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려라 바퀴! - 제1회 바람단편집 높새바람 11
최정금 외 지음, 양경희 그림 / 바람의아이들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이 동화 단편집을 읽으면서 동화란 무엇인가를 사전에서 찾아보았다.

동화 : [명사] 어린이를 위하여 동심(童心)을 바탕으로 지은 이야기 또는 그런 문예작품. 대체로 공상적, 서정적, 교훈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다.   - 출처 네이버 사전

내게 있어 동화라는 개념은 누가 가르쳐주지 않았음에도 공상부분이 가장 두드러진 특성처럼 여겨졌었다. 우리나라 전래 동화들이 호랑이가 담배도 피고, 까치가 은혜도 갚 듯 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것 같은 일들이 많았고, 이솝우화, 안데르센 동화집, 로알드 달의 책 등 여러 이야기들이 그랬던 것 같다. 그런데 이 단편집은 달랐다. 이걸 동화라고 불러도 되나? 라는 의구심이 들정도로 현실적인 이야기들이 가득했다. 그리고 인권위원회에서 펴냈음직한 이야기들도 꽤 많았다. 난 이 단편집을 동화와 소설의 중간 즈음으로 바라보기로 하였다.  

소설 : [명사]  <문학>사실 또는 작가의 상상력에 바탕을 두고 허구적으로 이야기를 꾸며 나간 산문체의 문학 양식. 일정한 구조 속에서 배경과 등장인물의 행동, 사상, 심리 따위를 통하여 인간의 모습이나 사회상을 드러낸다.  - 출처 네이버 사전

나는 사실 읽으면서 참 좋았다. 개죽음, 고물성을 지켜라, 기도하는 시간, 명랑한 블루, 분홍빛 가출, 작은집 이야기 이 특히 좋았는데 읽고 나서 생각할꺼리를 참 많이 만들어준 이야기들이였기 때문이다. 개죽음은 작은 생명의 인권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었고, 고물성을 지켜라는 NIMBY 라고 해야하나, 동네에 고물상, 고아원, 장애우시설 등을 꺼려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기도하는 시간은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는 마음을 가르쳐주었고, 명랑한 블루는 살짝 패미니즘적인 이야기를 하고 있었고, 분홍빛 가출은 성 정체성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었고, 작은집 이야기는 무분별한 개발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나는 읽으면서 참 좋았지만 이런걸 아이들이 잘 이해할 수 있을까? 재미있게 읽어낼 수 있을까? 살짝 고민이 되었다. 엄마가 되면  아이들의 책 읽기의 수준을 나이에 맞춰 높여가는것에 많은 고민을 하는것 같다. 난 아직 아이가 없지만 언니의 경우만 봐도 4-6세 추천도서 라든가.. 이런식으로 수준을 높여 가면서 보여주는것 같다. 그렇다면 이 책은 어느 나이즈음에 보여주는것이 가장 좋을까.. 초등학교에서 중학교에 올라갈 때?? 아님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올라갈 때? 잘 모르겠다. 항상 아이들을 위한 동화는 아이가 책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도록 재미가 있어야해! 라고 생각해왔던 내게 이 책은 살짝의 충격을 던져주었다고나 할까.  재미도 있지만  깊은 사고의 세계로 건널 수 있는 다리, 뭐 그런 책이라고 여겨진다. 좀 더 많은 이런 책들이 나와서 동화의 한 장르로 보편화 되었으면 좋겠고, 아이들도 편안하게 볼 수 있었으면 좋겠고 책 읽은 뒤 한번즈음 토론까지는 아니더라도 아이들과 이야기를 나눠보고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씩씩하니 2006-08-19 2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때로 동화에서 너무 무거운 주제들을 다루고 있는것이 마음에 걸리기도 하드라구요.
근대..아이들은 나름의 이해를 한다네요...
밝은 것,,,가벼운 것만 주고 싶은 것도 우리의 과보호일까요??

이쁜하루 2006-08-22 07: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게요.... 어제 미술 수업을 듣는데 현각스님이 세상은 혼돈과 갈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세상을 돌아가게 하는 힘은 혼돈과 갈등이..이런 말씀을 하셨다고
하대요..그래서 그럼 아이들에게 세상은 혼돈과 갈등으로 되어있다..라고 말해야
하냐고 물었더니.. 아이들의 언어로 가르쳐야 한다면서 희망과 빛으로만 되어있는건
아니라고..말해줘야 한다고 하대요...
아이들이 희망, 빛으로 이 세상을 만들어주길 바라는데..그건 또 아닌가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