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2호선 낙성대역 4번 출구를 나오면 흙서점(02-884-8454)이 바로다. 그릇, 미싱, 체중계, 테이프, 화분, 테이프 등 책방 앞에 널린 고물이 ‘중고서적’이란 간판보다 오히려 눈길을 끈다. ‘아무거나 1000원’이란 서가위의 책들은 약간 빛이 바랬으나 조금 뒤적이면 읽을 만한 것들이 나올 법하다.
큰 길 가 25평의 이곳은 가게의 앞면이 전부 유리라 내부가 무척 밝다. 고서는 거의 없고 ‘헌책’이 대부분이어서 세월이 고인 퀴퀴한 냄새라곤 없다. 분야별로 잘 정리돼 찾기도 쉽다.


두 주에 한번은 들른다는 김용찬(42) 교수(한중대 국문과)는 “눈도장을 찍어둔 책이 다음에 오면 대부분 없다”고 말했다. 그는 책 다섯 권 값을 치른 뒤 뒤돌아보다 그예 책 한 권을 더 집어들었다. 아이 책을 고르던 한 주부는 “책값이 적정하다”면서 “그런 만큼 자주 와야 마음에 드는 책을 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주인 김성수(51)씨는 책 손님을 응대하느라 정신이 없다. 그 틈에 액자 값이 얼마냐, 촛대가 진짜 놋쇠냐, 야전삽이 펴지지 않는다 등등 고물 손님의 시중도 만만치 않다. 그렇지만 귀찮아하는 기색이 없다. 미싱값을 묻는 사람한테는 한번 손을 봐야 한다고 상태를 설명해 주었다. 조금 뻐끔하면 어느 새 그는 책꽂이의 책을 정리했다. 김씨는 “한 이틀 비가 오면서 뜸했던 손님이 몰린 것 같다”며 웃었다. 오후 4시, 안주인과 잠시 교대하는가 싶더니 그는 계산대 안쪽 좁은 공간에서 선 채로 늦은 점심을 들었다. “책을 사러 가야 한다”며 잠깐 틈을 내 물어볼 게 있으면 물어보라는 그한테 도대체 질문이란 게 한가해 보였다.
고단한 일이 마무리되는 밤 11시를 넘겨 0시40분부터 잠잘 시간을 뺏어 전화로 몇 가지를 귀동냥했다.


고향 선배의 권유로 86년 봉천 6동 뒷골목에서 시작해 한때 세 군데를 운영하다가 구제금융 이후 통폐합해서 이곳으로 이사온 지 10여년. 목이 좋아선지 주인의 인상이 좋아선지 잘 되는 편이다. 고정적으로 책을 대주는 사람도 서넛 있고 단골손님도 꽤 많다. 특히 서울대학 근처라 학생 손님이 많은 편. 단골 가운데 터키 유학생은 작년 여름방학 때 자신의 고1 딸을 데려가 17일 동안 터키 구경을 시켜줄 정도로 친해졌다. 애타게 구하던 책을 구하고 기뻐하는 손님의 표정이 가장 좋고, 보던 책을 제자리에 꽂아두는 손길이 고맙다. 책값을 무턱대고 깎는 사람은 책을 무시하는 것과 같다는 일침이다. 딸 인영(이화여대 2)씨는 “부모님이 워낙 책을 좋아하시고 책을 통해 사람을 만나는 것을 즐기신다”면서 없어져가는 헌책방을 지키는 자부심이 대단하다는 귀띔이다.
고물 수익금은 한달 10여만원. 재활용, 쓰레기 감소, 고물장수 돈벌이 등 일석삼조라는데, 수익금을 남을 위한 좋은 일에 쓴다니 일석사조일 테다.
 
 
한겨레신문 05. 9. 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버스 손님이 차 번호와 운행시각을 묻다가 책손님이 된다. 길 건너 행인도 그냥 건너오면 손님이다. 집현전(031-968-4945)이 자리한 원당은 전형적인 경기도 작은 읍내다. 부근에 아파트를 끼고 일산과 화정 길목이다.

아니, 이런 책이 벌써? 신간안내에서 본 기억이 생생한 책들이 많다. 깨끗한 사람을 거친 ‘헌책’이라는 게 주인 유경용(45)씨의 설명이다. “서울에서라면 금방 나갈 책들이죠.”
98년 구제금융 당시 실직한 유씨가 아내 최경희(39)씨를 믿고 일을 벌였다. 최씨는 갓난아기 때부터 부모님이 운영하는 헌책방의 살림방에서 자라 책이라면 감으로 아는 터.
“부모님이 기자촌에서 40여년 하셨어요. 어른들이 안 계실 때는 제가 대신 했죠. 결혼 전에는 불광동에서 ‘등용문’이란 책방을 한두 해 직접 운영한 적도 있고요.”


오빠와 언니들 모두 헌책방을 거쳤다. 작은오빠는 대치동 은마아파트 앞에서 10여년을 꾸린 바 있고 큰오빠는 30여년째 헌책 도매를 하고 있다. 남편 유씨 집도 만만치 않아 그의 동생이 미아리에서 ‘책의 향기’를 운영하다가 지금은 형을 돕고 있다. 말 그대로 헌책방 집안이다. 모이면 화제가 책이다. 요즘 어떤 책이 잘 나가나, 헌책방의 살 길은 무엇이냐 등등. 결론은 큰오빠 몫이다.


얘기보따리를 푸는 도중 ‘화정 아줌마’가 사과 한 봉지를 사왔다. 좋은 책 싸게 사간 사례란다.
“책을 사면 아파트까지 배달해 드려요.” 주부들이 집을 지키는 경우가 많아 배달은 부인 최씨 몫이다. 매출의 상당부분이 어린이책과 참고서다. 일부러 찾아오기엔 외진 게 사실. 그래서 단골손님이 많다고 했다. 개업하던 날 와서 떡을 먹은 중학생 다섯 명 가운데 둘은 대학생이 되어 지금도 찾아온다.
처음 15평으로 시작해 딸린 창고 2평을 미술책 공간으로 털어 합쳤고, 이제는 길 건너 2층의 32평 창고를 어린이책 전용으로 개방했다. 아르바이트 직원도 있다. 책이 좋아 단골이었던 분이다. 
 
스트레스? 손님이 찾는 책이 없을 때, 1500원짜리 사면서 깎아달랄 때, 주워오면서 비싸게 판다고 말할 때 제일 많이 받는다. “책방이 옛날 같지 않다는 말은 비수예요. 그말 안 들으려고 엄청나게 노력해요.” 책을 구하는 루트는 며느리한테도 안 가르쳐주는 비밀이다. 단, 큰오빠한테는 한달에 세번 정도 찾아간다고 공개했다.


‘인터넷으로 팔아보라’라는 권유를 종종 듣지만 아직 그럴 생각이 없다. 찾아온 손님이 건져가는 기쁨을 함께 누리고 싶다는 게 최씨의 말이다. “찾던 책을 발견한 기분은 손님의 표정으로 단박에 전해져요. 전율 같달까요. 그러고 나면 뿌듯하고 한동안 자신감도 생기고 그래요.”


부부가 같이 장사하지 말라는데, 이제는 이견이 거의 없다. 다만 아내쪽이 책 욕심이 많고 남편은 확실한 것만 가져온다. 고서는 인터넷으로 옮아갔다는 게 이들 부부의 판단이다. 반년에 한번쯤 걸리는 고서에는 미련을 버렸다. 일년 전부터 어린이책 전집을 적극적으로 취급하고 있다.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문 닫는 수밖에 없어요.”

 

임종업 기자 blitz@hani.co.kr / 한겨레신문 05. 9. 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소설은 역사장편이 좋더군요. 건륭황제, 강희대제 다 읽었어요. <대망>, <토지>는 두 번 읽었고요.”

신광헌책(02-923-9960)의 오후. 주인 이종우(52)씨는 중화텔레비전을 틀어놓았다. 대하 역사드라마 ‘황제의 딸’이 방영되고 있었다. 건륭황제 때의 이야기여서 재미있단다.


책방이 깔끔하기는 면도를 말끔하게 한 주인의 얼굴과 흡사하다. 앉은 자리 뒤쪽에 짝 맞춰진 대하소설들이 고른 이빨처럼 꽂혔다. 길쭉한 사각공간의 책벽과 중간의 길쭉한 책탑. 그리고 끝에서 꺾어드는 책창고. 책들은 대체로 분야별로 분류되어 일별하기 쉽다. 왼쪽벽은 레일식 책장을 써 두 겹이다.


“요즘 사람들 끈기가 없어요. 길거나 두꺼운 책, 글씨 많은 책 안 읽어요. 워낙 볼거리가 많아서겠지만요. 텔레비전 틀면 스물네 시간 나오지요∼, 1000원만 주면 비디오 빌려보지요∼.”
찾는 사람이 많은 <상실의 시대>를 보았더니 별 것 없더라면서 꽂힌 지 오랜 주홍색 삼성사상전집, 범우사판 문학·역사 고전들을 안타깝게 쳐다보았다. 베르나르 베르베르와 움베르토 에코가 요즘은 한물 갔다. 코엘료도 그렇게 되지 않겠는가. 존재의 빛을 옅우고 너덜거리게 만드는 시간의 굴레에서 모든 것이 자유롭지 않음은 헌책방에서 소롯이 드러난다.


자신이 소중하게 여기는 것과 손님들이 자주 찾는 것과는 괴리가 있다. 깨끗한 고전책을 많이 갖춘 것은 그 틈을 메우려는 몸짓일 테다. 고전들은 책장에서 주인처럼 번듯하고 유행을 타는 신간(?)들은 뜨네기처럼 바닥에 쌓였다. 청계천, 홍릉 등 언제 어느 곳에서 떼어 왔는지 모두 기억한다. “내 눈으로 뽑아 제값 주고 사온 것들입니다.” 말하자면 주-객의 긴장관계에서 선택받은 것들이라 첫눈에 깐깐하다.


책방은 성신여대 정문에서 보아 왼쪽 길을 가다가 편의점을 끼고 돌면 툭 튀어나온다. 전철역에서 가려면 여대 앞길을 지나야 하는데, 그 길을 도시라 치면 책방으로 난 길은 시골이다. 전혀 다른 세계를 몇 분 사이에 경험하는 셈. 책방행은 내리막처럼 힘들지 않으나 되짚어 나오기는 무척 고단하다. “여대 앞 책방은 잘 안 된다고 해요.” 인과를 증명할 수 없지만 갖춰둔 학술서적이 불과 얼마 되지 않는다. 굳이 여대 앞이라 그럴 것도 아니다. 여러 해 전 헌책방 주인들 13명으로 출발한 모임이 지금은 없어진거나 진배 없다. 8명은 새책방으로 바꿨고 4명은 아예 그 동네를 떴다. 헌책방은 이씨 혼자 남았다. 지금도 생각은 젊어서 100평쯤은 하고 싶은데 도무지 계산이 안 나온다. 지금 스무 평도 한달 110만원 집세를 내기 힘들다.


전성기 때 쓰던 재단기가 기억처럼 한쪽 구석에 있고 이씨는 손님이 고른 책을 걸레로 닦아 봉투에 넣어주었다. 그 새 중화텔레비전에서는 ‘황제의 딸’이 끝나고 ‘모택동의 대장정’이 시작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대문구 노벨서점(02-308-2701)은 외롭다. 응암동 대림시장을 지나 철물점이 하나쯤 있을 법한 자리에 철물점 같은 간판을 달고 있다. 동네시장의 철물점이 어색하지 않듯 헌책방이 하나쯤 있는 것이 자연스러울 터.  

 
문을 열면 금방 숨이 턱에 바칠 정도로 책이 그득하다. 사방벽과 가운데 쌓인 것을 흐뜨리면 책방공간의 반은 고일 터이다. 처음 마주치는 만화책이 그나마 숨통을 틔워준다. 깐깐한 역사, 국문학 서적이 꽂힌 오른쪽 벽을 돌아 코너 위쪽 <전당서()>에 눈을 줄 즈음 안쪽 구석에서 인기척이 느껴진다. 책무지 사이에 고인 공기에 숨을 대고 있는 주인 김창렬(69)씨다.


 “책과 가까이 있다는 게 행복합니다. 하루종일 책을 읽을 수 있다는 게 얼마나 좋은지 몰라요.” 도서관에서 빌려온 ‘새책’이 헌책 사이에 끼어 4권이나 됐다. 책방의 책은 독자용이라 건드리지 않는 것일까, 서재의 책은 주인용이라 이미 다 읽은 것일까. 그는 이곳을 책방 겸 서재라고 했고 손님을 독자라고 불렀다.
 그는 4년 전 오거리 근처에서 이곳으로 옮겨오면서 스무 트럭 분량의 책을 파지간에 넘겼다. 건물 주인이 바뀌면서 갑자기 두 배로 올린 월세를 감당할 길이 없어 넓이를 3분의 1로 줄여 이곳에 다시 둥지를 틀었다. 30여년 넘게 해온 일이려니와 ‘독자들의 열화같은 성원’을 저버릴 수 없어 인연의 거점을 유지하기로 했기 때문.


세월은 책들의 켜로 드러난다. 300부 한정본 <한국의 고활자>, 중국 상하이에서 나온 <전당서>처럼 보는 사람이 제한되거나 값비싼 책과 <국문학개론> <국어사개설> 등 대학 초년생한테 잠시 필요한 범용서만 남는 것. 그 넓은 30년 간극은 소설책과 참고서 만화책이 채운다. <뉴욕 삼부작>(폴 오스터, 웅진), <인간단지>(김정한, 한얼문고)이 언뜻 눈에 띄었다.
주인이 앉은 뒤쪽 작은 공간에는 싱크대와 더불어 꾸리꾸리한 책이 쌓였다. 펼쳐놓아도 보는 사람이 없어서란다. 우선은 보여줄 것이 이것밖에 없다는 듯, 일제 때 나온 격주간 <신학세계> 10여권을 꺼내왔다. 경무국 검열필 도장이 찍힌 이 잡지에는 당시 사진이 한장 꼴로 실렸다.


 “몇해 전 마당에 쌓아둔 고서가 비에 젖어 절반이 떡이 되었어요. 겨우 열다섯 상자를 건졌는데 아직 정리를 못했어요.” 1944~46년 ‘똥지’로 만든 책이 많다면서 정리되면 한번 구경할 만할 것이라고 했다.
요즘은 책가뭄이다. 죽어가는 책을 살리곤 했던 교사 출신의 중간상들이 사라진 탓이 크다. 젊은 사람들 몇몇이 오토바이로 다니는 틈에 나이든 사람이 끼어들지 못한다. 더구나 자신처럼 혼자서 운영하는 책방은 운신할 수 없어 더 힘들다고 했다.

 그는 헌책방이 안 되는 이유로 입시제도를 꼽았다. 문제풀이 위주로 가르쳐 학생과 교사들이 책을 보지 않아도 되기 때문. 책방도 책방이지만 나라 앞날이 걱정이라고 했다.
 


한겨레신문 05. 8. 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독립문 골목책방은 영천시장에 있다. 시장이라기보다는 시장 입구에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시장통 골목에 있다. 골목의 좌우에 사람키 이상으로 책을 벌여놓고 있다. 물론 다른 점포처럼 별도의 공간을 갖고 있지만, 그곳은 차라리 창고라고 하는 편이 옳다.

이곳은 사람들의 통행이 잦다. 저녁 찬거리를 사러 온 주부도, 막걸리로 컬컬해진 목을 축이려는 일꾼도 일단은 이 골목을 지나야 한다. 책들은 그들을 향해 손짓한다. 그것은 암호와도 같아서 아는 사람한테만 은근하다. 발걸음을 늦춰 잠시 머물면 책들은 비로소 말을 걸어온다. 그렇게 행인은 책방 손님이 된다. 손님은 때로 고개를 숙이고 때로 허리를 굽혀 책들과 눈맞춤한다. 골목은 한 일자, 여느 책방처럼 꼬불꼬불 복잡한 동선이 없다. 그래서 손님과 책들의 대화는 일목요연하다. 숙이고 굽히고, 앉았다 일어섰다 하는 모습이 모시적삼처럼 훤하다.

 
주인은 ‘창고’에 책상과 의자를 두고서도 손님들의 동태를 다 안다. 골목을 들며나는 사람들이 행인인가 손님인가를 주목하고, 손님과 책들과의 대화를 지켜본다. 무슨 책을 어느 어름에 두었는지 아는 주인은 굳이 귀를 기울이지 않아도 손님의 위치로써 무슨 대화인가를 알아챌 수 있다. 골목선과 황씨의 시선이 마주치는 지점에 세워진 거울이 그 비결이다. 책과의 대화를 끝낸 손님이 책을 손에 들고 대화상대를 주인으로 바꾸려 할 즈음이 황씨가 존재를 드러내는 시점이다.


위에는 선풍기, 발치에는 텔레비전. 중무장한 채 책상에 앉아있던 그는 사진을 찍지 말라고 했다. “손님이 사진 한 장 찍겠다는 데 그게 안 되냐.” “보자니 당신은 손님이 아니다.” 신분을 밝힐 짬도 없이 대화는 언성이 높아지고 급기야는 앞 돼지고깃집 주인이 와서 말렸다. 신분을 밝힌 뒤에도 시비는 2시간여 계속되었다. 신분을 밝히고 협조를 구했어야 하지 않느냐는 게 주인의 주장이고 거절부터 하고 사람 봐가며 찍게 하려던 거냐는 게 기자의 항변이었다.

그는 시비 틈틈이 이러면 안되는데 하면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책장사 40여년, 참 오래했다, 이제 나이가 들고 한달 100만원 월세도 버겁다, 그만두려고 내놨다, 미국에 사는 딸네한테 가서 살려고 한다 등등. 황자 정자 기자. 예순 다섯살. 연락처는 거울에 매직으로 쓴 손전화 번호를 가리켰다. 유선전화는 313-5066. “당신, 참 희한한 취재기술을 가졌다”면서 “재료를 줬으니 광고가 되게 기사를 써야 한다”면서 취재수첩을 ‘검사’했다. 기사 나면 신문 한장 갖다 달라고 하면서 2시간 정도 응한 값이 그 정도는 되지 않느냐고도 했다. 기사 난 것 봐서 술 한잔을 사든지 책 한권을 주든지 하겠다고.


 광고 한마디. ‘골목책방’은 사람 드나듦처럼 책 드나듦이 잦고 많다. 좋은 책은 먼저 온, 눈썰미 있는 사람이 임자다. 이러한 특성을 아는 사람들은 이곳을 자주 찾는다. 주인의 손마디는 책방 연륜만큼이나 무척 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