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 사러 가는 날 길에 보이는 건 모두 신발 뿐이다.
길가는 모든 사람들의 신발만 눈에 들어온다.
사람 전체는 안중에도 없다.

미장원을 다녀오면 모든 사람의 머리에만 시선이 집중된다.
그외엔 아무것도 안보인다.
그런가하면 그 반대 경우도 있다.
근처 도장방이 어디냐고 물어오면 나는 갑자기 멍해진다.
어디서 본듯도 한데 도무지 생각이 나질 않는다.
바로 회사앞에 있는 그 도장방을 아침저녘 지나다니면서도
도대체 기억속에는 남아있질 않는 것이다.
마치 그집은 이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거나 다름없다.
사실이 그렇다.

세상은 내마음 끌리는대로 있기 때문이다.

조화도 그게 가짜인줄 알때까진 진짜꽃이다.
빌려온 가짜 진주 목걸이를 잃어버리고는
그걸 진짜로 갚으려고 평생을 고생한
모파상의 어느 여인의 이야기도 이에서 비롯된다.

세상은 내가 보는대로 있기 때문이다.

세상은 있다고 또 다 보이는 것도 아니다.
있는게 다보인다면 대뇌중추는
너무 많은 자극의 홍수에 빠져 착란에 빠지게 될꺼다.
그러기에 대뇌는 많은 자극중에
몇가지만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인다.

선택의 기준은 그때 그때의 대뇌의 튠(TUNE)에 따라 달라진다.

정말 그 모든 걸 다 받아들여지게 된다면
나같이 머리나쁜 사람은 어쩌란 말인가,
고로 세상은 공평하다.

신나게 기분좋은 아침엔
날마다 다니는 출근길도 더 넓고 명랑해보인다.
그래서 휘파람이라도 절로 나오는 튠이 될 땐
슬픈 것들은 아에 눈에도 귀에도 들어오질 않는다.
그러기에 내가 웃으면 세상이 웃는다고 하지 않던가...

세상은 우리가 보는것만 보인다.

해변에 사는 사람에겐 바다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어느저녘, 문득 바라다본 수평선에 저녘달이 뜨는 순간,
아 ∼ 그때서야 아름다운 바다의 신비에 취하게 될 것이다.
세상은 내가 느끼는 것만이 보이고, 또 보이는 것만이 존재한다.
우린 너무나 많은 것들을 그냥 지나치고 있다.
느끼질 못하고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늘이, 별이, 저녘놀이, 날이면 날마다
저리도 찬란히 열려 있는데도 우리는 그냥 지나쳐 버린다.
대신 우린 너무 슬픈 것들만 보고 살고 있다.
너무 언짢은 것들만 보고 살고 있다.
그리고 속이 상하다 못해 좌절하고 자포자기까지 한다.
희망도 없는 그저 캄캄한 날들만 지켜보고 있다.
하지만 세상이 원래 어려운 것은 아니다.
어렵게 보기 때문에 어렵다.
그렇다고 물론 쉬운것도 아니다.
우리가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반컵의 물은 반이 빈 듯 보이기도 하고 반이 찬 듯 보인다.
비었다고 울든지, 찼다고 웃든지, 그건 자신의 자유요 책임이다.
다만 세상은 내가 보는 것만이 존재하고
또 보는대로 있다는 사실만은 명심해야겠다.
내가 보고 싶은대로 존재하는 세상이 그래서 좋다.
비바람치는 캄캄한 날에도 저 시커먼 먹구름장을
꿰뚫어 볼 수 있는 여유의 눈이 있다면,
그위엔 찬란한 태양이 빛나는 평화스런 나라가 보일 것이다.
세상은 보는대로 있다.

어떻게 보느냐, 그것은 자신의 책임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waho 2004-05-01 12: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어떻게 보느냐, 그것은 자신의 책임이다...맞아요....

행복한 파랑새 2004-05-01 13: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쵸? 저도 참 공감하는 말이랍니다.
간혹 그럴때를 발견하곤 해요. 한곳만 집중해서 생각하고 바라보다가, 무심코
다른쪽을 보았을때 예전에는 미처 깨닫지 못한 그 무언가를 발견했을때.
어떻게 보느냐, 그것은 자신의 책임인것 같아요. ^^
 

1. 항상 자기의 진로를 찾아 멈추는 일이 없다.

2. 스스로 움직여 다른 것을 움직인다.

3. 장애를 만나면 그 세력을 몇 배로 한다.

4. 스스로 맑으려 하고, 다른 것의 더러움을 씻고, 부탁을 가리지 않고 받아들인다.

5. 양양한 대해를 채우고, 비가 되고 구름이 되고, 얼어서 영롱한 얼음이 되지만, 그 성질은 잃는 법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재빨리 얼음으로
방금 멍이 들었다면 즉시 7분간 젖은 수건으로 얼음을 싸서 눌러준다. 이것은 혈관에서 혈액이 빠져 나오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멍이 생기는 것을 줄일 수 있다.

* 멍든 팔 도는 다리를 심장보다 위로 올린다.

심장보다 높게 멍든 팔을 올려주면 손상부위 피기 저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따뜻하게 감싸준다.

하루내지 이틀이 지난 후라면 따뜻한 수건을 대준다. 이는 조직내로 빠져나온 적혈구가 분산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약 20분간 따뜻한 천을 대고 있으면 까맣게 된 피부색이 빨리 사라진다.

* 산화아연이 첨가된 연고를 바른다.

절대 붕대로 감지 말고 산화 아연이 첨가된 연고를 멍든 곳에 바르면 방어막을 형성해서 치유를 촉진시킨다. 경구제 혹은 도포제 모두 상처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by http://cafe.daum.net/bigmemorie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잘못하여 전구나 거울 등을 깨뜨렸을 경우 유리가루가 방안 구석구석까지 흩어지게 된다. 이런 경우는 빗자루로 대충 쓸어낸 다음 탈지면을 주먹만큼 뭉쳐서 바닥을 닦아낸다. 눈에 보이지 않는 유리조각까지 없어진다.

- 테이프 같은 것으로 잘 모아도 다 모아 낼 수 있지만 꼭 한 번 시도해 보면 좋은 방법이 밀가루 경단이다.

밀가루에 물을 조금 넣고 치대서 경단을 만들면 된다. 이것을 그릇 조각 위에서 누르면 조각이 달라붙어 온다.



by http://cafe.daum.net/bigmemories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waho 2004-04-26 1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군요....유리 깨지면 파편 찾느라 머리도 깨지죠
 

명절때 선물을 받으면 때로 선물을 싼 포장지가 너무 예뻐 흠집이 나지 않게 잘 뜯어 두었다가 나중에 다시 사용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러나 대개 포장지에 붙은 테이프가 매끄럽게 떨어지지 않아 포장지를 재활용 하기가 생각만큼 쉽지 않다.
테이프를 뗄 때는 따뜻하게 데운 다리미를 테이프에 갖다 대고 살짝 눌러주면 쉽게 뗄 수 있다.
다리미가 너무 뜨거우면 포장지가 눌러붙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