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정원의 붉은 열매
권여선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9월
평점 :
한 번도 만난 적 없는 작가에 대해 상상한다. 작가는 책상에 가지런히 앉아 글을 쓴다. 나는 작가의 어린 시절로 간다. 그녀의 부모를 보고, 부모를 향한 그녀의 감정의 흐름을 본다. 그녀는 자라며 사랑을 하고, 세상을 알게 된다. 풋풋했을 시절 그녀는 사랑을 믿었다. 그 믿음에 금이 가고 자존심에 상처도 입으며 그녀는 애초에 믿음 따위를 가진 것이 잘못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책의 단편 속에서 내 상상 속의 작가가 만들어졌고 그녀의 삶이 세워졌다. 왠지 이 책은 귓가에 조곤조곤 자신의 성장 과정 속에서 발생한 비밀을 얘기하는 것만 같다.
단편집에 대한 애착이 크지 않은 이유는 이렇다. 단편 소설을 향한 뇌 속 회로가 유난히 느슨한 것인지, 집중력을 키워보겠다고 억지로 다녔던 속독학원에서의 방침이 십년이 훌쩍 지난 지금에도 몸에 배어있는 것인지, 아니면 한 때는 총명하다는 소리도 종종 들었던 내가 세상의 갖은 풍파 속에 찌들며 뇌부터 손상되기 시작한 것인지는 몰라도 단편을 읽을라치면 그 순간순간엔 책 속의 좋은 한 문장에 몸서리를 치면서도 덮고나면 화면조정 시간의 일률적인 시그널 음이 머리 속에 울려퍼지는 것이다. 뭐였지? 내가 읽은 것이? 뭐 이런 기분이 들고나면 영 다시 단편을 읽을 기운이 생기지 않는다. 물론 그 문장들은 내 몸 세포 어딘가에 잠식되어 있어 누군가 날 눕히고 최면 같은 것을 걸면 술술 나오게 될지도 모르지만 내가 날 최면 걸어 그것들을 꺼낼 수는 없는 노릇이니까. 그래서 권여선이 쓴 두 권의 소설집을 읽었음에도 그녀에 대한 이미지는 선명하지 않았다. 그저, 글 잘쓰는 작가라는 막연한 느낌 밖에. 그래서 더 꼼꼼하게 파고 들어야 했다. 첫번째 소설 <빈 찻잔 놓기>가 제목부터 그 끝까지 날 완전히 매혹시켰기 때문에 절대 이 작가의 이 단편 느낌을 잊고 싶지 않았다. 그리고 읽어나간 단편 속에서 난 작가를 보게 되었다.
모든 단편은 이야기가 완성되지 않는다. 시간이 흐른 후에 '아, 그 땐 그랬었던가.' 하고 사건들은 종지부를 찍게 된다. 이것은 단편 <내 정원의 붉은 열매>에서 몸서리치게 그 이유가 드러난다.
무엇인가가 완성되는 순간은 그것을 완전히 잃고, 잃었다는 것마저 완전히 잊고, 오랜 세월이 흐른 뒤 우연히 그 언저리를 헛짚는 순간이다. _<내 정원의 붉은 열매>
그렇다면 이 소설 속 모든 주인공들에게 그 날, 그 때의 사건은 완성 된 것인가 아니면 작가의 작품이 결국 언젠간 모든 독자들의 삶에서도 나타날 일들이기 때문에 그 때 혹시 독자의 언저리에 자신의 작품이 떠오른다면 그 때 자신이 얼마나 완성 된 작가임을 알게 될 것이라는 작가의 오만인가. 하지만 혹여 후자라도 결코 밉지 않은 오만이다. 그렇게 치열하게 작품 하나하나를 완성시켰고 그 속에 자신과 세상의 진심을 투영시켜 놓을 수 있다면 이 정도 오만쯤은 너그러이 이해할 수 있다.
주인공들이 살고 있는 현실, 그들 사이의 갈등은 인류 보편적인 것들과 다르지 않다. 작가의 관심은 얼마나 넓고 크게 상상하여 우리가 보지 못하는 삶을 보여주는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노력하여 관찰해서 우리의 삶 속에 아주 미세한 부분까지 찾아내느냐에 있는 것 같다. 그러기에 이 작가에겐 꽤나 신뢰가 갈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작품 속에서 작가가 보여주는 우리의 삶들은 꽤나 시리다. 이 모든 것을 이미 알고 경험했기에, 그 보편적인 감정의 흐름을 우리가 어찌할 수 없다는 것을 너무나 크게 공감하게 되기 때문이다. 보잘것 없는 것들에 질투하고, 시기하고, 도피하고, 외면했으며 자신의 그런 모습을 감추기 위해 자존감만 높이는 우리의 수치스런 모습들은 이 안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그래서 이 책은 작가의 내밀한 고백과 같음과 동시에 독자 스스로의 비밀 일기가 되기도 한다.
내가 잊었던 그녀의 작품들에게 미안해진다. 왜 이리 좋은 작가의 멋진 작품들을 기억 한 켠에 미뤄뒀는지. 책장 앞을 서성거린다. 그녀의 작품집을 하나하나 다시 꺼내본다. 이렇게 누군가가 애틋해지기도 한다. 그녀의 작품들은 내 기억 속에서 잊혀졌고, 내가 그것을 잊었다는 것도 잊었었지만, 이제 다시 그 순간이 왔고 이로서 그녀의 작품들이 완전해 졌다. 멋지고 완벽한 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