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도 그렇고 또 청춘 특강인가 싶어서 자세히 보지 않았는데, 저자 면면이 그냥 넘겨버릴 분들이 아니라서 주문하고 보니... 잘못 생각했던 거구나. 청춘은 웬 청춘. 특강의 첫 주자인 김진숙부터 피와 땀이 철철 흐르는 이야기들을 쏟아내고 있었다.
솔직히 말하면, 크레인에서 309일을 버텨낸 기적이 나는 아직도 남의 일같고 낯설다. 그 기간 동안의 수많은 기사와 사진을 접하면서 가슴으로 눈물 한 번 흘려본 적이 있었나 되돌아보면, 아니었기 때문이다. 기사를 눈으로만 읽고 말은 입으로만 했다. 목숨을 이어가는 일에 목숨을 걸어야 했던 그 1년여의 기간이 그녀에게, 그녀의 동료들에게, 또 이 사회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구체적으로'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가슴 깊숙한 곳은 흔들림없이 무지했고 입으로만 뻔한 단어들을 주워섬겼다.
내가 사는 부산의 어느 한 곳에서 일어났던 작은 전쟁. 나는 그 때 편안한 내 방에서 모니터로 기사를 보고 마우스나 깔딱거리며 얄팍한 위로와 응원을 보내고 있었는데, 이제 와서 이렇게 그녀의 이야기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섰다고 해서 그 시간들의 절박함을 감히 이해한다고 할 수가 없다. 살아서 내려올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는 곳으로 올라가던 상황이 담담하게 이어질수록, 깃털보다 가벼웠던 내 '지지'가 수치스러워 얼굴이 화끈거렸다. 메마르고도 뜨거운 그녀의 목소리가 귓전을 때렸다. 그녀의 토로에 가슴이 아프게 뛰었다. 그리고 이 말이 머리를 쾅. 쳤다.
1월 6일에 크레인에를 올라가는데, 아까 말씀드린 대로 춥단 생각밖에 없었어요. 그것도 새벽 3시에. 6시에나 올라갈걸, 그럼 세 시간은 덜 추웠을 것 아니에요.(웃음) 그 때는 무슨 대의명분, 이런 것 없었어요. 2003년도에 그 일 있고 나서 크레인을 어찌나 단도리를 해놓았는지, 자물통을 큼지막한 걸 매달아 놓고 쇠사슬을 몇 겹 둘러놓은 거에요. 그걸 자른다고 한 시간을 씨름하다가 올라갔는데요. 계단으로 사수대들이 있던 중간 지점을 지나서, 제가 있던 공간까지 올라가려면 원통을 통과해야 합니다. 그 통이 20미터 높이에요. 그런데 거기는 깜깜절벽이거든요. 크레인의 동력선 자체가 끊어져 있으니까요. 사다리도 없어요. 철근 하나 끼워놨는데, 거기 올라가는 게 엄청 힘들어요. 안나푸르나를 타는 것보다 더 힘들어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718/pimg_771587183775330.jpg)
그녀가 올랐던 CT-85호 크레인은 동지 김주익이 2003년 10월 정리해고에 항의하는 농성을 129일간이나 벌이다가 결국 목을 매 자살했던 그 크레인이었다.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죽음을 투쟁의 수단으로 삼던 시대는 지났다"고 말했다. 노무현 정부의 문재인은 청와대의 모든 일을 정리하고 나와서 제2의 인생을 즐기기위해 안나푸르나로 트레킹을 떠났다.
2011년이 시작되던 겨울, 살기 위해 목숨을 내놓을 수 밖에 없었던 노동자도 트레킹을 떠났다. 죽음이 기다리고 있을 지도 모를 35미터 상공으로. 삶이 휘청이다 그대로 스러져버린 동지들을 보내놓고, 웃는 것도 죄고 등 따순 것도 죄라서 한겨울에도 냉방에서 자고 찬물로 머리를 감았다는 김진숙. 밧줄 하나에 의지해 저 동굴같은 원통을 오르던 그녀에게 안나푸르나가 떠오른 것은,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김주익의 죽음과 그녀에게 곧 닥칠 지도 모를 죽음을 관통하는 사람이 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문재인은 참여정부의 실책을 잘 알기에 더 잘 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솔직히 인간적으로 존경하고 지지하는 분이긴 하지만, 그 뼈아픈 후회를 얼마나 극복할 수 있겠느냐에 관해서는 아직은 회의적이다. 예전에 <운명> 북콘서트에서 하셨던 말씀도 불현듯 떠오른다. 경제정책 실패를 아프게 인정하고 노동문제를 소홀히 다뤘던 부분에 통감하면서도, "노동자들이 노무현은 다 받아줄 것이라고 생각해서 너무 한꺼번에 많은 요구사항들을 들고 나왔다"고 비판했다. 그런데, 그거 받아달라고 하는 것이 잘못이었을까? 또, 받아주면 안 될 일이었을까? 나라가 망합니까?...
한때는 노동자들의 든든한 빽이었던 노무현. 한창 노동운동의 변호인으로 활약하던 시절, 김진숙이 수감되었을 때 면회를 와서는 재판 이야기는 안 하고 시시콜콜한 수다만 한 시간 동안이나 늘어놓는 것이 의아해 "대체 왜 오신 거냐"고 묻자 "진숙씨 수감생활 지루할까봐 놀아줄라고 왔지요" 라고 했다던 노무현. 그러던 노무현이 정치계로 떠나고 노동운동을 하던 '똑똑한' 사람들도 다 정치하러 가면서 노동자들은 외롭고 잔인한 섬으로 남았다. 살기 위해 싸우다 죽어나가는 동지들을 보면서 "시대가 변했다"는 대통령 노무현의 말을 들어야 했다. "당신들이 좀 너무했다"는 유력 대선 후보 문재인의 말도 들어야 했다. 눈 앞에서 여전히 동지들이 일자리를 잃고, 생활을 잃고, 가족을 잃고, 삶 전체를 잃어버리고 있는데, 어떻게 시대가 변한 것이며 우리가 너무한 것인가. 당신이 휴식 차 떠났던 안나푸르나보다 더 힘든 크레인을 오르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우리가 당장 살고 있는 현실인데.
김진숙의 이야기를 읽어내려가는 동안, 정리해고는 살인이다, 라는 처절한 문장을 그저 늘 그렇게 심각한 사회문제의 하나로만 보아왔던 시간들이 사정없이 너덜거렸다. 그리고 편의점에서 일일 체험을 했던 문재인의 사진이 떠올랐다. 편의점에 잠깐 서있으면서 그가 느낀 것은 무엇이었을까. 대기업 본사와 점주와의 계약이 얼마나 불공정한지, 그 불공정계약으로 인한 손해를 결국엔 아르바이트생이 처참한 시급으로 부담하고 있는 약자착취 구조에 대해 관심이라도 갖게 되었을까? 개혁의지가 샘솟았을까? 최저임금 보장, 비정규직 철폐 따위의 추상적인 구호를 위한 형식적이고 일시적인 이벤트에 불과한 건 아니었을까.
올해 대선의 주인공이 누가 되든 실제 노동자들의 삶을 철저하게 한 번 들여다보시기를 바란다. 한걸음 물러선 자리에 앉아 머리로만 구상하지 말고 최소한 김진숙과 한번쯤 대화를 나눠보셨으면 좋겠다. 한 마디 한 마디가 피고 땀인 그녀의 삶을 듣다 보면, 당신들이 평생 글자로만 습득했던 지식이 얼마나 허울뿐인 것이었는지를 알게 될 것이고 알바 체험따위 백 번 천 번 해도 알 수 없는 진짜 "사람이 먼저"라는 것이 무엇인지 뼛속까지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경영이라는 이름으로 사적인 부의 증대를 위해 숫자놀음이나 하며 피와 땀을 우습게 아는 자들의 징징거림에 속아넘어가는 "또 한 명의 바보"가 되지는 말기를... 다시는 노동자들이 안나푸르나보다 힘든 크레인을 타는 일이 없는, 그런 세상이 오기를.