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개 1
김별아 지음 / 문이당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내 기억 속의 논개를 더듬어 본다. 국사시간에 배웠던 듯한 그녀의 이름, 그리고 문학시간에 한번쯤 더 들었을만한 그녀의 이름, 그녀는 내게 어떻게 기억되고 있었던가. 하나의 여인이었던가. 그동안 난 그녀를 기생으로서 기억하고 있었던 것 같다. 이 책을 만나며 내가 그렇게 무지하지는 않았음을, 단순히 그녀를 기생으로만 기억하고 있지는 않았음을 주장해보려 했지만 [기억은 요망하고 야릇하다. 그것은 결코 정직하지 않다. 사실의 진위나 의미의 경중을 떠나 앞뒤가 바뀌고 때로 가당찮이 변질되기까지 한다. 그 모든 요사가 그것을 지닌 자의 마음의 경로를 따르기 때문이다. 간사하고 기묘한 것은 기억이 아니라 기억하는 사람이다. 기억은 죄가 없다.]라는 본문 속 말처럼, 간사한 내가 그녀를 기억하던 내 방식을 왜곡시킨 것일 뿐이라는 걸 인정하지 않을 수는 없다. 그리고 이제라도 그녀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어 다행이다.
황진이나 장희빈등 몇몇 여자들이 문학작품이나 TV 드라마를 통해 끊임없이 재생되고 있는데에 반해, 그리고 또 다른 몇몇 여자들이 교과서에서 끊임없이 거론되고, 여성이라면 존경해야 할 인물로 시대의 흐름에 상관없이 꼽히고 있지만 논개라는 인물은 그러지는 못하였다. 어쩌면, 황진이나 장희빈처럼 이야기가 될만한 요소가 충분치 못한 까닭도 있고 신사임당이나 여왕이나 황후들 혹은 독립운동가들처럼 굵직한 요소가 없기 때문일 수도 있다. 우리가 그녀를 기억하는 건 단지 적군의 대장을 껴안고 물 속으로 사라진 그 일화 단 하나 뿐이니 말이다. 그리고 단지 그 장면 때문에 그녀를 '기생'으로서 기억하고 있다. 하지만 어찌보면 그녀도 이야기거리가 충분히 많은 여자였으며, 어떤 역사 속 여자들보다 강인하고 용감한 사람이었다. 그렇기에 이 책에 대해 가장 칭찬하고 싶은 것은 그런 그녀를 현대 사람들에게 재조명하고, 참 된 그녀를 알려주는 데에 있다.
하지만, 아쉬움이 더 많았던 책임은 부인할 수 없다. 작가는 모두가 다 아는 듯 하지만 누구도 제대로 안다고 할 수 없는 여인, 논개를 재조명하고 재발견하고 싶었다고 했다. 그러나 작가의 이런 바람과는 달리 재조명과 재발견은 '지금껏 많은 사람들이 눈여겨 보지 않았던 논개의 삶에 대한 서술'이기에 빛났던 것이지 '이야기가 재미있고, 그에 따라 논개의 삶이 흥미로워 진 탓'은 확실히 아니다. 역사물을 쓸 때는 자신이 쓰려고 하는 인물과 사건의 삶에 주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들었다. 자신이 쓰려고 하는 인물이 되어 그 사건을 서술해 나가다 보면, 그 사건들에 꼭 필요한 주변 정세나 상황들이 부수적으로 들러붙게 되고 그 시대적 상황들이 자신이 표현하기를 원하는 인물을 넘나들지 않을 때 좋은 역사물이 된다고 들었다. 하지만 이 책은 어찌보면 논개의 삶보다는 그 시대적 상황에 더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닌가 싶다. 논개의 이야기와 최경희의 이야기보다 그 시대 묘사가 지나치게 생생한 것, 우리는 한 여인의 이야기를 담은 소설을 원했던 것이지 세세한 역사 지침서를 원한 것은 아니었기에 조금은 많이 아쉽고 실망감이 남는다.
그러나 한 가지라도 얻는 것이 있다면, 그 책은 좋은 책이라고 했다. 분명 작가가 시도한 논개에 대한 재조명은 훌륭했고 참신했다. 그리고 누군가가 꼭 한 번은 부각시켜야 했을 문제였다고 본다. 아쉬움과 실망감도 많이 있었지만 역사 속에서 잊혀갔던 한 여자, 강인하고 사랑에 모든 것을 걸 수 있었던 아름다운 논개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것에서는 좋은 점수를 주고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