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몽화 - 1940, 세 소녀 이야기
권비영 지음 / 북폴리오 / 2016년 3월
평점 :
위안부와 강제징용의 문제는 여전히 치유되지
않은 상처로 남아 있다. 더불어, 아픈 상처이며, 민감한 문제이다 보니, 나는 외면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좀 더 솔직히 말하자면 두렵고
무서웠다. 아픈 과거와 마주할 자신도 없었거니와 부로, 그 과거를 들추어내고 싶지도 않았던 것 같다. 하지만, 이제 용기를 내본다. 용기를 내어
나는 이제, 세 소녀를 만났다.
다행이었다. 위안부와 강제징용의 문제를
다루었다고 해서, 어둡고 슬프기만 한 소설은 아니었기 때문이다.(이야기자체가 담담하게 흘러가서 오히려 읽기 편했던 것 같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책을 덮고 나서는 그 담담함에 더 가슴이 미어졌던 것 같다.) 나는 왜 이런 편견을 가졌을까. 슬프고 암흑한 시기라도 그곳엔
희망도 있고, 사랑도 있을텐데 말이다. 비록 그 미래가 어찌될지 알 수 없더라도 말이다. 이 책을 읽기전 책 띠지의 문구를 한참동안 바라보았던
것 같다. "꺽이고 짓밟혀도 스러지지 않고 꿈꾸는 꽃" 다른 말이 필요 없었다. 이 한문장이 모든것을 압축해 설명해 주었다. 가슴이
저려왔다.
국밥집을 운영하는 이모에게 맡겨진 영실,
부모를 잃고 화월각이라는 큰 기생집 주인의 손에 자란 은화, 일본 앞장이인 아버지를 두고 있는 부유한 집안의 정인. 저마다 처한 환경이 다른 이
세 소녀는 친구가 된다. 우정을 나누며 서로의 마음을 나눈다. 자신들이 처한 상황은 자신들이 선택한 것이 아니며 그저 운명일 뿐이라며, 좀 더
건설적인 일을 해보자는 이야기까지 나누는 세친구. 우정맹세를 하며 그녀들은 진정한 친구가 되기로 한다. 그녀들의 운명은 과연 어떻게
될까?
세 소녀를 보며, 어릴적 추억에 빠져든다.
시기는 달라도, 나 역시 이렇게 우정을 나눈 친구들이 있었다. 그녀들처럼 서로 믿고 의자하자고 약속했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각기 서로의
자리에서 그렇게 살아가게 된다. 사는게 바쁘다는 핑계 아닌 핑계를 대면서, 그렇게 하루..하루가 흘러간다. 그녀들 역시 세월이 흐르면서 많은
것들이 변하게 된다. 미래는..운명은 예측할 수 없기에 그래서 더 슬픈것 같다. 특히나 암흑한 시기라면 말할 것도 없다. 야무지고 똑똑하고
순수했던 그녀들. 누가 그녀들의 꿈과 희망을 앗아가버린걸까? 세상을 탓해야 하는 걸까? 마음이 어지럽게 휘날린다. 물론 세 소녀의 미래가 모두
어두운 것만은 아니다. 무풍지대에 사는 공주로 여겨졌던 정인은 끝까지 무풍지대의 공주로 남게 되었으니 말이다. 물론 정인은 정인대로의 고민이
있었고, 또 책속에 드러나지 않는 고민을 품고 살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은화와 영실의 눈에서 바라본 정인은 여전히 무풍지대의
공주였고, 자신의 처지가 더욱 더 가혹하게 느껴질 것이다. 특히나 모질고 험한 일을 겪으며 그렇게 하루하루를 버텨낸 은화에게는 더 할
것이다.
기생의 손에 자랐기에 결국 기생이
되버릴 운명이라 여겼던 은화. 은화는 자신의 운명을 거스르고 싶었을 것이다. 운명을 거스르고 좀 더 나은 미래를 꿈꾸며 그렇게 도망쳤지만, 결국
운명은 그녀를 벼랑끝으로 내몰고 만다. 마음이 너무 아팠다. 왜 운명은 그렇게 가혹한걸까? 비단 소설뿐만이 아니라, 우리는 종종 그런 가혹한
운명과 마주하게 된다. 거스르려고 할 수록 더욱 더 삶을 옥죄는 그런 운명 말이다.
책속에서는 세 소녀외에도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영실의 이모 을순, 을순의 정부인 장사꾼 나카무라, 정인 네 머슴으로 있었던 칠복, 칠복의 탈출을 돕는 정한우, 엘리트 테일, 칠복을
연모하는 점순, 노무 아들 다나카, 그 다나카의 말이라면 무엇이든 하는 상국등. 세상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있듯, 책속에서도 수많은 사람들이
존재한다. 그들의 삶의 방식은 저마다 달랐지만, 그들은 그들 나름의 방식대로 그렇게 하루 하루를 살아간다. 책을 읽는 3자의 입장에선 누구의
삶은 답답해 보이기도 하고 안타까워 보이기도 했다. 왜 그렇게까지 할까 싶은 이들도 많았다. 특히 상국의 행동을 볼땐 안타깝고 답답함이
더했다. 그러나 그들도 어쩌지 못했을 것이다. 그들에게 주어진 선택권은 얼마 없었다. 그들의 입장에서 그들을 바라보니, 그들은 그들 나름의
방식대로 그 시기를 견뎌내고 있었단 생각이 든다.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이 있다. 칠복을
연모하는 점순과 칠복, 그리고 영실의 만남 부분이었다. 영실을 바라보는 칠복을 보며, 영실 역시 자신과 같은 처지(위안부일꺼라 생각한)라
생각하고 막말을 내뱉는 점순. 자신이 좋아하는 칠복이 자신과 영실에게 대하는 태도가 다름에 더욱 더 분풀이를 한 것일지도 모른다. 그런 분풀이에
나라면 얼마나 당황스러웠을까. 아니라고 소리치지는 않았을까. 그런데 영실은 그런 나를 부끄럽게 만들었다.
점순은 흥분해서 악을 썼다. 길가던
사람들도 점순을 흘깃거렸다. 영실은 할 말이 없었다. 이게 무슨 일인가. 점순을 여기서 만나고 또 그런 오해에 휘말리다니. 점순이 앞에서, 나는
아니라고, 나는 위안부가 아니라고 말을 할 수 없었다. 그러고 싶지 않았다. 그녀가 겪은 아픔을 모른 체 할 수 없었다. 영실은 점순에게 다가가
어깨를 껴안았다. 그녀의 시린 마음을 안아 주고 싶었다. (p
177~178) |
마음이 시렸다. 멍했다. 답 답 했 다.
우리 몸이 더러워진 것은 우리 뜻과는
상관없이 일어난 일이에요. 우리의 잘못이 아니라는 말이죠. 우리는 전쟁을 원한 적도 없고 전쟁에 미친 군인들을 위무할 생각도 없었어요. 그건
미친 바람이 지나간 자리일 뿐이에요. 바람은 곧 잠들꺼에요.
(p243) |
자살을 결심했지만, 결국 실패로 끝나
병원에 실려간 은화에게 한 여자가 말했다. 여자의 이 말이 계속 귓가에 남았다. 바람은 곧 잠들꺼라는 그녀의 말. 그래. 미친 바람이 지나간
자리, 그 바람은 곧 잠들겠지. 하지만, 이 바람이 남긴 흔적은 상처는 바람처럼 쉽게 사라지진 않을텐데...
누군가는 말했다. 곧 지나갈꺼라고. 세월이
약이라고. 그렇게 파란만장했던 그 시기도 그렇게 지나간다고... 끔찍했던 악몽의 순간도 지나가기 마련이다. 그러나, 묵직한 돌 하나가 계속
가슴을 짓누르고 있는 기분이 든다.
지옥 같던 일본을 벗어나면 모든 것이
편안해질 줄 알았다. 지난날의 고통은 잊은채로 새로운 물길이 생겨날 줄 알았다. 하지만 세상은 여전히 어수선하고 그 어떤 것도 약속된 것이
없었다. (p355)
지금은 세상이 어지러운 시기, 잘 견디어
내야 한다. 광풍이 불때는 몸을 낮추고 바람이 지나가기를 기다려야 한다. 그것이 삶의 지혜다.
(p379) |
지금은 어떤가. 일제 감정기와는 비교할
수도 없을 정도로 좋은 세상이 아니던가. 그런데 변한 것이 있나 생각하니, 가슴속 묵직한 돌의 무게감이 더해왔다. 시간은 흐르고 사람들은 점점
사라져가지만 잊혀져야 할 그들의 아픔과 고통은 여전하다. 담담하게 풀어낸 그녀들의 이야기가 그래서 더 가슴을 무겁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