미리 읽거나 접한 윤리학 책에서 윤리의 제 문제에 접근하는 입장에 따라 도덕과 윤리의 어휘를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음을 알게 됐다. 한 예로 이렇게 살아도 괜찮은가를 쓴 피터 싱어는 제 9윤리의 본질편에서 칸트의 이론이 심각하게 여겨지고, 종종 유럽인들에 의해 받아들여지기까지 했다는 사실은 서구 유럽에서 자라난 세대들이 가지고 있었던 도덕적 의식의 고유한 특징을 반영한다. 사실, 그 특징은 오늘날 윤리(ethics)’ 대신에 도덕(morality) 이라는 말을 더 자연스럽게 만든 요인이기도 하다.” 고 밝힘으로써 윤리와 도덕의 의미 구분을 말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마이클 슬롯의 덕의 부활의 역자 서문에서도 분명한 것은 많은 서양 윤리학자들이 “Morality” 또는 “Moral Philosophy” “Ethics” 를 구별하여 사용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Morality” “Virtue” 를 구별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고 나와 있다. 이런 내용을 토대로 해서 본격적인 덕 윤리학의 내용이 설명될 때는 윤리의 의미로 옮기도록 하고, 서론에서 기존의 이론들에 관해 언급할 때 나오는 ‘moral’ 의 뜻은 도덕으로 옮기도록 했다.  

  

  1. ‘Moral Character’ 도 공리주의와 의무론과의 대비를 뜻할 때는 도덕적 품성덕 윤리학자들의 주된 논의내용을 지칭할 때는 줄여서 덕성으로 옮기려고 한다.

 

  1. 오늘의 작업에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마지막 문장인 But the fact remains that, once they are pointed out, many people, not just those who have read the ancient Greeks, immediately recognize the topics as important ones in moral philosophy.  중에서 밑줄로 표시한 부분이었다. 처음에는 그러나 라는 점이 남아 있다.” 로 직역했으나, 어딘가 틀린 것처럼 보이지 않았어도 문장의 뜻이 앞과 통하지를 않고, 흐름도 없어서 머리를 싸맸다. Remain, But, Once, 를 각각 찾고 용례도 찾고 그래 봤으나 어색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좀 쉬었다가 입 밖으로 옮긴 문장을 말해 보면서 어디가 이상한가를 따져 봤더니 역시 말뜻이 통하지 않아서가 문제였다. 결국 거꾸로, 그러니까 내가 생각하는 이 문장의 의미를 정하고, 그 뜻을 한영사전에서 찾아 원문의 단어들을 받는 예문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식으로 했다. 그랬더니 it may right or wrong, but I it is a fact. 의 예문이 쉽게 발견됐다. 다 해 놓고 생각해 보면 어려운 해석이 아닌데, 단어 대 단어로 옮긴다는 생각은 여전히 견지하되 그 단어와 단어로 한 문장 옮기기가 단지 어색함을 너머 뜻이 안 통할 지경에 이르면 머리를 이리저리 흔들어보면서 대안을 찾을 필요가 있겠다는, 경험에서 나온 요령 하나를 얻은 것 같다. 그나저나 맞게 옮겨지기는 했는지 모르겠다.   

-----------

 

아래는 Introducing Astotle 중 윤리학 부분 3,4 번째 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ere are a number of different stories to be told about why an increasing dissatisfaction with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should have resulted in the revival of virtue ethics  (and no way of determining which is the most accurate), but certainly part of any story seems to be that the prevailing literature ignored or sidelined a number of topics that any adequate moral philosophy should address. Two I  mentioned above-motives and moral character; others were  moral education, moral wisdom or discernment, friendship and family relationship, a deep concept of happiness, the role of the emotions in our moral life, and the questions of what sort of person I should be, and of how we should live. And where do we find these topics discussed? Lo and behold, in Plato and Aristotle.

의무론과 공리주의에 관한 불만이 늘어난 결과 윤리학이 부활하게 이유를 설명하는 개의 상이한 진술들이 있다. (결코 어느 것이 가장 정확한지를 결정할 수는 없지만) 어떤 설명이건 일부는 확실히 주요 문헌들이 적절한 도덕 철학이라면 다뤄야만 하 많은 주제들을 무시했거나 중심에서 떼어 놓았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동기와 덕성- 하나고, 도덕 교육, 도덕적 지혜 혹은 분별, 우정과 가족 관계, 행복에 관한 깊이 있는 생각, 우리의 도덕적 삶에서 감정이 차지하는 중요성, 그리고 나는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는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관한 질문들이 나머지 주제들이다. 그러면 우리는 어디에서 주제에 관한 논의를 찾아 것인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보라!

Now of course, this is not just a coincidence. The modern philosophers whom we think of as having put virtue ethics on the map-Anscombe, Foot, Murdoch, Williams, MacIntyre, McDowell, Nussbaum, Slote[2]-had all absorbed Plato and Aristotle, and in some cases also Aquinas. Their criticisms of 'modern moral philosophy' were no doubt shaped by what they had found insightful in those earlier writers and then found lacking in the modern. But the fact remains that, once they are pointed out, many people, not just those who have read the ancient Greeks, immediately recognize the topics as important ones in moral philosophy. 

물론, 이것은 그저 우연의 일치가 아니다. 윤리학의 이름을 높여 왔다고 생각하는 앤스콤 Anscombe, Foot, 머독 Murdoch, 윌리암스 Williams, 매킨타이어 MacIntyre, 맥도웰  McDowell, 누스바움 Nussbaum, 슬롯 Slote- 등은 모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일부 아퀴나스의 사상을 흡수한 근대 철학자들이다. ‘근대 도덕 철학 대한 그들의 비판이 그들이 초기의 저작에서 발견한 통찰력 있는 내용들, 그런데도 근대에 와서 결여된 그것들 구체화 되었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어쨌든, 그런 지적들이 있고 나면, 고대 그리스 철학을 연구해 사람들 아닌 많은 사람들이 즉각 주제들이 도덕 철학의 중요한 내용이라고 인정하게 된다.    



 

[1] It seems to be just an accident that N.J.H. Dent’s The Moral Psychology of the Virtues (1984), S. Hudson’s Human Character and Morality (1986), and E. Pincoffs’s Quandaries and Virtues (1986) have not been quite as influential as the writings of the authors mentioned here.

덴트 Dent The Moral Psychology of the Virtues (1984), 허드슨 Hudson Human Character and Morality (1986), 그리고 핀콥스 Pincoffs Quandaries and Virtues (1986) 등이 여기서 언급한 학자들의 연구만큼 영향력이 없다는 것은 부수적인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ere are a number of different stories to be told about why an increasing dissatisfaction with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should have resulted in the revival of virtue ethics( and no way of determining which is the most accurate), but certainly part of any story seems to be that the prevailing literature ignored or sidelined a number of topics that any adequate moral philosophy should address. Two I  mentioned above-motives and moral character; others were  moral education, moral wisdom or discernment, friendship and family relationship, a deep concept of happiness, the role of the emotions in our moral life, and the questions of what sort of person I should be, and of how we should live. And where do we find these topics discussed? Lo and behold, in Plato and Aristotle.  

Now of course, this is not just a coincidence. The modern philosophers whom we think of as having put virtue ethics on the map-Anscombe, Foot, Murdoch, Williams, MacIntyre, McDowell, Nussbaum, Slote[2] -had all absorbed Plato and Aristotle, and in some cases also Aquinas. Their criticisms of 'modern moral philosophy' were no doubt shaped by what they had found insightful in those earlier writers and then found lacking in the modern. But the fact remains that, once they are pointed out, many people, not just those who have read the ancient Greeks, immediately recognize the topics as important ones in moral philosophy.



[2] It seems to be just an accident that N.J.H. Dent’s The Moral Psychology of the Virtues (1984), S. Hudson’s Human Character and Morality (1986), and E. Pincoffs’s Quandaries and Virtues (1986) have not been quite as influential as the writings of the authors mentioned her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기대와 달리, 두 문단 옮기는 데 지난 두 번 보다 긴 시간이 들었다. 막상 판단을 내리고 옮긴 뒤에 다시 읽어 보았더니 왜 아까는 말이 잘 안 풀렸나 싶은데, 그래서 약간 허탈하기도 한데 아마 뜻이 단박에 다가 오지 않았던 한 두 문장에서 막혀서 그랬던 것 같다. 번역 해 보면서 겪은 일들을 기록하는 자리이므로 다음 정도를 남겨 두자: (1) 이번에는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의미가 담긴 구문인데 그동안 어느 하나의 뜻으로만 당연하게 써 왔던 표현들 (예를 들면 let alone ‘–는 말할 것도 없고의 뜻으로 당장에 생각하고 나니까 let alone a whole movement of them 에서의 them 이 지칭하는 대상이 무엇인지가 헛갈렸다) (2) 맨 마지막 문장의 yield 의 말뜻은 낳다, 얻다, 생기다 쪽의 뜻이라는 짐작은 어렵지 않았는데 그 뒤의 moral truth 가 정확히 무엇을 말하는지 알 수 없어서 확신있게 옮기지를 못했었다. 철학 분야의 웹 문서 검색도 해 보고 내게 있는 책도 들춰 보고 하면서 지금의 문장으로 옮겼다.

 

2.       양가감정일텐데, 선택할 수 있는 말의 선택역이 너무나도 좁디 좁은 걸 절감해서 사서 괴로움을 느꼈고, 아프다가 어느새 가렵고 또 그러다말고 시원하더라고, 그런 기분도 살짜쿵 들었다. (제대로 옮겼다는 전제하에…)

 

3.       이제 겨우 세 번째, 하지만 저자의 글쓰기 취향 내지는 책을 써 가는 글쓰기 태도에 관해 글눈치를 받았다. 글은 덕 윤리학이라는 덜 알려진 분야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다던 의도를 잘 따르고 있었다. ‘그러니까’’어쨌든등의 한 마디 표현을 문장 안에 여러 번 끼워 넣어서 딱딱한 형식을 덜하게 한다던가, 거창한 비유나 상징 대신 반어형 문장으로 가볍게 강조의 효과를 낸다던가, 화려하고 단정적인 수사법을 써서 독자의 눈을 빠르고 쉽게 끌 수도 있었을텐데 그런 강력한 의도가 거의 느껴지지 않는 서문의 구성이라던가. 그래서인지 글을 따라가다 말고 나도 모르게, 젊은 철학도의 여러 시선이 모인 자리에서 차근차근 진행되는 강의실 하나가 연상됐었다.      

 

4.       맨 위의 그림은 아리스토텔레스와 제자들이 무엇인가를 관찰 중이고, 아래의 그림 두 장은 Introducing Aristotle 에서 윤리학 부분에 해당하는 열 여덟 페이지를 스캔한 것이다. 앞으로 후기 쓸 때 두 장씩 끼워 넣을 생각인데, 확인차 검색을 했더니, Icon Books 에서 기획물로 낸 [Introducing…] 시리즈 중 여러 권이 번역본으로 나와 있었고, 아리스토텔레스 편은 보이지 않았다. 나는 그 기획도서 중에서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데카르트 이렇게 세 권을 갖고 있다. 세 권을 다 읽었고 아주 가끔 요즘도 펴 보기는 하는데, 내 생각으로는 이 세 권 모두 개론 정도의 수업을 듣고 난 뒤거나, 아니면 각 철학자의 책 한 권쯤을 읽고 난 뒤가 아니면 요리재료가 어떤 것들인지는 알되 그것으로 어떻게 요리를 하고, 마치면 어떤 요리가 되는지, 거기서 어떤 향과 맛이 나는지를 알 수 없는 상태가 아닌가 싶다. 기본은 뗀 사람이 보면 요약 정리 잘 되어 있다고 할 지 모르지만 아무 것도 모르는 사람이 보면 여전히 차이가 없는, 조금 더 정확히 내 생각을 표현한다면 그래서 이 사람의 철학에서 내가 무엇을 생각해야 할 지 모르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