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괴담 : 두 번째 아이는 사라진다 ㅣ 문학동네 청소년 13
방미진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7월
평점 :
그거 알아? 거짓말은 언제까지나 거짓말로 머물러 있지 않아. 거짓은 어느새 그 힘으로 진실이 되어 버리고, 우리는 함정에 빠지고 말아. 그래서 늘 조심해야 해. (p.152)
두 번째 아이는 사라진다, 라는 섬뜩한 부제가 다가온다. 두 번째의 의미를 떠올린다. 단순한 순서의 의미일까, 아니면 모든 것을 등수로 채점해야 하는 이 사회에서 아둥바둥 애를 써도 늘 2등 밖에 못하는 불운한 사람을 의미하는 것일까. 어찌되었던 좋다. 선택 된 아이는 마법 같은 힘에 의해 세상이라는 판에서 밀려나거나 거대한 힘에 의해 먹히고 만다. 표지에서 보여지는 그 이야기들이 이 책의 전체 분위기를 이끌 것만 같다. 자, 이제 이야기의 괴담 속으로 빠질 차례이다.
학교의 연못이 배경이 되는 괴담이 있다. '연못 위에서 첫 번째 아이와 두 번째 아이가 사진을 찍으면 두 번째 아이가 사라진대.' 괴담의 주인공들은 형제에서 1등, 2등 사이로 때론 세 명의 아이로 변화하지만 결과는 동일하다. 한 아이는 사라지고,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도 완전히 제거 된다. 그 아이를 기억하는 것은 그 곳에서 같이 사진을 찍었던 사람들과 그 사진을 찍어준 사람 뿐이다. 기억을 공유한다는 것으로 그들은 공범자가 되고 그들의 죄는 나눠진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들의 죄는 줄어드는 것일까? 두 번째 아이가 없어지면 두 번째 라는 자리 역시 사라지는 것일까?
한 편의 영화같이 흘러가는 이 이야기가 주는 소름의 근원을 아주 금새 알아차릴 수가 있다. 그것은 이 것이 허구를 가장한 우리의 실화이기 때문이다. 한 아이가 죽었다. 아이들 사이에서 따돌림을 당했다. 피해자는 한 명이지만 가해자는 여럿이라 그 누구도 자신이 직접적인 가해자가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 신경전을 보며 외면한 아이들 역시 가해자지만 눈물 한 방울 떨구는 것으로 자신이 가해자였음을 부인한다. 아이의 죽음은 화제가 되지만 빨리 잊혀지기도 한다. 결국 죽은 아이는 따돌림으로 한 번, 잊혀짐으로 한 번, 그렇게 두 번의 그림자로 남게 된다. 그리고 그 아이가 죽은 자리에 또 다른 누군가가 따돌림의 대상으로 자리잡는다. 뉴스에서 너무나 흔하게 보이는 이야기들, 그래서 이제 특별할 것도 없는 이야기들이 떠오른다. 그것이 이 책의 저변에 깔려 있어서 우리의 소름은 그 아이들이 잊혀져 간 속도만큼이나 빠르게 올라온다.
결국 우리 역시 그들을 빨아들인 연못의 괴담을 구성하고 있는 일부이고, 그들의 사진을 찍어 준 사진사이며, 그들 옆에 서 있었던 첫 번째 아이이기도 하다. 첫 번째 아이였기에 우리는 살아남았지만 우리의 마음 속엔 허전함이 있다.
이 책의 또 다른 반전은 경민이라는 선생의 시각에서 온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에서 경험하고 공감했던 이유없는 악의가 서늘하게 다가온다. 그녀의 악의는 이유가 없어보이지만, 자신을 외면한 세상에 대한 경멸과도 같다. 하지만 그 세상이 그녀에게 마지막 조소를 던지 듯, 그녀의 악의가 닿았던 곳은 수많은 아이들이 잊혀지는 가운데에서도 강렬히 버티고 있다. 그 밑바닥이 얼마나 흔들리고 있을진 몰라도 외면상 여전히 굳건하다. 그것이 부의 논리임을 주장하고 있는 듯 하다.
아주 조금은 이야기의 헛점이 눈에 띄지만, 그것은 작가의 욕심 탓이 아닐까 한다. 너무 많은 걸 한 이야기 속에서 보여주려다 보니 이야기의 구석구석은 조금씩 엉성하다.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 이렇게 이 세상을 함축시켰다는 것, 그것은 분명히 작가의 파워이다. 어쩌면 작가 역시 첫 번째 아이였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두 번째 아이가 될 지도 모른다. 그래도 이야기는 남을 테니 그녀의 노력은 이긴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