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슬리의 비밀일기
앨런 스트래튼 지음, 이장미 그림, 박슬라 옮김 / 한길사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얼마 전, 중학생 아이가 연애에 대한 고민과, 자신 주위의 친구들의 연애 이야기를 해 주었다. 우리는 그들의 연애를, 그들의 사랑을 "어린 것들이 뭘 안다고..."하고 치부해버리기 일수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그들의 고민은 지금 우리의 고민과 다를 바가 없었다. 설렘, 질투, 사랑 그 사이에 일어나는 모든 일들이 내 나이의 사람들 고민과 똑같았다. 다른 것은 시간 뿐, 그 시간이 내 나이 또래의 사랑은 심각한 것으로 그들의 사랑은 웃기지도 않는 것으로 만들어 버린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그 아이들 역시 나름대로는 심각하고 나름대로는 마음이 아프다. 우리는 가끔 우리가 그들보다 많은 시간을 보내왔다는 이유로 얼마나 냉소적인 표현을 하는지 생각해 본다.

 

     이미 성장은 끝이 나 버렸지만 성장동화는 언제나 재미있다. 아직 마음과 정신은 성장기인 아이들과 다를 바가 없는지 아이들과 이야기하고 아이들의 연애 이야기에 눈을 반짝인다. 그러다보면 아이들이 생각하는 그 나이의 고민과 어른들이 생각하는 아이들의 고민이 얼마나 일치하지 않는지 알게 된다. 우리의 성장 소설을 보면 가족문제, 그리고 자아문제에 치중되어 있지만 사실 그들이 궁금해 하고 고민하는 것은 그런 문제는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아이들이 궁금해 하고 고민했던 것을 속 시원히 드러내 주는 반가운 책이다.

 

     우리의 십대에 대한 인식과 서양의 십대에 대한 인식이 달라서 인지 아이들의 사랑문제에 아주 개방적이다. 단지 손을 잡고 길을 걷는 순수한 사랑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키스부터 섹스까지 모두 드러낸다.

     학교에 전학 온 잘생긴 아이 제이슨이 레슬리에게 관심을 보인다. 엄마 아빠는 이혼을 한 데다 아빠는 엄마아빠의 이혼에 결정적 역할을 한 브렌다와 살림을 차렸다. 엄마와 난 거지같은 아파트로 이사를 가고 엄마는 아빠와의 이혼으로 신경질적이 되어 버렸다. 하나밖에 없는 친구 케이티가 애슐리와 어울리며 나와 멀어지기까지 하고 있는 이 최악의 순간 나타난 제이슨은 정말 최고의 남자이다. 사랑은 이런 것이지.

     하지만 제이슨은 자꾸 스킨십만 해 댄다. 매일같이 좋지도 않은 섹스를 하려고 하고 거부하면 날 때리기 까지 한다. 하지만 그 모두가 날 사랑해서이다. 그래, 그렇게 믿으려 한다. 날 사랑하기 때문이라고. 그런데 이 모든 이야기를 적어둔 내 일기가 새로 온 제임스 선생님 손에 들어가고 교장 손에 까지 들어갔다. 하지만 교장은 속물이다. 제이슨의 아빠가 부자이기 때문에 이 모든 것을 내 잘못으로 덮으려 한다. 거기다 교장과 제임스 선생님이 내 일기를 본 것을 안 제이슨은 날 죽이려 든다. 사랑이 아니었구나. 사진을 빌미로 날 잡으려 하지만 제이슨은 이제 진절머리 난다. 그리고 이제 알 것 같다. 제이슨이 내게 행한 행동들은 사랑의 표현이 아니라 성폭력이었다는 것을. 그리고 이런 제이슨에게 당한 아이들이 내가 처음은 아니다. 단지 그들은 세상의 눈이 무서워 그 사실을 감추려 했고 그렇기에 제이슨은 계속해서 폭주하는 중이다.

 

     아이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어리지 않다. 아이들이 언제까지고 아이이길, 성에 대해 무지하고 슬쩍 스치는 스킨십에도 부끄러워하기를 바라는 것은 어른의 욕심일 뿐이다. 하지만 그런 어른들의 욕심이 아이들에게 성은 감추어야 할 것이라 생각하게 만든다. 성에 대해 관심이 생겨야 할 나이임에 틀림없고 그 욕망을 분출하는 나이임이 분명하지만 어른들에게 말하지 못한 채 자신들이 구할 수 있는 최소의 최대 자료로 잘못된 상식들을 쌓아간다.

     아이들과 이야기를 하며 놀랐던 것은, 그들이 갖고 있는 관심에 비해 그들은 너무 무지하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잘못 된 상식이 더 큰 실수를 부를 수도 있다는 것을 모르는 것은 어른들이다. 더 이상 우리는 아이들에게 감추려고만 해서는 안된다.

 

     이 책은 성에 대한 이야기는 물론이고, 세상에 제대로 맞서는 방법과 세상에서 제대로 독립하는 방법도 이야기 해준다.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우리 함께 만들어가는 부끄럽지만 욕망이 어린 세상이 아니라 제대로 알기에 더 아름다운 세상이다. 그리고 그런 세상을 만들기 위해선 어른들의 시선이 더 먼저 바뀌어야 한다. 이 책은 어른이 먼저, 그 후 아이에게 권해 주었으면 좋겠다. 그렇게 이 책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는 소통의 시간이 만들어 졌으면 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향기 2007-09-05 22: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관심가는 책이네요. 리뷰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