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트라베이스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유혜자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옮긴이에 따르면 이 작품은 독일어권에서 가장 자주 무대에 올려지는 희곡이라고 한다. 실제 연극으로 보면 이색적이고 독자적 미감을 가졌을지도 모르겠지만 글쎄, 글만으로는 두드러진 감흥을 받기 어렵다. 작가가 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는 대충 알만하다. 오케스트라에서 가장 비인기 악기에 해당하는 콘트라베이스 연주자를 내세워 평범한 소시민의 삶의 양태를 관객에게 들려주고자 하는.

 

콘트라베이스는 저음역을 담당하는 현악기로 (바이올린과 첼로와는 달리) 대중적 인기가 취약하다. 이 점은 비올라와 유사하지만 그나마 비올라는 실내악에서라도 어울릴 기회가 많다. 콘트라베이스는 주로 오케스트라에서 주선율을 돋보이게 하는 화음을 받쳐주는 보조적 역할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이 일인극의 화자는 일반인들이 콘트라베이스의 진가를 알지 못하는 점을 하소연한다. 그는 이 악기가 오케스트라에서 다른 악기보다 월등하며 중추적이므로 만약 콘트라베이스가 없다면 오케스트라 사운드는 기초부터 무너질 것이라고 강변한다. 그 주장이 일견 타당함에도 독자로서는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운데, 화자 자체가 자신의 말에 확신을 부여하지 않는다. 게다가 이율배반적으로 자신의 악기마저 싫어한다.

 

피아노 같은 가구도 아닌데, 좁은 방에서 오며가며 발에 걸리적거리는 못생긴 덩치로 도저히 잊거나 외면하기 어려운 존재감. 처음부터 악기로서 콘트라베이스를 연주하는 사람은 없다면서 누구나 다 사연이 있음을 언급한다. 하물며 이 악기를 주연으로 하는 곡을 쓴 작곡가마저 일류급이 아니라며. 국립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고용이 보장된 자신의 신분을 위안삼지만 혼자 연모하는 성악가가 자신의 존재를 알고 있을까에 회의적이다.

 

이렇게 공연 당일 연주회장으로 출발하기 전 자신의 방. 화자는 맥주를 들이키면서 주목받지 못하는 악기의, 여러 명의 평범한 연주자 중 한 명인 자신에 관한 이야기를 관객에게 토로한다. 그가 자신의 현실에 만족하지 못함은 분명하나 그렇다고 커다란 불만이 있지도 않다. 적어도 세라라는 이름의 소프라노를 알게 되기 전까지는. 그는 그녀에게 자신의 존재를 각인시키고 싶다. 악기와 오케스트라 내 지위로서는 접근하기 어렵다. 그는 일탈을 꿈꾼다. 공연 도중 여인의 이름을 외쳐 공연을 망쳐 놓는다면. 그녀의 사랑을 얻지는 못할망정, 최소한 그의 이름과 존재를 그녀는 잊지 못할 테니. 파면당하고 연주자로서 경력을 잃는 대가로.

 

독자도 관객도 모두 알고 있다. 물론 화자 자신도 알고 있다. 그가 결코 일탈을 저지르지 못할 것임을. 그것이 소시민의 본분이자 한계이기에. 그는 그저 자그만 자신의 방에서, 맥주를 홀짝이며, (소수의) 관객에게 신세 한탄을 늘어놓을 뿐이다. 아이가 부모에게 투정을 부리듯. 화자와, 일인극을 보러 소극장을 찾는 관객 간에 무슨 차이가 있으랴. 사회 내 별 볼일 없는 소시민으로서 관객과, 오케스트라 내 역시 별 볼일 없는 자신은 같은 처지다. 작품을 통해 화자는 관객에게서, 관객(그리고 독자)은 화자에게서 위안과 위로를 얻는다. 아마도 이것이 이 짤막한 희곡의 미덕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