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어령 선생님이 들려주는 축소지향의 일본인 세트 - 전2권 - 우리 아이들을 위한 지식의 샘
이어령 지음, 김준연 그림 / 생각의나무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아빠가 읽었던 세로줄 이어령 전집을 읽으며, 이어령 선생이 갖고 있는 박식하고도 독특한 생각에 무릎을 친 적이 한 두번이 아니었다. 그런 이어령 선생이 이젠 일본을 말한다고 한다. 그것도 어른들을 위해 내 놓았던 책을 아이들을 위해 쉽고 재미있게 다시 풀어 쓰셨다고 하니, 어른의 시선보다는 아이의 시선이 더 재미있고 신나는 철없는 어른인 내겐 딱 맞침맞은 책이다 싶다.
사실 우린 일본에 대해 너무 일관성 없는 사고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사고는 내 나이 또래의 젊은이들에게 유독 심한 것 같은데, 일제 시대를 경험하지는 않았으나, 그 시대를 경험한 조부모님을 갖고 있어서 자주는 아니어도 틈틈히 그 시대에 대해 들어왔기에 일본에 대해 적당한 거부감을 갖고 있으면서도 소니로 익숙해진 작고 예쁘고 실용적인 일본 제품과 다채롭고 풍부한 일본 문화엔 적당한 호기심과 선호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나 역시, 과거를 인정하지 않고 세계 속에 맑고 정당한 일본이란 이미지를 심기에 급급한 일본에 약간은 적개심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들의 손아귀에서 탄생하는 물건들과 소소해 보이지만 따뜻한 문화에 어느정도 호감과 경탄을 보내고 있다. 하지만 가끔 생각했었다. 그들은 어찌 이리 다른 모습을 지니고 있는 것일까, 그런 궁금증을 이어령 선생이 먼저 알고 깨끗이 해소해주니 정말 책 표지에 나와있는 것 처럼 머리가 좋아지는 책은 이런 책이 아닐까, 정말 재미있게 똑똑해 지는 기분이 든다.
경제 대국 중 하나라는 타이틀을 거머쥐며, 일본은 아시아의 중심이 되었다. 인구, 땅 크기로 밀어부친다면 중국을 이길 순 없겠지만 그리고 머지 않아 중국이 아시아를 흔들고 세계를 흔들 거란 학자들의 예상은 끊이지 않고 나오고 있지만 아직까진 made in China 보다 made in Japan이 세계 시장을 움직이고 있다. 그러면서 자연스레 세계인이 아시아를 보는 기준은 일본이 되었다. 하지만 그것은 많이 잘못되어 있는 것이다. 일본이 포장해 놓은 매혹적인 포장지에 포장을 벗겨 볼 생각도 하지 않고 낼름 달려든 꼴이나고나 할까?
이어령 선생은 이런 사람들을 위해 일본을 더 잘 알기 쉽게 풀이 해 놓았다. 이름하야 '축소 지향형 일본인'. 일본인들은 뭐든지 확장이 아닌 축소를 해 가고 그 안에서 안정을 느낀다는 생각인데, 이런 축소지향형의 일본인들을 분석하기에 딱 맞게 점점 더 축소적으로 분석을 하고 있어서 참 재미 있다. 특히 일본인의 여섯 가지 축소지향 모형으로 이름 붙여진 이레코형, 쥘부채형, 아네사마 인형형, 도시락형, 노멘형, 문장형은 그 이름만으로도 참 재미 있지만 알고 보면 그 안에 숨은 뜻도 아주 재미있고 아, 정말. 하며 고개를 끄덕일만한 내용들이다.
처음에 이 책을 접하면 이어령 선생도 어느정도 일본에 대해 거부감을 갖고 그 마음을 바탕으로 책을 집필한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일본인의 시선으로 이 책을 본다면 조금 기분이 상하지 않을까 싶었는데 이게 왠걸, 일본 월간지가 선정한 일본과 일본인을 알기 위한 120권에 선정되었다고 하지 않는가. 찬찬히 이 책을 끝까지 읽다보면 그 이유를 추측해 볼 수 있게 된다. 이어령 선생은 일제 시대를 경험했고 어느 정도 그 아픔을 알고 있을테지만 또 그만큼 일본과 가까이서 생활을 했기에 나름대로의 애정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렇기에 이런 일본의 고유한 특성을 속속히 파헤치며 그들이 더 세계적으로 더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은 확대적인 것이 아니라 고유한 축소지향적인 성격을 살리는 것이라고 말하고픈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어쩌면 일본인들은 이 책을 보고 나름대로 충격을 받았을지도 모르겠다. 자신들보다 더 정확히 자신들만의 문화를 파악하고 판단한 한국인이 있다는 것에. 하지만 원래 우물 안 개구리는 자신에 대해 정확히 판단하기 힘든 법이다. 그러고 보니, 누군가 우리에 대해 올바른 판단을 해 줬던가? 우린 과연 우리에 대해 정확한 판단을 하고 있는 것일까? 다시 한 번 우리에 대해 돌이켜 볼 시간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