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스트럼 샌디 1 대산세계문학총서 1
로렌스 스턴 지음, 홍경숙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산세계문학총서 1
 
18세기의 프랑수아 라블레. 이 <트리스트럼 샌디>를 읽으며 머릿속을 문득 스쳐지나간 인상이다. 그만큼 라블레의 후예다운 이가 또 있을까?
 
1권은 원작의 총 9권 중에서 제4권까지에 해당한다. 이제 겨우 트리스트럼 샌디는 출생하고 이름을 갖게 되었다. 그런데 여기서 이게 무슨 의미를 갖는단 말인가. 작가는 샌디의 삶과 견해를 기록한다는 미명하에 무수하게 당대에 대한 무자비한 풍자와 조소, 비판을 해학의 스타일을 빌려 독자에게 아낌없이 베풀고 있다. 그 구성의 독특함을 작가 스스로 22장 말미에 밝히고 있다.

"이런 장치로 인해 이 작품의 구성 자체가 하나의 독자적인 형식을 이루며, 두 가지 상반된 동작이, 서로 모순된 것처럼 보이지만, 조화를 이루며 돌아가는 것입니다. 말하자면, 이 작품은 지엽적이면서도, 점진적이라고 하겠지요,-그것도 동시에 말입니다."
 
"그래서, 나는 애초부터, 본론과 그 나머지 부분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하여, 지엽적인 움직임과 점진적인 움직임을, 바퀴 안에 바퀴를 넣어, 서로 복합적으로 얽히게 만들어, 기계 전체가, 지속적으로, 돌아가도록 했으며.."
 
의도적 가벼움은 젠체하는 권위를 타파하는 확실한 무기로서 일찍이 라블레가 중세적 무거움과 위선을 해소하기 위하여 채택한 수단이다. 스턴이 라블레의 후계자라는 점만 명심하면 처음 소설이 주는 낯섦과 당혹의 함정에 빠지지 않고 이야기의 미로를 잘 헤쳐 나갈 수 있다. 권위당국 입장에서는 웃음이 주는 무기력과 무장 해제로 인해 작가를 처벌할 생각을 갖지 못한다.
 
이 작품은 당대에 큰 인기를 끌었다고 하지만, 통사적 가치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많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웬만한 문학사 개설서에서는 눈길도 주지 않는다. 반면 '20세기를 선취한 18세기 소설'로서 현대 의식의 흐름 기법의 선구자로 칭송되기도 한다.

그런데 뭐가 의식의 흐름이지? 느리게 흘러가는 시간의 흐름을 무시로 끊고는 지엽적인 이야기와 대화가 엉뚱하게 전개되다가 다시 합류하도록 하는 형식이? 형식적 특성은 빈번한 의도적 작가 개입과 전개 중단에 있다. 자가는 인물 뒤가 아니라 인물과 나란히 때로는 전면에 나서 작품과 독자를 매개하고, 전개의 방향을 돌려놓으며 자기변호를 일삼는다. 현대 창작기법에서는 암묵적 금기사항으로 알고 있는데.
 
가르강튀아처럼 외설적 뉘앙스와 터무니없는 인물의 성격과 행동(토비 삼촌의 공성, 진지, 대포 등에 대한 황당한 열정과 아버지의 코와 이름에 대한 집착을 보라!)이 작품 전면을 지배하는데, 작가는 해학의 배후에 날카로운 비수를 드리우고 있으니 이 점에서 참으로 현대적일 수밖에.
 
문학적 주제에 다가가는 대조적인 접근 방식이 있다. 하나는 정공법으로서 도스토예프스키, 톨스토이 등 대다수의 작가들이 해당한다. 그들의 작품을 주제의 묵직함을 반영하여 독자로 하여금 정자세와 옷깃을 여미게 만드는 엄숙함이 있다.
 
반면 라블레, 세르반테스, 스턴과 같이 무거움을 가벼움으로 치환하여 무거움의 하중을 느끼지 못하는 가운데 문득 깨닫게 하는 작가들도 일군에 존재한다. 그들의 수는 비록 적지만 이는 보기 드문 천부의 재능을 타고나야만 가능하다는 까다로운 조건으로 기인한다.

이제 트리스메기스투스 샌디의 말을 이어서 들어볼 차례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근대나무 2011-09-01 1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2009.9.3 마이페이퍼에 쓴 글을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